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arly Educator's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Happiness on Children's Adapting Ability in Early Education Settings

유아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행복감이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 문은영 (덕양구청직장어린이집) ;
  • 오선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Received : 2016.04.15
  • Accepted : 2016.06.09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educator's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happiness on adapting ability of children in early education settings. Two hundred ten early educators and six hundred thirty children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nd were request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educator's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happiness as well as children's adaptability on education facility, higher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lower happiness were related to lower children's adaptability on education facility.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comparative impact that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happiness has on children's adaptability on education facility, psychological exhaustion of the teacher impacts negatively on children's adaptability on education facility and happiness of the teacher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children's adaptability on education facilit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that help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happiness of the teacher and could be us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hat support teachers to recover from burnout and to increase happiness.

Keywords

References

  1. 강학구 (1996).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징과 요인간의 관계성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교육부 (2015). 2015년교육통계연보. http://kess.kedi.re.kr/publ/publFile/pdfjs ?survSeq=2015&menuSeq=3894&publSeq=2&menuCd=65929&itemCode=02&menuId=1_2_1&language=en에서 2015년 12월 1일 인출
  4. 권나연 (2011). 유치원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역할.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미화 (2009).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태도가 유치원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선희 (2011). 어머니의 역할만족도 및 유아의 심리적 건강성이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수연 (2012).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 관련 변인들에 대한 구조모형분석: 교사의 사회적 지지, 정서노동, 소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 석사학위논문.
  8. 김은옥 (2013). 유아 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선미 (2013).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능력, 유아-교사 관계, 소진감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2(1), 21-32.
  10. 박선화 (201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문성 (2005). 유아기 아동의 부적응 실태 및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유진 (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윤미 (2014). 만 3세 유아반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은혜 (2009). 유아교사론 (제3판). 서울: 창지사.
  15. 보건복지부 (2015). 2015 보육통계.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1&CONT_SEQ=330820&page=1에서 2015년 12월 1일에 인출
  16. 서은국, 구재선 (2011). 단축형 행복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1), 96-114.
  17. 손인숙, 송진숙 (2004), 부모와 교사간의 연계교육 및 유아-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9, 111-128.
  18. 안선희 (2002). 유아의 유치원 초기적응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9(1), 201-219.
  19. 안선희 (2002).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유치원 적응. 미래유아교육학회, 9(3), 163-180.
  20. 안선희, 김지은 (2007). 영아 및 유아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근무여건, 사회적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5), 147-164.
  21. 윤미정 (201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영유아 담당연령에 따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경민, 최윤정, 이경애 (2012).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2(6), 509-523.
  23. 이미란 (2010). 영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헌신의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영, 김명순 (1999).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교사 또래관계 및 아동 발달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7(8), 103-115.
  25. 이유정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적성과 행복감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은주 (2005). 유치원교사의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윤주 (2014). 보육교사의 심리적소진이 자기장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수련, 이정화 (2010).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른 소진과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6), 51-65.
  29. 유경숙, 김수옥 (2004). 유아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3(2), 293-302.
  30. 유은경 (20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윤수정, 신유림 (2008).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관련성:유아 및 교사지각의 비교. 유아교육연구, 29(5), 5-20.
  32. 정다우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교사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1, 49-70.
  33. 정보미 (2012). 대학생의 행복감 수준에 따른 행복증진활동 유형 및 필요성 인식차이.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장연화 (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장주혜 (2008).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 어려움과 소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지성애, 이규남, 박유영, 이규림, 천현미 (2006). 유아의 프로젝트 스펙트럼 활동 특성과 다중지능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6, 93-116.
  37. 차정주, 이효림 (2015). 유아교사의 소진과 정서노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375-393.
  38. 차지연 (2013). 보육교사의 감정표현불능증, 소진, 성인애착이 유아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천향숙 (2010). 교사와 유아가 지각하는 교사-유아 관계 및 관련변인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채경화 (2013).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의 놀이성 및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도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선경 (2011).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최선희 (2009). 교사 유아 간 상호작용과 유아 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최선희, 황혜정 (2011).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 유아 부적응행동 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0(3), 1-18.
  44. 최윤이, 심숙영 (1999). 근무환경에 따른 유아교육 교사의 소진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9, 133-148.
  45. 한광현 (2005). 교사의 소진원인과 결과 간 관계 및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 경영교육연구, 38, 355-379.
  46.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411-432.
  47.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etin, 95(3),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48. Endsley, R. C., & Brabard, M. R. (1981). Quality daycar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9. Jewsuwan, R., Luster, T., & Kostelnik, M. (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33-51.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97-3
  50. Kontos, S., & Wikox-Herzog, A. (1997). Influences on children's competenc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3), 247-262. https://doi.org/10.1016/S0885-2006(97)90002-8
  51. Ladd, G. W. (1990). Having friends, keeping friends, making friends, and being liked by peers in classroom predictors of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1(4), 1081-1100. https://doi.org/10.2307/1130877
  52. Lamb, M. E. (2012). Mothers, fathers, families, and circumstances: Factors affecting children's adjustment.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16(2), 98-111. https://doi.org/10.1080/10888691.2012.667344
  53.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2), 99-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54. Noble, K., & Macfarlane, K. (2005). Romance or reality?: Examine burnout in early childhood teachers. Austral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30(3), 53-58.

Cited by

  1.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happiness, self-regulation, and preschool adjustment ability vol.12, pp.2, 2017, https://doi.org/10.16978/ecec.2017.12.2.006
  2. Preschool Teachers' Needs Analysis for Burnout Prevention program vol.31, pp.1, 2016, https://doi.org/10.13000/jfmse.2019.2.31.1.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