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Hours Spent at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on their Language, Cognition, and Social Development: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유아의 기관이용시간이 언어, 인지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2.14
  • Accepted : 2016.06.10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stay hours on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on their language, cognition, and social development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s as a mediator.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the 2013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analyzed using the GLM and patter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GLM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s of the stay hours on child develop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ain effects of the level of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results of child developme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level between the stay hours and child development were also significant. The results showed that young children's stay hours effected their language,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mediated these effects.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5).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 고시문(교육부 고시 제 2015-61호). 세종: 교육과학기술부.
  2.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2012). 3-4세 누리과정 도입계획(보도자료 2012. 1. 18). 세종: 관계부처합동.
  3. 권대봉, 현영섭 (2014). 인문사회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4. 권정윤 (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6), 269-290.
  5. 권희경 (2009).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유아의 자아효능감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3(6), 391-410.
  6. 김명자 (1991). 유아교육 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혜경, 류왕효 (2006). 시간연장보육아동의 스트레스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5, 207-225.
  8. 박은영, 조은정, 정주선 (2011).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보육교사의 발달단계 및 보육교사-유아상호작용간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7-146.
  9. 박은혜, 박신영, 최혜윤 (2013). 유치원 정보공시 자료를 통해 본 전국 유치원 운영시간 현황분석. 교육과학연구, 44(2), 97-118.
  10. 박창현 (2015). 유아교사의 개인특성과 유아교육기관 특성이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미치는 영향:유아교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 한국보육학회지, 11(2), 201-220.
  11. 박창현, 나정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 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99-125.
  12. 신상윤, 신동윤 (2015. 12. 26). [보육대란 해법] 유보통합은 실현 불투명, 시도교육청 정부가책임지면 해결. 헤럴드 경제.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51226000111에서 2016년 6월 인출
  13. 신은수 (2000).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 놀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0(1), 27-42.
  14. 양혜영, 정승원 (1999). 양육환경과 기관의 질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4) 141-158.
  15. 오경미 (2002). 유아의 연령, 성별 및 유치원의 운영시간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우수경 (2008). 유아의 성, 기질, 정서능력 및 사회적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259-280.
  17. 이미화, 서문희, 이정원, 이정림, 도남희, 권미경 등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8. 이윤옥 (2006). 유아학급에서 교사와 유아의 효율적인 상호작용 -비고스키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0(3), 125-15.
  19. 이일현(2014) Easyflow 회귀분석. 서울: 나래.
  20. 이종숙, 신은수, 박은혜, 김영태, 곽영숙, 유영의 등 (2008). 영유아의 언어, 인지, 사회.정서 발달 평가 도구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1. 진성아 (2006). 유치원의 반일반, 종일반 운영에 따른 5세아의 스트레스 행동차이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연화 (2011). 남녀 유아의 놀이성, 정서조절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 연구. 육아지원연구, 6(2), 147-164.
  23. 최윤경, 이진화, 박진아, 조형숙, 권혜진, 조혜주 (2015). 유치원 어린이집 운영시간 조정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4. 최윤경, 이윤진, 김세현, 나지혜 (2013). 영유아발달에 비추어 본 육아지원기관 이용시간 고찰: 스트레스 호르몬 조사를 중심으로(연구보고 2012-09).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5. 최윤경, 배윤진, 송신영, 임준범, 이예진, 김소아 등 (2014). 한국아동패널 2014(연구보고 2014-33).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6. 하영은, 정효은 (2009). 기관변인에 따른 5세 유아의 문제행동. 한국영유아보육학, 57(6), 171-191.
  27. 홍세희, 정송 (2014).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이론과 절차. 인간발달연구, 21(4), 1-24.
  28. 황덕순, 윤자영, 윤정향, Rostgaard, T., Letablier, M., & Bothfeld, S. et al. (2012). 사회서비스 산업노동시장 분석: 돌봄 서비스를 중심으로(연구보고 2012-08).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9. Ahnert, L., Pinquart, M., & Lamb, M. E. (2006). Security o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nonparental care providers. A 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77(3), 664-679.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6.00896.x
  3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1. Bredekamp, S. (1985). Guide to accreditation by the national academ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Washington, DC: NAEYC.
  32. Burchinal, M. R., Howes, C., Pianta, R., Bryant, D., Early, D., & Clifford, R., et al. (2008). Predicting child outcomes at the end of kindergarten from the quality of pre-kindergarten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instruction. Applied Development Science, 12(3) 140-153. https://doi.org/10.1080/10888690802199418
  33. Burchinal, M. R., Vandergrift, N., Pianta, R., & Mashburn, A. (2010). Threshold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child care quality and child outcomes for low-income children in prekindergarten program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5(2), 166-176. https://doi.org/10.1016/j.ecresq.2009.10.004
  34.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han, K. C., Manz, P. H., Canning, S., & Deh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 in young low-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1), 105-120. https://doi.org/10.1016/0885-2006(95)90028-4
  35.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88).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1), 39-53.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8-2
  36. Martinez-Beck, I., & Zaslow, M. (2006). Introduction: The context for critical issues in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 Zaslow & I. Martinez-Beck (Eds.), Critical issues in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p. 1-16). Baltimore: Brooks.
  37. Mashburn, A. J., Pianta, R. C., Hamre, B. K., Downer, J. T., Barbarin, O., & Bryant, D., et al. (2008). Measures of classroom quality in prekindergarten and childen's development of academic, language, and social skills. Child Development, 79(3), 732-749.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8.01154.x
  38.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6). Child-care effect sizes for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61(2), 99-116. https://doi.org/10.1037/0003-066X.61.2.99
  39. Pramling Samuelsson, I., Sheridan, S., & Williams, P. (2006). Five preschool curricula: comparative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38(1), 11-30. https://doi.org/10.1007/BF03165975
  40. Sims, M., Guilfoyle, A., & Parry, T. (2006). Children's cortisol levels and quality of child care provision.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2(4), 452-466.
  41. Tout, K., Zaslow, M., Hallie, T., & Forry, N. (2009). Issues for the next decade of quality rating and improvement systems. OPRE Issue Brief #3. Washington, DC: Child Trends. Retrieved June 6, 2016 from http://www.acf.hhs.gov/sites/default/files/opre/next_decade.pdf
  42. Watamura, S., Sebanc, A., Donzella, B., & Gunnar, M. (2002). Naptime at childcare: effects on salivary cortisol levels. Developmantal Psychobiology, 40, 33-42. https://doi.org/10.1002/dev.10011

Cited by

  1. COVID-19 Pandemic: Effects of Changes in Children’s Daily-Lives and Concerns Regarding Infection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vol.42, pp.4, 2016, https://doi.org/10.5723/kjcs.2021.42.4.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