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Japan and Korea Aesthetic Point of View in the Modern Fashion - Korea Aesthetic Point of View in the Modern Fashion -

현대 패션에 내재된 한·일 미적관점 비교연구(제1보) - 한국의 미적 관점을 중심으로 -

  • Chae, Keum-Se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Kim, Ju-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 ;
  • 김주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 전공)
  • Received : 2016.03.28
  • Accepted : 2016.05.31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Sensitivity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relation to design in a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In the West, the concept of aesthetics has long been established but in the East, only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China the discussion had begun. In Korea where the first scholarly discussion on aesthetics had begun around 1929, more and more rigorous and theoretical discussions emerge nowadays. Korean beauty consists of unplanned Beauty and unplanned planned Beauty. Japanese beauty consists of the beauty of half-articulation and the beauty of articulation. While both Korea and Japan base their sense of beauty on nature, Korea emphasizes the nature as it is and Japan values the artful decorative elements. In modern Korean fashion, the characteristic Korean aesthetics of unplanned Beauty appears in the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such as the movement with natural gathering, the use of natural materials like cotton, the harmonization of black and white, and simplified silhouette. Also, there are plays on balance and proportion using straight and curves lines and variegated colors and creative printing, intentional asymmetry, and destrution.

Keywords

References

  1. 고유섭. (2005). 구수한 큰맛. 서울: 다할미디어.
  2. 김진민. (2005). 한일여성복식의 현대화에 나타난 미적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영호. (1998). 동양미학의 입장에서 바라 본 영화.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영필. (1991). 한국 전통 미술의 미학적 과제. 한국학 연구, 제4집, 228-231.
  5. 권영필. (2005). 한국의 美를 다시 읽는다. 서울: 돌베게.
  6. 권영필. (1992). 한국 전통 미술의 미학적 과제. 한국학 연구, 4, 228-231.
  7. 김은정.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민주식. (2002). 아름다움 그 사고와 논리. 서울: 영남대학교 출판부.
  9. 민주식. (2003). 한국 전통미학사상의 구조. 미학예술학연구, 17, 23-41.
  10. 사사키겡이치. (2002). 미학사전(민주식 역). 서울: 동문선.
  11. 심영옥. (2006). 한국의 아름다움, 그 의미. 서울: 진실한 사람들.
  12. 안휘준. (1984). 한국 미술의 미의식. 서울: 정신문화연구원.
  13. 안휘준, 김원룡. (2003). 한국 미술의 역사. 서울: 시공사.
  14. 야나기 무네요시. (2006). 조선과 그 예술. 경기: 신구문화사.
  15. 윤내한. (2004). 산업디자인의 미적가치와 범주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상우. (2002). 철학/미학, 동양철학/동양미학 그 분류와 범주의 문제에 관한 고찰. 美學, 1-33.
  17. 이선재. (1998). 의상학의 이해. 서울: 학문사.
  18. 이혜현. (2007). 현대 패션에 나타난 카오스적 현상에 관한 연구 : 동.서양 비교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임석재. (2013). 지혜롭고 행복한 집. 서울: 인물과사상사.
  20. 전인평. (2010). 보고 듣는 우리 음악의 멋 열가지. 서울: 현대음악출판사.
  21. 전진영. (2003). 한일 전통 복식에 나타난 문양 비교:16-18c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조요한. (1999). 한국미의 탐구를 위한 서론. 미학.예술학 연구, 9, 5-27.
  23. 조요한. (1999). 한국미의 조명. 서울: 열화당.
  24. 채금석. (2002). 현대복식미학. 서울: 경춘사.
  25. 채금석. (2003). 세계패션의 흐름. 서울: 지구문화사.
  26. 채금석. (2004). 현대 일본 패션에 내재된 꾸밈미학. 한국복식학회, 54 (3), 113-127.
  27. 채금석, 고정민. (1997). 생활한복에 대한 의식구조와 선호도에 따른 디자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86('99.7), 654-666.
  28. 채금석, 채혜숙. (2008). 현대패션에 나타난 동양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6(1), 60-72.
  29. 최순우. (1955). 우리나라 미술사 개설. 새벽, 2 ('55.3), 74-77.
  30. 최준식. (2000). 한국미,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 서울: 효형출판.
  31. W. Tataskiewicz. (1999). A History of Six Idea An Essay in Aesthetics(손효주 역). 경기: 미술문화. (원저 1980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