DOI QR코드

DOI QR Code

A Relation between the Housing Tenure Choices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 Housing Consciousness - Focused on Newlywed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

점유형태 선택과 주거환경 및 주거의식의 관련성 분석 - 수도권 신혼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

  • 이창효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 장성만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6.04.04
  • Accepted : 2016.06.13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mpirically the effect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housing consciousness on the housing tenure choice of newlywed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firstly, not only the household's attributes and housing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housing consciousness were significant factors on housing tenure choice. Secondly, as a household considers worse housing quality and better environmental quality surrounding the housing, the household chose Cheonsei housing more often than owner-occupied housing. On the other hand, as a household reviews only better living condition, the selection probability of monthly rent was higher. Thirdly, as a household regards that the housing investment value was more important, the choice probability of owner-occupied housing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tenure types.

본 연구는 주택정책의 주요 대상 중 하나인 신혼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환경과 주거의식이 주택점유형태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거환경과 주거의식은 가구속성 및 주택특성과 함께 주택 점유형태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거환경은 전세 선택에, 주거의식은 월세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환경' 측면에서, 주택 자체가 갖고 있는 속성(부(-)의 영향)과 주택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정(+)의 영향)은 가구의 자가 대비 전세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주거지 주변의 거주환경은 가구가 자가보다 월세를 선택하는데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주거의식'과 관련하여, 주택에 대하여 거주목적보다 투자목적의 자산가치에 중점을 두는 가구는 자가를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세진, 김창석, 남진, 2008, 블록별 주거환경지표의 군집분석을 통한 서울시 주거유형 및 유형별 특성분석, 국토계획, 43(3), pp.129-143.
  2. 국토교통부, 2014a, 1차년도 신혼부부가구 주거실태 패널 조사 -연구보고서-.
  3. 국토교통부, 2014b,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연구보고서-.
  4. 권세연, 박환용, 2014, 서울시 1인 가구의 주거환경만족 영향요인 연구, 주택연구, 22(1), pp.77-104.
  5. 김미희, 정미영, 2003, 도시청소년의 주거가치와 주거만족도,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4(3), pp.9-19.
  6. 김순귀, 정도빈, 박영술, 2012,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와 응용, 한나래아카데미.
  7. 김윤기, 1988, 도시내 주거이동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한국적 연구모형의 개발, 지적논총, 1, pp.49-89.
  8. 김진영, 2013, 여성 1인가구 소형임대주택계획을 위한 주거의식과 주거요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4), pp.109-120. https://doi.org/10.6107/JKHA.2013.24.4.109
  9. 노승철, 2010, 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주거이동 요인 및 지역 간 차이 분석, 마이크로데이터 활용사례 공모전 당선 논문집.
  10. 박미선, 2013, 주택 점유형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시대적 변화 연구: 1990-2010년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6(3), pp.291-314.
  11. 박보림, 김준형, 최막중, 2013, 1인가구의 주택점유형태 : 연령 및 소득요인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8(1), pp.149-163.
  12. 박영근, 김판준, 황태수, 2007,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통과학연구, 5(1), pp.89-105.
  13. 서종녀, 김선중, 2000, 울산시 거주자의 임대주택에 대한 주거가치 유형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 pp.89-98.
  14. 성은영, 최창규, 2012, 임차인의 자산과 소득이 전월세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토계획, 47(1), pp.69-83.
  15. 심준영, 임병호, 이시영, 지남석, 2014, 단독주택과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지, 18(1), pp.1-16.
  16. 양재섭, 김상일, 2007, 서울 대도시권의 주거이동 패턴과 이동가구특성,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7. 윤복자, 지순, 1992, 기초주거학, 신광출판사.
  18. 윤정숙, 1996, 주거환경의 거주성 평가, 주택도시, 57, pp.33-44.
  19. 이창효, 김진하, 남진, 2009, 서울시 주거환경의 평가와 주택 가격과의 정합성 분석, 국토계획, 44(3), pp.109-123.
  20. 이창효, 이승일, 2012, 가구 구성원 변화에 따른 주거이동의 영향 요인 분석 -수도권 거주가구의 주택 거주기간을 고려하여-, 국토계획, 47(4), pp.205-217.
  21. 이충기, 이주석, 2008, 주거환경이 주택유형과 주택규모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하여, 경제학연구, 56(3), pp.55-73.
  22. 임창호, 이창무, 손정락, 2002, 서울 주변지역의 이주특성 분석, 국토계획, 37(4), pp.95-108.
  23. 정희주, 오동훈, 2014, 청년세대 1.2인 가구의 주택점유 형태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2), pp.95-113.
  24. 조은정, 1994, 신세대 소비자의 주거가치와 주거선호 -신혼 주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조재순, 1992, 주거이동을 통한 가족의 주거환경 변화조정, 한국주거학회지, 3(1), pp.1-19.
  26. 주영애, 이길표, 1987, 주거에 관한 가치관 연구 -서울시내 아파트 거주 주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pp.69-84.
  27. 지남석, 임병호, 이건호, 2011, 거주자의 주거이동 유형과 주거만족도의 관계 분석, 도시행정학보, 24(3), pp.151-172.
  28. 채구묵, 2012, 사회과학 통계분석, 양서원.
  29. 천현숙, 2004, 수도권 신도시 거주자들의 주거이동 동기와 유형, 경기논단, 봄, pp.91-111.
  30. 최지웅, 신동훈, 장희순, 2013, 오피스텔 거주가구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 -서울지역 20-30대 가구주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11(3), pp.159-169.
  31. 최미라, 박강철, 1996, 지방도시의 주거이동특성과 추정모델에 관한 연구 -광주, 춘천, 목포시 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11), pp.3-14.
  32. 최창규, 지규현, 2008, 전세와 주택 금융 차입하에 임대인의 공급 선택에 대한 해석 -전세와 월세의 공급 선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3(6), pp.53-67.
  33. 황광선, 2013,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환경과 주거만족 연구, 서울도시연구, 14(1), pp.57-72.
  34. 淺見泰司 編, 강부성, 강인호, 박인석, 이규인, 최정민 공역, 2003, 주거환경: 평가방법과 이론, 시공문화사.
  35. Brown, L. A. and Longbrake, D. B., 1970, Migration Flows in Intraurban Space: Place Utility Consideration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60(2), pp.368-384. https://doi.org/10.1111/j.1467-8306.1970.tb00726.x
  36. Brown, L. A. and More, E. G., 1970, The Intra-urban Migration Process: A Perspective, Geografiska Annaler, 52(1), pp.1-13. https://doi.org/10.1080/04353684.1970.11879340
  37. Eliasson, J., 2010, The influence of accessibility onn residential location, in R. Pagliara, J. Preston & D. Simmonds (Eds.), Residential location choice-models and applications, Berlin, Heidelberg: Springer, Verlag, pp.137-164.
  38. Kirschenbaum, A., 1983, Ascertaining Neighborhood Success Through Mobility Criteria, Ekistics, 298, pp.77-82.
  39. Knox, P. and Pinch, S., 2009, Urban Social Geography: An Introduction 6th Edition, Prentice Hall.
  40. McClay, J. W. and Day, S. S., 1977, Housing Values, Aspirations, and Satisfactions as Indicators of Housing Needs,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5(4), pp.244-254. https://doi.org/10.1177/1077727X7700500404
  41. McFadden, D., 1981, Econometric Models of Probabilistic Choice, in Structural Analysis of Discrete Data with Econometric Applications, Cambridge, Massachusetts: The MIT Press, pp.198-272.
  42. Morris, E. W. and Winter, M., 1975, A Theory of Family Housing 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1), pp.79-88. https://doi.org/10.2307/351032
  43. Varady, D. P., 1980, Determinants of Residential Mobility Decisions,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49(2), pp.184-199. https://doi.org/10.1080/01944368308977063
  44. Yi, C. and Lee, S., 2014,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location choice in the rapidly changing Korean housing market, Cities, 39, pp.156-163. https://doi.org/10.1016/j.cities.2014.03.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