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PANSI(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Scale

한국어판 PANSI(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척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 연구

  • Received : 2016.07.01
  • Accepted : 2016.08.06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ANSI(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K-PANSI) scale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adolescents' suicide ideation.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552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the K-PANSI. A reliability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test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alpha), criterion validity (with respect to CES-D, BDI, RES, SWLS), and construct validity.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ronbach' ${\alpha}$ of the K-PANSI scale is supported to some degree b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ES-D, BDI, RES, SWLS. Lastl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K-PANSI scale showed that a two factor model was appropriate with 66.0 percent of explanatory pow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PANSI scale could be used a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for adolescent' suicide ideation.

본 연구는 국내에서 PANSI(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척도가 청소년의 자살사고를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552명에게 한국어판 PANSI 척도를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PANSI 척도의 내적일관성 정도를 알아보았고, 관련척도(CES-D, BDI, RES, SWLS)들과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준거타당도를 살펴보았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PANSI 척도의 요인구조의 적합도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첫째, PANSI 척도의 내적일관성 Cronbach' ${\alpha}$는 .883으로 신뢰성이 비교적 높았다. 둘째, PANSI 척도는 Self-esteem 및 SWLS 척도와 유의한 부적상관관계, BDI, CES-D와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나 준거 타당도를 일정 정도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ANSI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요인 모형이 적합하였으며 자료에 대해 66.0%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PANSI 척도가 국내에서 청소년 자살사고를 측정하고 나아가 선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현.신택수, 2015, "청소년기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2(5): 57-51.
  2. 강희양.양경화, 2013,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우울과 자기개념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1): 539-554.
  3. 고재홍.윤경란, 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자아탄력성의 완충효과", 한국청소년연구, 18(1): 185-212.
  4. 고효진.김대진.이홍표, 2000, "청소년 자살위험성 예측척도의 타당화 연구(1)", 신경정신의학, 39(4): 680-690.
  5. 교육부.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2013, "제10차(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6. 구경미.정현희, 2012,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동적 사고, 우울과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경로 차이 분석", 상담학연구, 13(3): 1295-1314.
  7. 구차순.김동환, 2013,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8): 225-255.
  8. 권세원.이동은.장은혜.한기주, 2013, "고등학교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중학생 시기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종단적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11): 203-229.
  9. 김가영.박경, 2011,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시간조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3(1): 1-15.
  10. 김갑숙.박치홍, 2015, "중학생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성차를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22(1): 115-130.
  11. 김경아.육성필, 2014, "청소년의 따돌림 종류에 따른 피해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과 문제해결 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5(2): 695-712.
  12. 김미경.이은희, 2011, "청소년의 피학대 경험, 자살노출 및 자살보도 노출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목표불안정성의 매개역할", 청소년학연구, 18(12): 403-429.
  13. 김미예.김정미, 2013,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요인:, 청소년학연구, 20(12): 267-293.
  14. 김소영.홍세희, 2012, "초기청소년 자살생각의 변화유형분류와 예측", 한국청소년연구, 23(1): 251-275.
  15. 김순규, 2008,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9: 66-93.
  16. 김윤정.이창식, 2014,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2(6): 539-547. https://doi.org/10.14400/JDC.2014.12.6.539
  17. 김은경.이정숙, 2008, "아동기 학대경험과 청소년의 자살생각 간의 관계: 수치심과 친구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구가정관리학회지, 26(6): 123-134.
  18. 김인규.조남정, 2006, "청소년 자살생각에 대한 구조모형 검증", 상담학연구, 7(4): 1189-1202.
  19. 김재엽.장용언.이승준, 2013, "부모로부터의 방임.정서학대 및 신체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 가행경험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25: 157-183.
  20. 김정남, 남영옥, 2013,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초기청소년의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5(4): 83-104.
  21. 김정란.김혜신, 2014, "가정폭력 및 학교폭력이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4(2): 310-333.
  22. 김정진.윤명숙, 2008, "농촌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연구, 24(4): 77-102.
  23. 김지수, 2012,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261-268.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261
  24. 김진주.조규판, 2011,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계획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1): 301-214.
  25. 김채봉.정태영.황성완.김재행, 2013, "남녀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 생각과의 관련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7(2): 161-177. https://doi.org/10.12811/kshsm.2013.7.2.161
  26. 김태희, 2012, "청소년용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 타당화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7. 김현순, 2009,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0(1): 203-225.
  28. 김현순.김병석, 2008, "자살생각과 그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20(2): 201-219.
  29. 김현식, 2015, "청소년 성관계 경험이 자살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45(2): 183-191. https://doi.org/10.4040/jkan.2015.45.2.183
  30. 김현주, 2008, "청소년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27: 69-93.
  31. 김현주.노자은, 2011, "부모, 친구, 교사, 지역사회 지지와 청소년의 자살충동간 인과관계 분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2): 135-162.
  32. 김형태.윤미은.천성수, 2014, "청소년의 스트레스인지가 자살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 문제음주, 우울인지를 매개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1(3): 73-81.
  33. 김혜성, 2009, "청소년의 학대경험과 자살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1): 191-217.
  34. 남석인.남보영.장은혜, 2014,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6(4): 57-80.
  35. 남영옥, 2013,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청소년학연구, 20(11): 283-304.
  36. 노혜련.이종익.전구훈, 2012, "초.중학생의 자살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2): 335-363.
  37. 노혜련.최경일, 2009, "청소년의 신체상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0(3): 141-165.
  38. 민병근.이길홍.이재광.김현수.박두병.나철.박광식, 1986, "학생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자살양상에 관한 사회정신의학적 연구", 한국의과학, 18(1): 20-29.
  39. 박미정.김희순.박소미.최지혜, 2011, "청소년의 자살충동 경험 유무에 따른 자아존중감, 지각된 삶의 만족, 우울 및 공격성 비교", 아동간호학회지, 17(4): 264-271.
  40. 박병금, 2007, "청소년의 가족환경요인과 자살생각: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총, 11(1): 1-17.
  41. 박상용.김세형.김기범, 2011, "Rasch 모형을 적용한 방과후 신체활동참여 청소년용 자살위험측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체육과학회지, 20(6): 1343-1354.
  42. 박순희.양정남.최은정, 2015, "저소득층 밀집지역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 자살생각 간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2(5): 301-323.
  43. 박영숙.권윤희, 2013, "청소년 자살생각 경로모형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4(3): 255-26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255
  44. 박은옥, 2008,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8(3): 465-473. https://doi.org/10.4040/jkan.2008.38.3.465
  45. 박재연, 2010, "학교폭력이 청소년 우울 및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 41(1): 345-375.
  46. 박재우.황병덕, 2014, "청소년들의 자살차원에 미치는 영향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8(3): 193-205. https://doi.org/10.12811/kshsm.2014.8.3.193
  47. 박준하, 2012, "한국형 자살하지 않는 이유 대학생용 척도개발 및 타당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박현숙, 2007, "청소년의 자살사고, 폭력행동 경로모형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7(6): 835-843. https://doi.org/10.4040/jkan.2007.37.6.835
  49. 박형수.유진호.박부연, 2013, "한국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 8(5): 771-777. https://doi.org/10.13067/JKIECS.2013.8.5.771
  50. 배성우.신원식, 2005, "CES-D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의 요인구조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의 적용", 보건과 사회과학, 18: 165-190.
  51. 서신자.정민숙, 2013, "가족탄력성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5): 262-274.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62
  52. 성태제, 2012,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학지사.
  53. 송인한.권세원.박단비, 2012, "친구의 자살시도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저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352-376.
  54. 송태민.김계수, 2012, 보건복지연구를 위한 구조방정식모형, 서울:한나래아카데미.
  55. 심미영.김교현, 2005, "한국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성과 발달시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313-325.
  56. 여지영.박태영, 2013,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8): 121-145.
  57. 오승환.이창한, 2010, "청소년의 자살충동 결정요인 분석 : 개인, 가족, 학교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6(2): 147-170.
  58. 오지희.김민정, 2014, "미디어의 자살보도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사회학습이론을 중심으로", 산업학회논문지, 8(4): 167-178.
  59. 오현아.박영례.최미혜, 2008, "부모-잔녀 의사소통과 우울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14(1): 35-43.
  60. 우채영.김판희, 2011,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측하는 변인들 간의 다차원적 구조 분석", 청소년학연구, 18(4): 219-240.
  61. 유용식, 2014, "우울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189-197.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89
  62. 윤명숙.조혜정, 2011, "청소년음주행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3(3): 43-66.
  63. 이기원.현명호.이수진, 2010,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의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2): 227-242.
  64. 이선희.전종설, 2012, "남.녀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28: 173-202.
  65. 이영호.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지:임상, 15(1): 93-113.
  66. 이은숙, 2007, "남.여 청소년의 소외감, 우울과 자살생각에 관한 예측모형", 대한간호학회지, 37(4): 576-585. https://doi.org/10.4040/jkan.2007.37.4.576
  67. 이종은.최동원.임정혜, 2013, "중학생의 분노, 우울과 자살생각에 관한 예측모형",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6(2): 72-80.
  68. 이종익.오승근, 2007, "청소년 대상 학급단위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자살위험성과 자살태도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문화포럼, 37: 82-101.
  69. 이지숙, 2013,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유형별 대처방법의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5(3): 321-344.
  70. 이지현.이정윤, 2009,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부모 및 또래와의 관계와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0(2): 1113-1126.
  71. 이학식.임지훈, 2013,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20.0, 서울:집현재.
  72. 이혜선.권정혜, 2009, "한국판 자살생각척도(K-BSI)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155-1172.
  73. 임낭연, 2008, "자기조망시점의 차이가 자기정당화동기와 일상적 합리주의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4. 임낭연.이화령.서은국, 2010, "한국에서의 Diener의 삶의 만족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사용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1): 21-47.
  75. 전경숙.박소연.조선희, 2012, "한국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생각 영향요인의 남녀차이",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4): 295-308. https://doi.org/10.12811/kshsm.2012.6.4.295
  76. 전병재, 1974, "Self-esteem :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 107-124.
  77. 정묘순.서수균, 2014, "청소년 자살시도 예측변인: 자살위기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5(2): 145-171.
  78. 정성미.이지연, 2014, "부모의 양육행동 및 또래와의 부정적인 관계가 청소년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12(1): 5-17.
  79. 정의석.임성택, 2011,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완벽성향의 통제 및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8(3): 27-44.
  80. 정익중.박재연.김은영, 2010, "학교청소년과 학교밖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 222-251.
  81. 조맹제.김계희, 1993, "주요우울증 환자 예비평가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2(3): 381-399.
  82. 조옥선.백진아, 201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집단따돌림 피해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지, 8(2): 233-24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2.233
  83. 진재현.고혜연, 2013, "OECD 국가와 비교한 한국의 인구집단별 자살률 동향과 정책제언", 보건복지포럼, 195: 141-154.
  84. 최소정.배대석.장문선, 2010, "자살생각과 관련된 부모와의 애착, 역기능적 신념 및 우울간의 관계분석", 상담학연구, 11(2): 571-582.
  85. 최인재, 201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21(10): 219-243.
  86. 최혜인.전덕인.정명훈.홍나래.김재진.송정은.육기환.홍현주, 2012, "청소년 우울증에서 자살 행동과 인터네 사용",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3: 65-73.
  87. 하진의, 2014,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6(3): 55-75.
  88. 허만세.이순희, 2014, "정신장애인에 대한 Brief Symptom Inventory-18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3(3): 253-276.
  89. 홍나미, 2012, "청소년 자살생각에 대한 부모학대와 또래괴롭힘의 영향에서 대인관계 내재화와 절망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4(1): 151-175.
  90. 홍민순.정혜선, 2014, "청소년의 흡연과 자살생각관의 관계",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7(1): 50-57. https://doi.org/10.15434/kssh.2014.27.1.050
  91. 홍영수, 2009,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계획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원의 완충효과", 임상사회사업연구, 6(1): 159-181.
  92. 홍영수.전선영, 2005,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9: 125-149.
  93. Aaron T. Beck, 1967, DEPRESS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94. Augustine Osman, Peter M. Gutierrez, Jennifer J., Beverly A. Kopper, Francisco X. Barrios and Christine E. Chiros, 1998, "The 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Inventory: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73(3): 512-530.
  95. Augustine Osman, Francisco X. Barrios, Peter M. Gutierrez, Jennifer J. Wrangham, Beverly A. Kopper, Ronald S. Truelove, and Sena C. Linden, 2002, "The 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PANSI) Inventory: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 Ssmpl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73(3): 512-530.
  96. Augustine Osman, Peter M. Gutierrez, Jason Jiandani, Beverly A. Kopper, Francisco X. Barrios and Sena C. Linden, 2003, "A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PANSI) Inventory with normal adolescent sampl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9(4): 493-512. https://doi.org/10.1002/jclp.10154
  97. Beck, A. T., Kovacs, M. and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e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 Psychology, 47(2): 343-352. https://doi.org/10.1037/0022-006X.47.2.343
  98. Beck, A. T., R. A. Steer and W. F. Ranieri, 1988, "Scale for Suicide Ideation: Psychometric Properties of a Self-Report Vers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4(4): 499-505. https://doi.org/10.1002/1097-4679(198807)44:4<499::AID-JCLP2270440404>3.0.CO;2-6
  99. Chang, H. J., Lin C. C., Chou, K. R., Ma, W. F. and Yang C. Y., 2009. "Chinese vers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Instrumnet develop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7): 1485-1496.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9.05005.x
  100. Chioqueta, A. P. and Stiles, T. C., 2007, "Dimensions of the Dysfunctional Attitude Scale (DAS-A) and the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 (ATQ-30) as cognitive vulnerability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suicide ideation", Behavio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35(5): 579-589.
  101. Cull, J. G. and Gill, W. S., 1988, "Suicide Probability Scale Manual",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02.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and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103. Domino, G., Moore, D., Westlake, L, and Gibson, L., 1982, "Attitude towards suicide: A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8(2): 257-262. https://doi.org/10.1002/1097-4679(198204)38:2<257::AID-JCLP2270380205>3.0.CO;2-I
  104. Gispert, M., Davis, M., Marsh, L. and Wheeler, K., 1987, "Predictive factors in repeated suicide attempts by adolescents",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38: 90-93.
  105. Harlow, L., Newcomb, M. and Bentler, P., 1986, "Depression, self-derogation, substance use and suicide ideation: Lack of purpose in life as a mediational fact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 5-21. https://doi.org/10.1002/1097-4679(198601)42:1<5::AID-JCLP2270420102>3.0.CO;2-9
  106. Jenner, J. A. and Niesing, J., 2000, "The construction of the SEDAS: a new suicide attitude questionnaire", Acta Psychiatrica, Wiley Onlone Library.
  107. Kang, S. J., 2000, "A Study on health risk behaviors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8. Kernberg, O. F., 2004, "The risk of suicide in severe personality disorders: Differential diagnosis and treatment. In O. Kernberg (Ed.), Aggressivity, narcissism, and self-destructiveness in the psychotherapeutic relationship(pp. 192-194)", New Haven & Nondon: Yle University Press.
  109. Linehan, M., Goodstein, J., Nielsen, S. and Chils, J., 1983, "Reasons for staying alive when your are thinking of killing yoursel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20): 276-286. https://doi.org/10.1037/0022-006X.51.2.276
  110. Li-tze Hu and Peter M. Bentler, 1998,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m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3(4): 424-453. https://doi.org/10.1037/1082-989X.3.4.424
  111. Michael W. Browne and Robert Cudeck,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cearch, 21(2): 230-258. https://doi.org/10.1177/0049124192021002005
  112. Muehlenkamp, J. J., Gutierrez, P. M., Osman, A. and Barrios, F. X., 2005. "Validat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PANSI) inventory in a diverse sample of young adult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1(4): 431-445. https://doi.org/10.1002/jclp.20051
  113. Paul Barrett, 200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djudging model fi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 815-824. https://doi.org/10.1016/j.paid.2006.09.018
  114. Peter M. Gutierrez, Augustine Osman, Francisco X. Barrios, Beverly A. Kopper, Monty T. Baker and Cherly M. Haraburda, 2002, "Development o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for young adul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8(4): 339-357. https://doi.org/10.1002/jclp.1147
  115. Peter M. Gutierrez and Augustine Osman, 2008, "Adolescent Suicide-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16. Pfeffer, C. D., Klerman, G. L., Hurt, S. W., Lesser, M., Peskin, J. R., Pilowsky, D. J., Wu, L. and Anthoy, J. C., 2001, "Panic attacks and suicide attempts in mid-adolescenc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6: 1545-1549.
  117. Rex B. Kline,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rd Edition", The Guilford Press.
  118. Reynolds, W. M., 1988,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professional manual."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119. Reynolds, W. M., 1991, "A School-based procedure for the identification of adolescents at risk for suicidal behaviors" Family Community Health, 14: 64-75.
  120. Reynolds, W. M. and Mazza, J., 1994, "Use of the Suicidal Behaviors Interview for screening of School-based adolescents for risk of suicidal behaviors", P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nationl conference on risk taking behavior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rlington, VA.
  12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2. Xuezhi, W., Huoliang, G. and Xiaoran, K., 2011,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hinese revision of 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in high school students" China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034.
  123. Yoder, I. A., Whitbeck, L. B. and Hoyt, D. R., 2008, "Dimensionality of thoughts of death and suicide: Evidence from a study of homeless adolesc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86: 8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