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010~2015년 사회네트워크분석(SNA) 방법 활용 국내외 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Investigating Trends of Gifted Educ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from 2010 to 2015

  • 투고 : 2016.05.16
  • 심사 : 2016.06.27
  • 발행 : 2016.06.30

초록

본 연구는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방법을 활용하여 최근 6년간(2010~2015년)의 국내 및 해외 영재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영재교육 관련 국내 KCI등재지인 '영재교육연구'(한국영재학회)와 '영재와 영재교육'(한국영재교육학회)에 게재된 논문 457편과 해외 SSCI학술지 'The Gifted Child Quarterly,'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High Ability Studies'에 게재된 논문 347편으로 선정하였으며, 각 논문의 영문 키워드를 추출한 후 SNA방법으로 키워드 네트워크와 연결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외 공통적으로 academically gifted, science gifted, gifted를 중심으로 achievement, identification, intelligence의 키워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영재를 대상으로 성취, 판별, 지능에 관련된 연구들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cognitive, motivation, self-concept이 공통적인 관심 주제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에서는 creativity, gifted education, gifted education teacher를, 해외에서는 foreign countries, student attitudes를 키워드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국내 영재교육 연구에서는 해외와 달리 외국사례, 학생태도, 성별차이 관련 키워드 빈도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국내 영재교육 연구는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gifted education in the last six years (2010-2015) by utilizing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For papers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two KCI (Korea Citation Index) rated journals, the 'Gifted/Talented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were selected and 457 pieces published in two journals were collected. The papers of 347 published in SSCI rated journals, 'The Gifted Child Quarterly,'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and 'High Ability Studies' were selected. English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457 papers from Korean journals and 347 papers from foreign journals and the Social Network Analysis (SNA) way was utilized for keyword frequency and central network analyses. It was appeared that the trends of paper keywords from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showed common keywords, 'academically gifted', 'science gifted', and 'gifted' as center keyword frequency, and keywords, 'achievement', 'identification', 'intelligence' appeared as the most frequent ones. For domestic papers, keywords, 'creativity', 'gifted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teacher' were the highest frequent keywords while keywords, 'foreign countries', and 'student attitudes' were most frequent ones for the foreign countries. For the analysis of papers from five journals as one group, it was found that keywords, 'identification',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were the most important common ones and keywords, 'cognitive', 'motivation', and 'self-concept' were appeared as important keywords. The trend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seems to be different from ones of foreign countries, domestic papers of gifted education rarely included keywords of 'foreign examples', 'student attitudes', and 'gender differences.' Consequently, the trend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called for various research perspectiv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희 (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7.
  2. 강병직, 서혜애, 전경남 (2011). 해외 영재교육 사례 연구(I). 수탁연구 CR2011-69.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3. 고재창, 조근태, 조윤호 (201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기술경영의 최근 연구동향. 지능정보연구, 19(2), 101-123.
  4.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서울 : 교육부.
  5. 교육부 (2015). 영재교육통계연보. 서울 : 교육부
  6. 김경회, 곽창신 (2014). 이스라엘 영재교육의 특징과 시사점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1(1), 243-265.
  7. 김판준, 이재윤 (2014). 해외 데이터베이스의 통제키워드에 기초한 국내 학술지 논문의 자동분류 성능 향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3), 491-510.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491
  8. 민경아. 유미현, 고호경 (2011). 수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389-413.
  9. 박경빈 (2012).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823-840.
  10. 서인석, 하민지 (2011). 최근 행정 및 정책 학술연구의 주요연구기관 분석- 2009-2010 자료에 대한 다속성네트워크(2-mode SNA)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2(1), 179-207.
  11. 손종수, 조수환, 권경락, 정인정 (2012). SNS에서의 개선된 소셜 네트워크 분석 방법. 지능정보연구, 18(4), 117-127. https://doi.org/10.13088/JIIS.2012.18.4.117
  12. 안혜란, 유미현 (2015) 영재교육에서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5(3), 401-420.
  13. 이강섭, 황동주 (2004). 수학 영재교육의 최근 동향에 대한 분석: APCG 8, ERIC, ICME 10, ICCME & EGS '03을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18(4), 199-208.
  14. 이수상 (2013).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 논형.
  15. 이신동, 이경숙 (2015). 외국의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비교 : 미국, 영국, 독일, 호주, 이스라엘 사례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5(3), 439-463. https://doi.org/10.9722/JGTE.2015.25.3.439
  16. 이연주, 전영석, 신영준, 홍준의, 이인호, 최정훈 (2008). ERIC 검색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연구 동향 분석. 국제과학영재학회지, 2(1), 45-52.
  17. 이애리, 이신동 (2015). 영재학생의 완벽주의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영재와 영재교육, 14(2), 171-192.
  18. 이준기, 하민수 (2012).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한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과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32(5), 823-840.
  19. 이재분, 강병직, 이덕난 (2012). 영재교육진흥법 개선을 위한 연구. 수탁연구 CR2012-5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 이춘실, 문혜원 (2000). 한국의학학술 논문의 저자선정 주제어와 MeSH 용어의 비교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17(3), 109-124.
  21. 장세은 (2015). 코퍼스와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접목한 해양플랜트 산업 연구주제와 동향연구. 언어과학, 22(3), 171-198.
  22. 조철기 (2015). 싱가포르 영재교육과 인문사회과학 연구 프로그램의 특징과 함의. 중등교육연구, 63(3), 365-390.
  23. 최영출, 박수정 (2011). 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적용. 한국행정학보, 45(1), 123-139.
  24. 한기순, 양태연 (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년도 연구물 분석.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25. Oliver, W. H., Pettus, W. C., & Hedin, B. A. (1990). Three studies of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of black and females toward the pursuit of science and science-related care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4(4), 289-314.
  26. Otte, E., & Rousseau, R. (2002). Social network analysis: A powerful strategy, also for the information science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28(6), 441-453. https://doi.org/10.1177/016555150202800601
  27. Wasser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학술정보연구서비스. http://www.riss.kr
  29. Gifted Child Quarterly. http://gcq.sagepub.com/content/by/year
  30. High Ability Studies. http://www.tandfonline.com/loi/chas20?open=26&repitition=0#vol_26
  31.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http://jeg.sagepub.com/content/by/y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