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Statistics Strand i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l Resources: Focused on the Information-Processing Capacity

통계 내용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 정보 처리 능력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7.15
  • Accepted : 2016.08.22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statistics content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terms of an information-processing capacity, which is one of the math competencies emphasized by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tivities of 'summarizing and analyzing data or information' far outnumbered 'collecting data or information', 'interpret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and 'using technological instruments or manipulative materials'. Lessons of collecting data or information were mostly present in the textbooks of lower grade-levels, where the range of data collection was narrow, and lacked adequate exploration of data collecting methods. Some lessons on utilizing information were not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data, and using technological instruments or manipulative materials was merely introduced in teachers' manual and hardly introduced in the actual textbook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ought to suggest implica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statistics content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a manner to improve students'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

본 연구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 교과 역량 중 하나인 정보 처리 능력의 하위요소별로, 현행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교과서와 익힘책의 통계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료와 정보 정리 및 분석'에 해당하는 내용이 '자료와 정보 수집', '정보 해석 및 활용', '공학적 도구 및 교구 활용'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자료와 정보 수집은 자료 수집의 범위가 좁은 저학년에 많이 제시되어 있었고 자료 수집 방법에 대한 탐구가 부족하였다. 정보 해석 및 활용 또한 자료로부터 해석하기를 토대로 정보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있었으며, 공학적 도구 및 교구의 활용은 지도서에 안내하는 정도로 교과서에 거의 제시되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 처리 능력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자료와 가능성 영역 초등 수학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 신보미, 고은성, 이동환, 심송용, 구나영, 정인수, 최경식, 홍지혜 (2015). 통계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3.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4. 교육부 (2013a). 수학 2-1. 서울: 천재교육.
  5. 교육부 (2013b). 수학 2-2. 서울: 천재교육.
  6. 교육부 (2013c). 수학 2-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7. 교육부 (2013d). 수학 2-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8. 교육부 (2014a). 수학 3-2. 서울: 천재교육.
  9. 교육부 (2014b). 수학 4-1. 서울: 천재교육.
  10. 교육부 (2014c). 수학 4-2. 서울: 천재교육.
  11. 교육부 (2014d). 수학 4-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12. 교육부 (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13. 교육부 (2015b).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80호 [별책 1].
  14. 교육부 (2015c). 수학 5-2. 서울: 천재교육.
  15. 교육부 (2015d). 수학 6-2. 서울: 천재교육.
  16. 교육부 (2015e). 수학 6-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17. 배혜진, 이동환 (2016).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55-69.
  18.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강은주, 김선희, 임해미 외 (2015a).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연구보고서 BD15120005.
  19.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강은주, 김선희, 임해미 외 (2015b).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20. 박만구 (2016).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본 초등수학 수업에서 교구의 의미와 사용 방법 분석. 초등수학교육, 19(1), 61-78.
  21. 박영희 (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7-34.
  22. 방정숙 (2008). 통계 학습과 관련된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55-676.
  23. 유현주 (2013). 2007 개정 초등수학교육과정에 따른 통계영역 교과서 분석 -그래프 지도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4(1), 81-97.
  24. 이경화, 지은정 (2008). 그래프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 비교:우리나라 교과서와 MIC교과서의 초등 통계 내용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8(3), 353-372.
  25. 임지애, 강완 (2003).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통계 그래프 지도 방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7, 65-86.
  26. Barr, V., & Stephenson, C. (2011).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CM Inroads, 2(1), 48-54. https://doi.org/10.1145/1929887.1929905
  27. Reys, R., Lindquist, M. M., Lambdin, D. V., & Smith, N. L. (2009).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NY: John Wiley & Sons.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공역 (2012). 초등 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서울: 경문사.
  28.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https://doi.org/10.1145/1118178.1118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