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선진국과 한국의 정부회계개혁 비교와 정책적 함의

A Comparison of Government Accounting Reform in Advanced Countries and South Korea and Policy Implications

  • 투고 : 2016.05.09
  • 심사 : 2016.07.04
  • 발행 : 2016.09.28

초록

본 연구는 선진국과 한국의 정부회계제도 개혁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진국과 한국의 정부회계제도 개혁은 제도 도입기, 제도 형성기, 제도 안정기의 순서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뉴질랜드, 미국, 영국, 한국의 정부회계개혁 사례에 대한 문헌조사 및 뉴질랜드, 미국, 영국, 한국의 재무부, 감사원, 정부회계기준위원회 등의 홈페이지에서 체계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선진국과 한국은 발생주의 회계제도 도입을 통하여 포괄적이고 객관적인 재정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의 정부회계제도에 비하여 한국의 정부회계제도는 개혁이 더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통합재무제표 범위의 확대, 공공부문 회계기준의 일관성 확보, 정부회계 감사제도의 정비, 발생주의 예산제도의 활용 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다만 정부회계는 기업회계와 차이가 있으므로 정부회계제도 개혁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government accounting reform of advanced countries and South Korea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The reform steps are structured down to institutional introduction, institutional formation and institutional stability. I researched the literatures on the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and compiled research materials from the Finance Ministries, Audit Offices, and Government Accounting Standards Boards websites of New Zealand, US, UK and South Korea. Analysis showed that advanced countries and South Korea have adopted accrual accounting systems which have provided mor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financial information. But the government accounting system of South Korea compared with those of advanced countries needs reform.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include: expanding range of whole of government financial statements; giving coherence to the public accounting standards; adopting government audit system; and introducing accrual budgeting.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business accounting and government accounting and the differences are considered for government accounting refor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윤권, "중국 정부행위의 제도화: 인치에서 법치로," 한국행정학보, 제43권, 제4호, pp.129-153, 2009.
  2. T. B. Lawrence, M. I. Winn, and P. D. Jennings, "The Temporal Dynamics of Institutionalization,"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No.4, pp.624-644, 2001. https://doi.org/10.5465/AMR.2001.5393901
  3. P. S. Tolbert and L. G. Zucker, "Institutional Sources of Change in Formal Structure of Organizations: The Diffusion of Civil Service Reform, 1880-1935,"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8, No.1, pp.22-39, 1983. https://doi.org/10.2307/2392383
  4. 염재호, 홍성만, 왕재선, "정부관료제의 역사적 형성과 제도변화: 중앙행정기관 조직시스템 변화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제10권, 제1호, pp.5-49, 2004.
  5. 홍성만, 염재호, 최흥석, "한국중앙재정기구의 형성과 변화과정: 미군정이후 조직적 기제의 기능변화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제13권, 제2호, pp.251-288, 2007.
  6. J. Williamson, The Political Economy of Policy Reform,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994.
  7. http://www.nzhistory.net.nz/
  8. J. Pallot, "Innovation in National Government Accounting and Budgeting in New Zealand," Research in Governmental And Nonprofit Accounting, Vol.9, pp.323-338, 1996.
  9. J. Pallot, "Government Accounting and Budgeting Reform in New Zealand," OECD Journal on Budgeting, Vol.2, No.1, pp.163-186, 2002.
  10. 김상노, 정지웅, 박보희, 윤송이, 오미경, 임정혁, 유동훈, 이진관, 이남주, 이혜진, 주요 5개국 국가회계제도에 대한 연구, 국가회계기준센터, 2013.
  11. 이경섭, 정부회계개혁, 감사원, 2000.
  12. J. L. Chan, "Government Budgeting and Accounting Reform in the United State," OECD Journal on Budgeting, Vol.2, No.1, pp.187-223, 2002.
  13. 삼성경제연구소, SERI 보고서로 읽는 글로벌 경제위기, 삼성경제연구소, 2009.
  14. A. Likierman, "The UK Government's Accounting and Budgeting Revolution," Research in Governmental and Nonprofit Accounting, Vol.9, pp.303-322, 1996.
  15. IFAC/PSC, "Resource Accounting: Framework of Accounting Standard Setting in the UK Central Government Sector," Occasional Paper 5, IFAC, 2002.
  16. N. Hepworth, "Government Budgeting and Accounting Reform in the United Kingdom," OECD Journal on Budgeting, Vol.2, No.1, pp.115-162, 2002.
  17. 오연천, 이달곤, 김동건, 노화준, 정용덕, 김준기, 정홍익, 최병선, 임도빈, 이석원, 김광웅, 세계화시대의 국가정책, 박영사, 2004.
  18. 이남국, "한국 정부회계제도개혁과정에 관한 분석: Luder의 상황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7권, 제4호, pp.193-213, 2003.
  19. 편호범, 정부회계의 복식부기 및 발생주의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0. https://www.xrb.govt.nz/
  21. L. S. Athukorala and B. Reid, Accrual Budgeting and Accounting in Government and its Relevance for Developing Member Countries, Asian Development Bank, 2003.
  22. http://www.fasab.gov/
  23. GAO, Accrual Budgeting: Experiences of Other N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United States, US GAO, 2000.
  24. 김혁, 이병철, 전중열 최신재, 알기 쉬운 정부회계, 신영사, 2004.
  25. D. Heald, "The Implementation of Resource Accounting in UK Central Government," Financial Accountability and Management, Vol.21, No.2, pp.163-189, 2005. https://doi.org/10.1111/j.1468-0408.2005.00214.x
  26. https://www.gov.uk/government/groups/financial-reporting-advisory-board-frab.
  27. 임동완,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의 발전을 위한 제도의 연계에 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9권, 제3호, pp.241-266, 2012.
  28. 국가회계기준센터, 국가회계제도 개혁 백서, 기획재정부, 2012.
  29. http://www.treasury.govt.nz/
  30. 주인기, 박현영, 김종선, 선진국 재무제표 비교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31. http://www.oag.govt.nz/
  32. http://www.treasury.gov/
  33. http://www.gao.gov/
  34. GAO, Accrual Budgeting Useful in Certain Areas but Does not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for Reporting on Out Nation's Longer-Term Fiscal Challenge, US GAO, 2007.
  35. http://www.hm-treasury.gov.uk/
  36. http://www.nao.gov.uk/
  37. 김재훈, "성과관리행정개혁을 위한 정부예산회계제도개혁: 영국, 호주 및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4권, 제1호, pp.121-144, 2003.
  38. 윤재원, "발생기준 예산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발표자료, 2010.
  39. 임동완, "발생주의 예산제도에 대한 국가간 비교 연구," 국가정책연구, 제28권, 제4호, pp.93-115, 2014.
  40. http://www.bai.go.kr/
  41. 양은전, 김경만, "2011회계연도 재무제표 결산검사 결과 및 향후 검사방향," 계간감사, 제115권, pp.26-31, 2012.
  42. 염호열, "2012회계연도 재무제표 결산검사 결과 및 향후 검사방향," 계간감사, 제119권, pp.66-73, 2013.
  43. 임동완, "정부 회계검사 제도의 제도적 제약과 행위자의 선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193-203,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193
  44. 김경호, "공공회계기준의 동향," 한국정부회계학회 하계세미나 발표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