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호주 고등학교 수학과 해석 영역 교육과정 비교

A Comparative Curriculum Analysis of High School Mathematics in Korea and Australia

  • 투고 : 2016.05.10
  • 심사 : 2016.06.08
  • 발행 : 2016.06.30

초록

국가 별 교육과정 비교는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과 방향을 탐색하는 주요한 연구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2년 새로운 교육과정을 공표, 2015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호주를 대상으로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호주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다루어야 할 개념을 실생활 맥락까지 함께 제시한다거나 다루어야 하는 수학적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해석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정적분의 도입을 '급수의 합'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에는 나타나지 않는 '운동 모델링', '수치적분법' 등이 나타나고, 그 외 '벡터함수의 미적분' 내용은 우리나라보다 심화된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호주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어떤 수학적 정의를 이해시키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보조 개념들을 충분히 다루고 있음이 나타났는데, 접근 방식에 있어 우리나라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 경감 측면에서의 연구에 고려해야할 사항이라 볼 수 있다.

Comparison of curriculum between various countries is a major research method for studying a course and content quoted on Korea's national curriculum.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comparing and analyzing a new curriculum which Australia has announced on 2012 and conducting since 2015. From this research result, we found that Australia's curriculum achievement shows some unique characteristics. Such examples can be dealing a concept with real life context and proposing a mathematical content specifically. Also they introduce the definite integral by defining to the sum of series. There are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modelling motion, and numerical integration which Korea's highschool curriculum achievement doesn't deal with, and the content of vector calculus is handled more deeply. As a result of analyzing Australia's textbook, it fully deals with the supplementary notion to help understand mathematical definition. Hence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later on to relieve the aspect of cognitive burden on Korean learn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선희(2014)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일본, 대만, 홍콩, 핀란드, 중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4(4), 481-498
  2. 김판수(2011) 한국과 중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의 내용과 전개방식 비교-수개념과 덧셈 뺄셈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15(3), 599-617
  3. 나귀수, 황혜정, 임재훈(2003).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내용 비교 연구-: 우리나라,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3(3), 403-428.
  4. 나미영, 이창석, 이지연, 윤상준, 오예린, 권오남 (2015)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CCSSM 성취기준 비교: 고등학교 통계 단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327-347.
  5. 박경미(2004) 중국 수학 교육과정의 내용과 구성 방식의 특징. 학교수학, 6(2), 119-134
  6. 박경미, 권오남, 박선화, 박만구, 변희현, 강은주, 서보억, 이환철, 김동원, 김선희(2014) 문.이과 통합형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
  7. 박경미, 임재훈(2002) 교과서: 한국, 일본과 미국, 영국의 수학 교과서 비교. 학교수학, 4(2), 317-331
  8. 방정숙, 이지영, 이상미, 박영은, 김수경, 최인영, 선우진(2015). 한국.중국.일본.미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2), 311-334.
  9. 소경희(2011). 국가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의성 관련 지침의 개선 방향 탐색- 캐나다, 영국, 호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17(2), 149-174.
  10. 소경희, 장주경, 이선영(2011) 호주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 및 주요 특징. 비교교육연구, 21(2), 51-73
  11.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12. 윤제진, 강홍재(2008)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3(1), 165-197
  13. 이숙경(1993) 한국과 러시아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미적분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32(3), 158-194
  14. 이용숙, 김영준, 이근님, 양미경, 최성욱, 박순경 (1995) 교과서 정책과 내용구성 방식 국제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95-17
  15. 임유나, 호우조(2014). 국제비교를 통한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 구성 체제의 개선. 한국교육학연구, 20(1), 41-66.
  16. 정서영, 윤종국(2009) 한국과 아일랜드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5(2), 161-179
  17. 정영옥(2004) 독일의 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Nordrhein-Westfalen 주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6(2), 181-211
  18. 최병훈, 방정숙, 송근영, 황현미, 구미진, 이성미 (2006)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8(1), 45-68
  19. 최영란, 조민식(2011) 한국과 핀란드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7(1), 61-82
  20. 허난, 안은경, 고호경(2011) 한국과 독일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을 통한 함수 내용 비교. 학교수학, 13(2), 323-343
  21. Caruso, T. et al. (2014), NELSON SENIOR MATHS GENERAL 12 for the Australian Curriculum. Australia: NELSON CENGAGE Learning.
  22. Coffey, D, et al. (2011), Mathematics 10-10A student book. Australia: PEARSON.
  23. MacBeth-Dunn, T. et al. (2014), NELSON SENIOR MATHS GENERAL 11 for the Australian Curriculum. Australia: NELSON CENGAGE Learning.
  24. Swift, S. et al. (2014), NELSON SENIOR MATHS METHODS 11 for the Australian Curriculum. Australia: NELSON CENGAGE Learning.
  25. Swift, S. et al. (2014), NELSON SENIOR MATHS METHODS 12 for the Australian Curriculum. Australia: NELSON CENGAGE Learning.
  26. Swift, S. et al. (2014), NELSON SENIOR MATHS SPECIALIST 11 for the Australian Curriculum,. Australia: NELSON CENGAGE Learning.
  27. Swift, S. et al. (2014), NELSON SENIOR MATHS SPECIALIST 12 for the Australian Curriculum. Australia: NELSON CENGAGE Learning.
  28. Thomson, S. et al. (2014), NELSON SENIOR MATHS ESSENTIALS 11 for the Australian Curriculum. Australia: NELSON CENGAGE Learning.
  29. Thomson, S. et al. (2015), NELSON SENIOR MATHS ESSENTIALS 12 for the Australian Curriculum. Australia: NELSON CENGAGE Learning.
  30.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ACARA), http://www.australiancurriculum.edu.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