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Learning Criteria and Contents Analysis of Clothing Domain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for STEAM Education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의생활 영역의 학습준거 개발 및 내용분석

  • 박은희 (대구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6.02.29
  • Accepted : 2016.05.19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the learning criteria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education pursued by STEAM. The learning criteria was developed on a basis of 6 kinds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by 2009 Amended Curriculum, and the factors of STEAM were extracted according to related conten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unit 'Dress and Self-expression' assimilated T.E.A.M with learning related to clothing psychology, consumer behavior, fashion design, and Korean fashion. The unit 'eco-friendly clothing and fixing clothes' was found to assimilate S.T.E.A.M. with learning related to clothes science and dress structure. Accordingly we can understand this unit also consists of the S. T. E. A. M assimilation such as clothes science, fashion marketing, dress structure, dress aesthetics, design and so on. Both units 'dress and self-expression' and 'eco-friendly clothing and fixing clothes' were found to consist of suggesting situations, creative planning and emotional experience following the learning criteria of STEAM. Therefore, these units will be the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STEAM programs centering upon 'Home Economics' among the curriculum.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11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개발. 88, 184.
  2. 금지헌. (2012). 실과 가정생활 영역을 활용한 융합 인재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실과에 대한 태도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교육학회지, 24(1), 61-71.
  3. 김기수 외 15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원교재사.
  4. 김기수 외 15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2). 서울: 원교재사.
  5. 김남은, 이혜자. (2010).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에 가정 교과 의생활 영역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의복관리와 섬유(재료)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교육학회지, 22(3), 163-188.
  6.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388
  7. 김연정. (2013). 수사적 접근방법을 통한 융합인재 교육(STEAM) 초등 디자인 교육 과정 연구. 기초조형학 연구, 14(6), 37-45.
  8. 김우석, 민병미, 김동력, 손연아. (2013). 창의.인성 및 STEAM 교육을 위한 제로 에너지하우스 만들기 프로그램 개발. 환경교육, 26(3), 298-314.
  9. 김지숙 외 11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주)비상교육.
  10. 김지숙 외 11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2). 서울: (주)비상교육.
  11. 김진수. (2013). 공과대학에서 융합교육을 위한 STEAM 교육. 공학교육, 20(1), 46-53.
  12. 박영석, 구하라, 문종은, 안성호, 유병규, 이경윤, 이삼형, 이선경, 주미경, 차윤경, 함승환, 황세영. (2013). STEAM 교사 연구회 개발 자료 분석: 융복합교육적 접근. 교육과정연구, 31(1), 159-186.
  13. 박은희, 조현주. (2013).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의복구성 분야 내용 분석. 패션비즈니스, 17(1), 131-144. https://doi.org/10.12940/jfb.2013.17.1.131
  14. 박정숙. (2012, 12. 10). 스토리텔링수학이야기 스팀교육전격 도입...'융합적 사고력 기른다'. 자료검색일 2016.2.29, 자료출처 http://chosun.com
  15. 배진호, 윤봉희, 김진수. (2013).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과학수업이 과학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2(4), 557-566.
  16. 배현영, 이혜자. (2012). 문화예술교육과 경험을 중심으로 한 중학교 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적용.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0(8), 79-95.
  17. 이다혜, 양정혜. (2008). 실천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문제해결력과 식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실과 식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1), 73-94.
  18. 이상형 외 14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주)미래엔.
  19. 이상형 외 14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2). 서울: (주)미래엔.
  20. 이유미, 손연아. (2010). 초등학교 초임 교사와 경력 교사의 다학문적 통합과학 수업 사례 분석. 초등과학교육연구, 29(4), 552-566.
  21. 이철현, 한선관. (2011). 실과교육중심의 STEAM 융합인재교육 모형 개발. 한국실과 교육학회지, 24(4), 139-162.
  22. 이춘식 외 10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주)천재교육.
  23. 이춘식 외 10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2). 서울: (주)천재교육.
  24. 전미경. (2012).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가족'에 관한 연구-2007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하는 가족'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4(2), 29-49.
  25. 정미경. (2010).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초등 실과 의생활교육 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3), 217-241.
  26. 조강영 외 13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주)금성출판사.
  27. 조강영 외 13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2). 서울: (주)금성출판사.
  28. 조순자, 김효남. (2013). STEAM 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교육과정 구성요소 분석. 초등교과 교육연구, 18, 19-39.
  29. 최유현 외 10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1). 서울: (주)천재교과서.
  30. 최유현 외 10인. (2013). 중학교 기술.가정(2). 서울: (주)천재교과서.
  31.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STEAM 교육실현을 위한 교.사대 교육과정 개발연구 과제 제안요구서.
  32.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현장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현안보고 OR 2012-02-02 Inssue Paper(2), 15-17.
  33. Ingram, J. B. (1979).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 long education: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school curric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