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Accomplishing Pressure of Teachers and Paren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in Mathematics

수학 내재적 동기 수준에 따른 교사와 부모의 성취압력이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03.10
  • Accepted : 2016.09.12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teachers and paren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in mathematics.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teachers was meaningfu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in the analysis including the interaction of intrinsic motivation in mathematics. The students with high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were influenced in a negative manner. Meanwhile the students with middle or low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were influenced in a positive manner. The result implies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consider the level of mathematical intrinsic motivation, when teachers accomplish an achievement pressure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On the analysis including the interaction of intrinsic motivation of mathematics,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showed positive effect in gener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 students with high or middle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were highly influenced in a positive manner than the students with low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 implies the necessity of the implementation of continuous accomplishing pressure on students as the high degree of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leads to posi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성취압력과 수학 내재적 동기의 영향력과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내재적 동기의 수준에 따라, 수학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교사의 성취압력은 수학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수학 내재적 동기 중 하집단에서는 교사의 성취압력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수학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수학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수학 내재적 동기가 중 상인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수학 학업성취도에 더 큰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와 부모의 성취압력을 통해 수학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되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호, 허원무, 박경도(2016). 서비스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가 감정노동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선행과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21(1), 1-27.
  2. 곽수란 (2008). 학업성취 교사기대 그리고 학업적응과의 관계분석. 교육사회학연구, 22(1), 1-24.
  3. 권형자 (1992). 학습동기, 귀인성향, 학습시간과 학업성적과의 관계 및 이 세 변인들이 후속 성취기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경식, 이현철(2011). 학업성취에 대한 학급풍토의 영향. 중등교육연구, 59(1), 1-23.
  5. 김기석, 황지원(2006). 교사의 학업성취 강조가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제1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493-515.
  6. 김미선(2004). 부모의 성취압력 및 가족의 지지와 시험불안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민성, 신택수(2010). 중학생이 지각한 학교의 심리적 환경과 자기결정성, 학습노력, 학업성취, 학교만족도의 인과관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1(3), 43-70.
  8. 김성식(2007). 중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 풍토 변의 영향 분석. 한국교육, 34(2), 27-49.
  9. 김성식, 김양분, 강상진, 김현철, 신종호(2007). 한국교육종단연구2005(III): 기초분석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기술보고 RR 2007-20-01.
  10. 김성식(2008). 한국교육종단연구2005(IV).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8-29.
  11. 김성애(2008).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학습동기, 태도 및 불안이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용래(1993). 학업성적에 대한 기여요인의 영향력 분석.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양분, 김성식, 박성호, 민병철, 강상진, 김현철, 신종호(2006).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II). 한국교육개발원 RR 2006-22.
  14. 김현욱, 안세근(2011). 부모 및 학교의 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과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1(3), 1-18.
  15. 노정림(2006).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시험불안과의 관계: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노정애(1994).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문적 자애개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명혜원(1999). 중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내적동기와 학업성취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문병상(2013). 수학교과의 내재적 동기의 유능감 신념의 관계에 대한 종단 연구. 교육심리연구, 27(3), 595-609.
  19. 박수자(1996). 지각된 부모의 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습소외 및 대처행동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영신, 김의철(2003). 한국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업성취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 토착심리학적 접근. 청소년학연구, 10(1), 139-165.
  21.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2004). 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자기 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0(3), 37-59.
  22. 방숙진(2011). 부모의 성취압력, 청소년의 시험불안 및 정신적 안녕감 간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신채영(2013). 중학생의 수학 학습 동기와 수학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오지은, 추상엽, 임성문(2009). 부모의 학업적 성취압력과 청소년 자녀의 시험불안간 관계: 완벽주의와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및 인지전략과 메타인지전략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0(4), 209-237.
  25. 이규민, 강상진, 노명완, 유제명, 류희찬(2006). 국가수준의 종단적 교육조사 연구를 위한 성취도 검사 및 척도개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6-1.
  26. 이좌찬(1987). 시험에 대한 부모의 태도와 학생의 불안수준 및 학업성적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희정, 박천건, 허난(2012). 학생의 배경 요인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TIMSS 2007 자료를 활용한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585-603.
  28. 정주영(2014). 교사의 성취압력, 중학생의 시험스트레스, 자기조절학습능력 간 관계에 관한 종단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1(2), 173-192.
  29. 조수영(1980). 학업성적과 가정환경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차동춘(2015). 중학교 수학 학업 성취도 성장에 대한 사교육의 효과. 교원교육, 31(3), 247-272.
  31. 최경숙(2007).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성취목표가 아동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두호(2012). 학교 성취압력의 학업성취에 대한 영향 :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추상엽, 임성문(2008).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 부모의 교육지원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5(7), 347-368.
  34. 탁경문(1992). 지각된 성취압력이 성취동기와 사회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한지선, 박형빈, 이헌수(2013). 수학 선행학습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대학 영재교육원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87-112.
  36. 홍은자(2001). 어머니 성취압력과 학원.학습지 이용이 유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Deci, E. L.(1975). Intrinsic Motivation. New York: Plenum Press.
  38. Deci, E. L., & Ryan, R. M.(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39. Kline, R. B.(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e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40. Lepper, M., Corpus, J. H., & Iyengar, S. S.(2005).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in the classroom: age differences and academic correlates. Joi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7(2), 184-196. https://doi.org/10.1037/0022-0663.97.2.184
  41. Ryan, R. M., & Connell, J. P.(1989).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and internalization: Examining reasons for acting in two domai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749-761. https://doi.org/10.1037/0022-3514.57.5.749
  42. Vallerand, R. J., Pelletier, L. G., Blais, M. R., Briere, N. M., Senecal, C., & Vallieres, E. F.(1992). The academic motivational scale: A measure of intrinsic, extrinsic, and amotivation in educ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2, 1003-1017. https://doi.org/10.1177/0013164492052004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