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ned Green Space in High Density Residential Zone and Quality of Life : Areal to Spatial Context

도시녹지와 주민의 삶 - 면적에서 공간의 관점으로 -

  • 황유정 (청주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4.10.30
  • Accepted : 2016.08.25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Four parks were selected to study the current situation after large scale suburban housing development in the 1990s. Since housing development road network have expanded with other facilities. First of all, green space area available per housing unit is 7.11- 22.0 sq. m. These parks neither extend as green corridor with surrounding hillside mountains (the river or lakes) nor act as the wind path from the mountains. Some housing units have reconstructed and the others will be redeveloped in near future which would more challenges for the residents in terms of quality of their life.

본 연구는 1980년대에 이후 개발된 고밀도주거지역 주변에 조성된 도시공원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와 열섬현상은 도시민들의 삶의 질을 위협한다. 도시개발 후 녹지공간을 확대할 수 없는 조건하에서 계속적으로 인접지역에 시설물, 건물, 도로망이 확충되었다. 신도시 건설계획에 따라 조성된 도시공원들을 비교한 결과, 도시계획단계에서 최소한의 녹지를 확보했으나 개발 후 20년 이상 지난 시점에서 주민에게 적절한 녹지공간이 되지 못하며, 녹색섬으로 남거나 냉섬 효과, 녹지연결성, 바람길 통로로서의 기능은 미흡하다. 일부 지역은 재건축이 완료되거나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더욱 더 주민에게 삶의 질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 2008, 이용자중심의 도시공원조성방안.
  2. 경기개발연구원, 2009, 도시공원의 불균형배치 개선방안연구.
  3. 경기개발연구원, 2010, 경기도 한남 정맥연구.
  4. 기형석, 한병호, 허지연, 2012, 도시공원의 토지피복 및 식재구조에 따른 온도영향요인 규명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5), 801-811.
  5. 김교정, 2012, 도시공원 이용자들을 위한 공원녹지활용화 전략, 한국 콘텐츠학회 논문지, 12(10), 195-204.
  6. 김귀곤, 1991, 우리나라 도시의 생활환경, 토지 연구 제2권, 3 4월호, 17-31.
  7. 김귀곤 편저, 1994, 도시공원녹지의 계획 설계론 -녹색 도시의 창출-서울대학교 출판부.
  8. 김기호, 문국현 2006, 도시의 생명력, 그린웨이, 랜덤하우스 중앙.
  9. 김재한, 2012, 청주시 환상녹지의 경관파편화 실태와 지속가능한 녹지관리 방안 모색, 대한지리학회지 47(1), 79-97.
  10. 김희우, 2000, 도시공원의 질적인 개선방안 -광주 광역시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논문집 21집, 2권, 843-862.
  11. 김연금, 최정민, 2012, 영국 공원녹지정책의 최근 경향과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40(2), 86-96. https://doi.org/10.9715/KILA.2012.40.2.086
  12. 김영화, 여운상, 2010, 소규모공원조성을 위한 국공유지 적합성 평가-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8(5-상), 31-41.
  13. 김지석, 홍석환, 오충헌, 2012, 토지이용유형별 야생조류 군집구조특성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3), 313-321.
  14. 김현옥, 염종민, 2012, 도시지역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원격탐사학회, 28(2), 203-214. https://doi.org/10.7780/kjrs.2012.28.2.203
  15. 김현준, 정성관, 이우성, 2011, 도시공원의 공간적 불균형 분석을 통한 공급적 정성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9(4), 18-27. https://doi.org/10.9715/KILA.2011.39.4.018
  16. 김연금, 최정민, 2012, 영국 공원 녹지 정책의 최근 경향과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40(2), 86-96. https://doi.org/10.9715/KILA.2012.40.2.086
  17. 박진기, 박종화, 나상일, 백신철, 2012, 도심하천이 도시 열 환경완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보고서.
  18. 박태옥, 김남미, 김경중, 김도훈, 2003, GIS를 활용한 바람길 분석시스템, 한국공간정보학회, 98-103.
  19. 반영운, 이태호, 2009, 공원조성 압력지수를 이용한 공원개발 우선순위선정, 한국조경학회지 37(4), 1-11.
  20. 변혜선, 송영배, 한봉호, 2009, 도시녹지와 도시기 후를 고려한 토지이용계획기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4(4), 37-49.
  21. 사공정희, 나정화, 조현주, 2007,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추가녹지 조성 우선순위선정, 한국조경학회지, 34(6), 10-21.
  22. 서현진, 전병운, 2011,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 221-237.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4.221
  23. 성현찬, 황소영, 2013, 도시공원 녹지의 생태성 및 기후변화 대응성 평가 기초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6(3), 107-117. https://doi.org/10.13087/kosert.2013.16.3.107
  24. 성현찬, 김미리, 황소영, 김수련, 2014, 도시생태네 트워크구축을 위한 도시공원의 연결성 평가 기초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7(2), 125-136. https://doi.org/10.13087/kosert.2014.17.2.125
  25. 송봉근, 박경훈, 2013, 도시지역의 바람길 조성을 통한 야간시간대의 공기순환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2), 16-29.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2.016
  26. 송봉근, 2014,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및 열섬효과 완화를 위한 환경계획기법의 개발, 창원대.
  27. 송영배, 2002, 신도시 개발이 도시열섬 형성에 미치는 영향-분당신도시와 판교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30(4), 37-46.
  28. 심상욱, 2002, 일본의 도시경관조례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1호), 107-123.
  29. 양다혜, 2015, 녹색건축인증 공동주택의 옥상녹화 관리현황 및 제도 개선방안: 은평뉴타운 1 지구를 중심으로, 서울여대.
  30. 오정학, 조재형, 조현제, 최명섭, 권진오, 2008, 경관생태학적 도시 숲 관리를 위한 비오톱 평가지표 및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호), 101-111.
  31. 오시영, 박동화, 나상일, 2012, 청주시 토지 피복 분포에 따른 도시 기온변화, 한국수자원학회, 266-266.
  32. 윤은주, 2006, 서울시 도시 녹지 평가를 위한 경관지수의 민감성 및 변별력 분석, 서울시립대, 대학원 박사논문.
  33. 윤희천, 김민규, 정갑용,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녹지증가에 따른 온도변화분석, 한국측량학회지 31(2), 143-150. https://doi.org/10.7848/ksgpc.2013.31.2.143
  34. 이수동, 2005,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산지형 도시 녹지의 연결성 평가 및 연결기법연구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67-70.
  35.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유주한, 2014, 도시공간의 통합적 녹지환경평가, Jour.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2), 15-31.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2.015
  36. 이유화, 양인철, 김도경, 임지현, 2013, 도로 주변부 기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로조건과 교통특성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 33(4), 1619-1629. https://doi.org/10.12652/Ksce.2013.33.4.1619
  37. 이우민, 서승연, 이경환, 2016, 지역주민들의 행복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에 대한 실증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2), 351-360. https://doi.org/10.5762/KAIS.2016.17.2.351
  38. 이은엽, 김진선, 문석기, 1997, 고밀도주거단지의 조경녹지확대를 위한 연구 도시지역개발연구 제5집.
  39. 이재영, 김태경, 2011, 공원부족구역 분석을 통한 도시공원 확충방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3), 1-9. https://doi.org/10.9715/KILA.2011.39.3.001
  40. 이정연, 정태열, 2013, 대구 도시공원의 변환에 나타난 사회적 의미해석, 한국조경학회지, 41(3), 72-82. https://doi.org/10.9715/KILA.2013.41.3.072
  41. 장대희, 2012, 도시기후 영향 최소화 핵심 녹색건 설기술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2. 조흥근, 2009, 도시개발사업의 열섬 완화대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모니터링보고서.
  43. 정응호, 2013, 도시쾌적성 향상을 위한 도시계획 평가기준 및 기술개발, 미래창조과학부.
  44. 최광호, 2004, 주거환경개선 측면에서의 재건축단지 계획에 나타난 공간 배분 비연구, 서울산업대.
  45. 홍성권, 1992, 도시공원 이용자의 목적지선 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재단.
  46. 환경부, 2012, 전국자연환경조사.
  47. Bryan, H., 2010, Digital Simulations and Zoning Codes: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conference paper.
  48. Landsberg, H.E., 2004, 이현영 역, 도시기후학, 대광문화사.
  49. Jasper Schipperijna, 1, Ola Ekholmb Ulrika K. Stigsdottera, Mette Toftagerb, Peter Bentsena, Finn Kamper-Jorgensenb, Thomas B. Randrup, 2010,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green space: Results from Danish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5, 130-137.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9.1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