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Family Structure on Children's Medical Utilization

가족구조에 따른 미성년 자녀의 의료이용 분석

  • Received : 2016.04.19
  • Accepted : 2016.06.06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medical utilization by family structure with a focus on single-mother and single-father families using data from the Korean Health Panel Survey, years 2008~2012. We also investigate whether the cause of transition into a single-parent household, whether coresidence with children's grandparents, and number of siblings are associated with children's use of ambulatory visi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ho grew up in single-father households had fewer ambulatory visit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both parents after controlling for children'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mily backgrounds. Second, coresidence with grandparents was not associated with children's medical utilization. However, number of siblings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use of ambulatory visits. Third, children living with a divorced father had fewer medical utilization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a widowed father, and coresidence with grandparen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use of ambulatory visits. Our findings suggest that tailored policy supports would be more fruitful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ingle-parent households such as gender of parents, and the supports should also pay more attention to health care needs and medical utilization of children.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을 활용하여 모자가정과 부자가정을 중심으로 한부모가정에 속한 미성년 자녀의 의료이용 현황을 점검하고, 의료이용의 정도가 조부모의 동거 여부, 형제자매의 수, 그리고 한부모가정을 형성하게 된 원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청소년의 개인특성과 가구특성을 통제한 이후에도 부자가정에서 자란 자녀들은 양친가정에서 자란 또래 자녀들보다 연간 총 외래이용 횟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부모의 동거 여부는 미성년 자녀들의 외래이용 횟수와 뚜렷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형제자매의 수는 외래이용 횟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가정 형성원인을 이혼과 사별로 구분하여 외래이용 횟수를 비교한 결과 부자가정의 경우 이혼가정 자녀들이 사별가정 자녀들에 비하여 외래이용 횟수가 더 적고 조부모의 동거 여부 또한 외래이용 횟수와 양의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부모가정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때 부자가정과 모자가정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며 한부모가정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지원이 보건의료 분야로 확대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 2005,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3(9): 15-26.
  2. 구인회, 2003,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2: 5-32.
  3. 김명희.전경자.서상희, 2011, 아동기의 건강불평등: 사회적 결정 요인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4. 김미숙.박민정.이상헌.홍석표.조병은.원영희, 2000, 저소득 편부모 가족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 김연우, 2010, "가족구조의 변화가 성인이행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교육성취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1(4): 225-246.
  6. 김준호.안호용.김선애.김선업, 2002, "가족의 구조.기능과 청소년비행", 한국청소년연구, 13(1): 225-267.
  7. 김지윤.박승미, 2012, "성인의 신체활동 정도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42(2): 199-206. https://doi.org/10.4040/jkan.2012.42.2.199
  8. 남영옥, 2010, "이혼가정 자녀와 양부모가정 자녀의 학교적응 비교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1(3): 219-243.
  9. 남현주.윤형식.이태영.신채영.이동훈, 2013, "한부모 가정 청소년 자녀의 발달과 적응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1): 129-168.
  10. 변화순.송다영.김영란, 2001, 가족유형에 따른 생활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1. 석소현.신성희, 2010, "양부모가정과 한부모 가정 학령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대한간호학회지, 40(3): 367-377. https://doi.org/10.4040/jkan.2010.40.3.367
  12. 손미아.오주환.최용준.공정옥.최지숙.진은정.정성태.박세진, 2006, "우리나라의 1995-2004년도 출생코호트에서 부모의 사회계급이 영아사망률과 소아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39(6): 469-476.
  13. 안수지, 2012,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미성년 자녀의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제4회 한국의료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14. 안진상.김희정, 2013, "아동.청소년의 건강불평등 결정요인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4(2): 205-231.
  15. 오승환, 2001a, "저소득 편부모가족의 가족기능과 자녀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연구 -양친가족, 편부가족, 편모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12: 77-107.
  16. 오승환, 2001b,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부모 이혼.별거가족과 사망가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17: 99-125.
  17. 윤우석, 2011, "가족의 구조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부모의 양육과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검증", 형사정책연구, 22(1): 137-172.
  18. 이민주.박인권, 2013, "가산자료 회귀모형을 이용한 사회적기업의 입지요인 분석", 국토계획, 48(4): 151-168.
  19. 이연주.김승권, 2011,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편부․편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비교: 이혼 부모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2): 17-43.
  20. 이용우, 2014, "가구소득과 아동기의 건강 불평등", 보건사회연구, 34(3): 7-32.
  21. 장희경.조병은, 1995, "맞벌이 가족의 조모-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6(1): 211-224.
  22. 전현배.정유선, 2009, "자녀 수와 자녀 교육수준의 대체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노동경제논집, 32(2): 1-25.
  23. 정소희, 2006, "가족구조, 부모양육행동 및 청소년비행-모자가정과 부자가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0: 185-213.
  24. 정소희, 2011, "갈등적인 부부관계와 한부모가족, 어느 것이 아동의 정신건강에 더 해로운가?", 사회복지연구, 42(4): 165-186.
  25. 정진성.박현호, 2010, "지역사회의 구조적 특성이 살인범죄에 미치는 영향-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한음이항 회귀분석", 형사정책연구, 21(1): 91-119.
  26. 조아미.임영식, 2009, "가족구조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지위 비행의 차이", 미래청소년학회지, 6(1): 137-154.
  27. 최선화, 2000, "편부모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또래집단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복지학, 6: 187-214.
  28. e-나라지표, 2015, "한부모 가구 비율", http://www.index.go.kr.
  29. Amato, P. R., and Anthony, C. J., 2014, "Estimating the effects of parental divorce and death with fixed effects model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6(2): 370-386. https://doi.org/10.1111/jomf.12100
  30. Angel, R., and Worobey, J. L., 1988, "Single motherhood and children's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9(1): 38-52. https://doi.org/10.2307/2137179
  31. Cameron, A. C., and Trivedi, P. K., 2013, Count Panel Data, In Badi H. Baltagi(Ed.), The Oxford Handbook of Panel Data Econometr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2. Campbell, F., Conti, G., Heckman, J. J., Moon, S. H., Pinto, R., Pungello, E., and Pan, Y., 2014, "Early childhood investments substantially boost adult health", Science, 343(6178): 1478-1485. https://doi.org/10.1126/science.1248429
  33. Case, A., Lubotsky, D., and Paxson, C., 2001, "Economic status and health in childhood: The origins of the gradient", NBER Working Paper, No. 8344.
  34. Case, A., Fertig, A., and Paxson, C., 2005, "The lasting impact of childhood health and circumstance",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4(2): 365-389. https://doi.org/10.1016/j.jhealeco.2004.09.008
  35. Chen, A. Y., and Escarce, J. J., 2006, "Effects of family structure on children's use of ambulatory visits and prescription medications", Health Services Research, 41(5): 1895-1914. https://doi.org/10.1111/j.1475-6773.2006.00584.x
  36. Corak, M., 2001, "Death and divorce: The long-term consequences of parental loss on adolescents", Journal of Labor Economics, 19(3): 682-715. https://doi.org/10.1086/322078
  37. Dawson, D. A., 1991, "Family structure and children's health and well-being: Data from the 1988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on child healt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3(3): 573-584. https://doi.org/10.2307/352734
  38. Deleire, T., and Kalil, A., 2002, "Good things come in threes: Single-parent multigenerational family structure and adolescent adjustment", Demography, 39(2): 393-413. https://doi.org/10.1353/dem.2002.0016
  39. Fronstin, P., Greenberg, D. H., and Robins, P. K., 2001, "Parental disruption and the labour market performance of children when they reach adulthood",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4(1): 137-172. https://doi.org/10.1007/s001480050163
  40. Gimenez, L., Chou, S.-Y., Liu, J.-T., and Liu, J.-L., 2013, "Parental loss and children's well-being",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48(4): 1035-1071.
  41. Gorman, B. K., and Braverman, J., 2008, "Family structure differenc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U.S. children", Social Science & Medicine, 67(11): 1766-1775.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8.09.034
  42. Guo, G., and VanWey, L. K., 1999, "Sibship size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Is the relationship causal?",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4(2): 169-187. https://doi.org/10.2307/2657524
  43. Heck, K. E., and Parker, J. D., 2002, "Family structure, socioeconomic status, and access to health care for children", Health Services Research, 37(1): 171-184. https://doi.org/10.1111/1475-6773.99190
  44. Hilton, J. M., and Kopera-Frye, K., 2007, "Differences in resources provided by grandparents in single and married parent families",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47(1-2): 33-54. https://doi.org/10.1300/J087v47n01_03
  45. Kuo, H.-H. D., and Hauser, R. M., 1997, "How does size of sibship matter? Family configuration and family effects on educational attainment", Social Science Research, 26(1): 69-94. https://doi.org/10.1006/ssre.1996.0586
  46. Langton, C. E., and Berger, L. M., 2011, "Family structure and adolescent physical health, behavior, and emotional well-being", Social Service Review, 85(3): 323-357. https://doi.org/10.1086/661922
  47. Leininger, L. J., and Ziol-Guest, K. M., 2008, "Reexamining the effects of family structure on children's access to care: The single-father family", Health Services Research, 43(1): 117-133. https://doi.org/10.1111/j.1475-6773.2007.00758.x
  48. Raymo, J. M., Park, H., Iwasawa, M., and Zhou, Y., 2014, "Single motherhood, living arrangements, and time with children in Japa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6(4): 843-861. https://doi.org/10.1111/jomf.12126
  49. Smith, J. P., 2009, "The impact of childhood health on adult labor market outcom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91(3): 478-489. https://doi.org/10.1162/rest.91.3.478
  50. Sun, Y., and Li, Y., 2009, "Parental divorce, sibship size, family resources, and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Social Science Research, 38(3): 622-634. https://doi.org/10.1016/j.ssresearch.2009.03.007
  51. Thomas, D., Strauss, J., and Henriques, M.-H., 1991, "How does mother's education affect child height?",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26(2): 183-211. https://doi.org/10.2307/145920
  52. Ziol-Guest, K. M., and Dunifon, R. E., 2014, "Complex living arrangements and child health: Examining family structure linkages with children's health outcomes", Family Relations, 63(3): 424-437. https://doi.org/10.1111/fare.12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