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n Taeeum Person in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rom 2006 to 2015

사상체질의학회지에 10년간 게재된 태음인 증례연구 논문 분석 - 2006년부터 2015년까지 -

  • Sung, Soo-Hyun (Dept. of Policy Development, 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
  • An, Tteul-E-Bom (Dept. of Gynecology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Park, Jong-Hyun (Dept. of Path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Han, Chang-Hyun (Dept. of Clinical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Received : 2016.05.31
  • Accepted : 2016.06.21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basis for treatment of taeeum person by analysing published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in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Methods We reviewed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taeeum person in the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from 2006 to 2015.Results Of the forty papers, reporting 182 cases of taeeum person. Thirty-five papers reported 6 type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attern. A total of 10 types of interventions were described, of which herbal medicine (100%) was most frequently used. A total of 30 types of outcome measeure were used in papers, for which symptom change (79.2%) was most frequently used. A total of 8 types of diagnosis criteria were used in 38 papers.Conclusions A sufficient number of clinical studies are warranted to provide a clinical evidence for treatment of taeeum person.

Keywords

Ⅰ. 緖論

사상체질의학회지에서 1989년부터 2007년까지 발간된 임상논문 332편이며, 그 중 증례연구는 125편(37.7%)으로 보고하여1, 사상체질의학회지에서 증례연구가 큰 부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Ban 등2은 1994년부터 2008편까지 사상체질의학회지에 발간된 증례연구를 연도별 증례연구 수, 환자 수, 사상인 분류, 체질진단 근거 등을 분석하였으며, Lee 등1은 1989년부터 2007년까지 사상체질의학회지에 발간된 임상연구 332편을 임상연구 디자인, 체질진단 방법 등을 분석하였으나, 실제 환자를 보는데 필요한 진단법, 치료법 등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사상체질의학회지에 게재된 임상연구 중 실제 환자를 보는데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증례연구를 추출하여 질병, 변증, 치료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Ⅱ. 硏究方法

1. 연구논문 추출

본 연구는 사상체질의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사상체질의학회에서 발간한 47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3. 2명의 저자가 연구디자인에 따라 논문을 분류하였다. 저자, 출판일, 나이, 성별, 환자 수, 질병명, 변증, 체질진단 기준, 중재법, 평가도구, 결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 연구범위

본 연구에는 태음인 임상연구 중 침, 한약 등의 중재법을 사용한 증례연구가 포함되었다. 무작위대조군연구, 대조군연구, 문헌연구, 설문연구, 실험연구, 태음인 증례연구가 아닌 경우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임상연구 중 중재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도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Ⅲ. 結果

1. 검색과정 및 결과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사상체질의학회가 발간한 472편의 논문 중 임상연구는 270편, 문헌연구는 105편, 실험연구는 60편, 기타연구는 37편으로 나타났다. 임상연구 270편을 분류하였을 때, case reports가 84편, case series가 44편, 무작위대조군연구가 2편, 대조군연구가 4편, 설문연구가 59편, 중재법을 사용하지 않은 임상연구가 77편으로 나타났다 (Figure 1). 증례연구 중 태음인 관련 case reports는 29편, case series는 11편으로 나타났으며, 태음인 증례연구를 정리한 내용은 Table 1, 2와 같다. Table 1, 2의 혈명은 “Standard Acupuncture Nomenclature”를4, 처방명, 사상변증, 증상은 “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과 표준한의학용어집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5,6.

Figure 1.Flowchart of study selection process CCTs: Controled Clinical Trials, RCTs: Randomized Clinical Trials.

Table 1.VAS: Visual Analogue Scale, QSCC: 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QOL: Quality Of Life, PSSC: Phonetic System of Sasang Classification, EEG: Electrogastrography, PTA: Pure Tone Audiometry, THI: Tinnitus Handicap Inventory, DITI: Digital Infraed Thermal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UPDRS: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GAS: Global Assessment Scale, UMSARS: Unified Multiple System Atrophy Rating Scale, NRS: Numeric Rating Scale.

Table 2.MMSK-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E, VAS: Visual Analogue Scale, QSCC: Questionnaire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NRS: Numeric Rating Scale.

2. 연도별 논문과 cases 수

지난 10년간 발간된 태음인 case series는 총 11편으로 2007년 3편이 발간된 이후 꾸준히 발간되었다. case reports는 2006년 2편이 발간된 이후 꾸준히 발간되었으며 2013년에 가장 많은 6편이 발간되었다. 10년간 게재된 총 태음인 환자 수는 182 cases로, 2008년이 91 cases로 가장 많았다 (Figure 2).

Figure 2.Study trend of taeeum person papers and cases by year

3. 태음인 환자 질병명에 따른 분류

40편의 논문에서 질병명을 언급한 논문이 38편, 질병명을 보고하지 않은 논문이 2편으로 나타났다. 38편의 논문에서 46 종류의 질병명이 언급되었는데, 고혈압, 뇌경색이 4편, 암이 3편, 약인성 간염, 비만, 파킨슨병, 진전이 2편의 논문에서 언급되었다. 2편 이상의 논문에서 언급된 질병명은 Table 3과 같다.

Table 3.QSCC: 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4. 사상변증에 따른 분류

35편의 논문에서 6종류의 사상변증이 사용되었으며, 변증은 보고하지 않은 논문이 5편으로 나타났다. 태음인 간수열이열증이 14편, 태음인 조열증, 태음인 위완수한표한증이 7편, 태음인 이병조열증이 5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5편 이상의 논문에서 사용된 변증은 Table 4와 같다. 본 연구에서는 40편의 태음인 증례연구에 표기한 변증을 그대로 Table 1, 2로 정리하였으며, Table 4의 경우 사상변증 분류체계를 고려하여 재분류하였다.

Table 4.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atter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Taeeum Person

5. 사상체질 진단 기준에 따른 분류

38편의 논문에서 태음인을 진단하는데 8 종류의 진단기준이 사용되었는데, 체질 진단기준을 보고하지 않은 논문이 2편으로 나타났다. 소증, 용모사기, 체형기상, 성질재간을 진단기준으로 사용한 논문이 38편, QSCC(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이하 QSCC)를 진단기준으로 사용한 논문이 19편으로 나타났다. 10편 이상의 논문에서 사용된 진단기준은 Table 5과 같다.

Table 5.QSCC: 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6. 중재법에 따른 분류

40편의 논문에서 총 10종류의 중재법이 사용되었는데, 한약이 40편, 침이 29편, 양약이 16편, 뜸이 12편, 부항이 5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5편 이상의 논문에서 사용된 중재법은 Table 6과 같다.

Table 6.Intervention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Taeeum Person

7. 한약에 따른 분류

40편의 논문에서 총 27종류의 한약(Herbal Medicine)이 사용되었는데, 청심연자탕이 13편, 열다한소탕이 10편, 갈근해기탕, 조위승청탕, 태음조위탕이 6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5편 이상이 논문에서 사용된 한약은 Table 7와 같다.

Table 7.Herbal Medicine of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of Taeeum Person

8. 평가도구

40편의 논문에서 총 30종류의 평가도구가 사용되었는데, 증상변화 측정이 30편, VAS(Visual Analogre Scale, 이하 VAS) 측정 13편, Lab 검사가 5편, GAS(Global Assessment Scale, 이하 GAS) 측정이 4편, NRS(Numeric Rating Scale, 이하 NRS) 측정이 3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3편 이상의 논문에서 사용된 평가도구는 Table 8과 같다.

Table 8.VAS: visual analogue scale, GAS: Global Assessment Scale, NRS: Numeric Rating Scale.

 

Ⅳ. 考察 및 結論

Lee 등1의 연구에서 1989년부터 2008년까지 사상체질의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디자인별로 분류했을 때 임상연구가 47.2%, 실험연구가 12.5%, 문헌연구가 40.3%였다. 최근 10년간 사상체질의학회지 논문의 연구디자인별 비율은 임상연구가 57.2%, 실험연구가 12.7%, 문헌연구가 22.2%, 기타연구가 7.8%였다. 이를 통해 최근 10년간 이전에 비해 문헌연구 비율은 감소했고, 임상연구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사상체질의학회에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총 472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 중 임상연구 270편을 분류하였을 때, case reports가 84편, case series가 44편, 무작위대조군연구가 2편, 대조군연구가 4편, 설문연구가 59편, 중재법을 사용하지 않은 임상연구가 77편으로 나타났다. 증례연구 중 태음인 관련 증례연구는 40편으로 나타났으며, case reports가 29편, case series는 11편으로 나타났다. 증례연구 40편에서 총 보고된 환자 수는 182명으로 나타났다. 현재 보고된 환자 수로 질병별 태음인 환자 치료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본 연구는 사상체질의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태음인 관련 모든 증례연구를 수집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향후 대한한의학회지, 한방내과학회지 등 한의 관련 전체 학회지로 조사범위를 확대한 추가적 연구수행이 필요하다.

총 40편의 태음인 증례연구 중 38편의 논문에서 46 종류의 질병명이 사용되었으며, 고혈압, 뇌경색이 4편, 암이 3편의 논문에서 언급되었다. 태음인 고혈압의 경우 간수열이열증, 이병조열증, 위완수한표한증, 조열증으로 변증하였고, 태음조위탕, 갈근해기탕, 청열강기탕, 청심연자탕, 열다한소탕을 사용하였다. 태음인 뇌경색의 경우 간수열이열증, 위완수한표한증, 조열증으로 변증하였고, 갈근해기탕, 열다한소탕, 조위승청탕, 청심연자탕, 청열강기탕, 청폐사간탕을 사용하였다. 태음인 암의 경우 간수열이열증, 온병으로 변증하였고, 갈근해기탕, 고본부평탕, 보중익기탕, 옻 추출물, 작약감초탕, 청심연자탕, 태음조위탕을 사용하였다. 증례연구를 보면, 한 사람이 2가지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고, 또한 사용된 처방이 질병을 직접 치료하기 보다는 증상을 치료하는 경우도 있어서, 질병, 변증, 처방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여 제시하는 것은 어려웠다.

태음인 증례연구 40편 중 38편의 논문에서 사상인 진단기준을 사용하였는데, 소증, 용모사기, 체형기상, 성질재간을 진단기준으로 사용한 논문이 38편, QSCC를 진단기준으로 사용한 논문이 19편으로 나타났다. 표준, 용모사기, 체형기상, 성정은 주관적 체질진단 기준으로 앞서 체질진단을 객관화하기 위한 음성분석, 안면측정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임상현장에서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QSCC의 경우 실제 임상에서 활용도가 높은 평가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단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는 것은 한의학에 대한 신뢰, 또한 해외진출을 위해서라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음성분석, 안면측정 기기를 통한 체질진단이 임상적 활용이 떨어지는 이유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태음인 증례연구 40편을 중재법, 사상체질 변증, 사상체질 진단 기준, 질병, 평가도구, 결론에 따라 표로 정리하였다. 결론을 보면, 40편 논문 모두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체질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를 통해 체질치료의 임상적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했다고 판단하기에는, 논문과 환자 수가 충분하지 않다. 또한 대부분의 증례연구는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의 의료기관의 98%를 차지하는 한의원의 임상례는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7. 따라서 대학병원 또는 연구기관 차원에서 체질치료를 하고 있는 한의원의 임상례를 형식에 맞게 수집한다면, 더 많은 양의 근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증례연구 40편에 사용된 중재법을 보면, 한약이 40편, 침이 29편, 양약이 16편, 뜸이 12편, 부항이 5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태음인 증례연구에서 모두 한약을 사용한 것은 『東醫壽世保元』이 체질, 변증, 처방의 구조로 서술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처럼 사상의학에서는 한약 위주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東醫壽世保元』에서도 체계적으로 정리가 되어 있다. 반면, 체질별 침, 뜸, 부항치료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체질에 따라 한의학 치료법을 분류‧적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태음인 증례연구에 사용된 평가도구를 보면, 증상변화 측정이 30편, VAS 측정 13편, Lab 검사가 5편, GAS측정이 4편, NRS 측정이 3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논문에서 증상변화와 VAS를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양의학과 같이 진단기기를 중심으로 질환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주관적 인지에 의해 질환을 평가하는 한의학의 특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8. 최근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9, 현재 한의사가 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가 극히 제한적인 상황에서 객관적 진단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한의학의 과학화와 더불어 국민에게도 큰 신뢰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들은 지난 10년간 사상체질의학회지에 게재된 태음인 증례연구를 종합하여, 다양한 질병에 체질 치료가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논문 수가 40편으로 근거가 불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전체 학회지 검색을 통한 문헌고찰, 일선 한의원의 협조를 통한 태음인 증례자료를 수집하여 충분한 근거를 확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는 증례연구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기 때문에, 양방치료만 한 것보다 사상치료와 양방치료를 병행한 것이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등의 결론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대조군연구나 무작위대조군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References

  1. Lee SW, Hwang JH, Yu JH, Oh SY, Joo JC, Jang ES. A survey on the sasang constitution clinical study-in the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 Sasang Constitut Med. 2008;20(2):21-29. (Korean)
  2. Ban DJ, Lee SY, Park SS. The study about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and research trends in the case reports. J Sasang Constitut Med. 2009;21(2):107-114. (Korean)
  3.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vailable from: URL: http://www.jscm.or.kr.
  4.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al Office. Standard Acupuncture Nomenclature. World health Organization: Manila, Philippines. 1993.
  5.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al Office. 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Manila, Philippines. 2007.
  6. Society of Korean Medicine. Available from: URL: http://cis.kiom.re.kr/terminology/search.do.
  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vailable from: URL: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29504&SEARCHKEY=TITLE&SEARCHVALUE=한의.
  8. Publication committee for Year Book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2014 Year Book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Seoul, Pusan, Daejeon, Korea. 2015.
  9. Kang SJ. Huai-Nan-Zi(淮南子) and Hwangje Naegyeong (黃帝內經). Gimmyoung publishers: Paju, Korea. 2007:168-181.
  10. Dailymedi. Available from: URL: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06012&thread=22r01.
  11. Kim SH, Seok JH, Lee KS, Choi KJ, Ham TI, Hwang MW, et al. A case study about taeumin patient suffering from nausea and vomiting, treated with taeumin 'interior-hot disease'. J Sasang Constitut Med. 2006;18(2): 133-138. (Korean)
  12. Yim CH, Cho JS, Kim HS, Kin IH, Park HS, Kin KS. A clinical study of the treatment for hiccup concurred in taeumin with stroke patient. J Sasang Constitut Med. 2006;18(2):133-138. (Korean)
  13. Kim EH, Seo YK, Kim DL, Ko BH, Cheon SH. A case of cervical cancer case with urinary disorder and urticaria managed by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7;19(3):277-282. (Korean)
  14. Kim DR, Kin SH, Se YG. A clinic study of the treatment for asthma in taeumin with RBBB(Right Bundle Branch Block). J Sasang Constitut Med. 2007;19(3): 293-299. (Korean)
  15. Seo YK, Kim EH, Kim DL, Ko BH, Cheon SH, Choi WC, et al. A case of stomach cancer patient with peritoneum and colon metastasis treated with Taeumjowi-tang for abdominal pain and diarrhea. J Sasang Constitut Med. 2007;19(3):270-276. (Korean)
  16. Yim CH, Cho JS, Kim HS, Kwon SM, Kim S, Kim IH, et al. A clinical study of the treatment prescribed Kalkunhaeki-tang for FUO(Fever of Unknown Origin) patient. J Sasang Constitut Med. 2007;19(2):223-229. (Korean)
  17. Im MK, Song JM. A case study of taeeumin's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patient. J Sasang Constitut Med. 2008;20(2):190-198. (Korean)
  18. Yim CH, Cho JS, Kim HS, Kwon SM, Sim S, Sim IH, et al. A clinical study of the treatment prescribed Kalkunseunggi-tang for rectal tenesmus and constipation patient. J Sasang Constitut Med. 2014;20(3): 218-224. (Korean)
  19. Choi EJ, Song HS, Yoon WY, Yoo JS. A tae-eumin exterior-cold-disease by the cold in the esophagus's case study of diagnosed as acute hepatitis A. J Sasang Constitut Med. 2009;21(3):216-222. (Korean)
  20. Kim OY, Cho JS, Lee HM, Park SJ, Park HS. A case of taeeum-in hangwol symptomatology patient who showed improvement with the Handayeolso-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09;21(3):202-208. (Korean)
  21. Kwon EM, Jung YH, Kim EH, Seo YK, Lee SK, Kim DR, et al. A clinical case of liver injury with administration of Yeoldahanso-tang plus rheum rhabarbarum.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3): 328-337.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4.26.3.328
  22. Lee JW, Kang MJ, Jang HS, Kim YH, Lee JH, Lee EJ, et al. A case study of 1 taeeumin patient experiencing hand tremor, heat flash, and dysarthria treated successfully with Yeoldahanso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09;21(1):254-262. (Korean)
  23. Park SJ, Lee HM, Kang YK, Jeon SH, Kim JW. A case study of herbal medicine-induced liver injury improved with Taeumjowe-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0;22(2):135-142. (Korean)
  24. Kim YH, Kim SY, Hwang MW. A case study of taeumin patient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who treated successfully with Yeoldahanso-tang (Reduohanshao-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1;23(1):132-138. (Korean)
  25. Lee MS, Hwang MW, Kim YH. A case study of a taeeumin patient with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that accompanied with tinnitus who was treated with Cheongsimyeonja-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1;23(3):419-428. (Korean)
  26. Choi JS, Jang MH, Ahn TW. A case study of parkinson's disease patient treated with Yuldahanso-tang-gagam. J Sasang Constitut Med. 2012; 24(3):104-113.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2.24.3.104
  27. Kim MJ, Bae HS, Park SS. A case study of patient with diaphragmatic hernia who was treated by Taeeumjowi-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2;24(3): 104-113.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2.24.3.104
  28. Kim ST, Choi AR, Koo DM. A case report of herpes zoster in tae-eumin improved with Yeoldahanso-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1;23(1):132-138. (Korean)
  29. Shin HS, Park BJ, Park YS, Kim JS, Lee EJ, Koh BH. A case study of taeumin esophagus cold pattern patients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GERD) and irritable bowel syndrome(IBS). J Sasang Constitut Med. 2012;24(3):93-103.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2.24.3.93
  30. Ham SH, Jeong HY, Lee SJ, Lim EC. A case-report on taeeumin patient with essential tremor using melonis pedicelus.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3): 254-263.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3.25.3.254
  31. Kim MJ, Bae HS, Park SS. A case study of taeeumin patient who experienced refusing food intake after stroke. J Sasang Constitut Med. 2013; 25(3):254-263.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3.25.3.254
  32. Lee MS, Park YG, Bae NY. A case study of a taeeumin patient with advanced parkinson's disease diagnosed as dry-heat symptomatic pattern.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4):442-453.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3.25.4.442
  33. Lee SM, Choi SH, Song AN, Lee JY, Chae J, Jung EH, et al. A case study of metastatic cholangiocarcinoma with sepsis who showed symptomatic improvement after treated with Handayeolso-tang, fel tauri, and antibiotics. J Sasang Constitut Med. 2013; 25(4):432-441.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3.25.4.432
  34. Lee MS, Bae NY. A case study of a taeeumin patient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improved with Jowisengcheong-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3):243-253.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3.25.3.243
  35. Park GH, Oh JS, Park HS. Case report of sjögren’s syndrome with arthritis diagnosed as taeeumin’s dry-febrile symptom. J Sasang Constitut Med. 2013; 25(3):264-275. https://doi.org/10.7730/JSCM.2013.25.3.264
  36. Lee MS, Park YG, Bae NY. A case study of a taeeumin patient with meniere’s disease treated with Cheongsimyeonja-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3): 328-337.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4.26.3.328
  37. Lee MS, Bae NY. A case study of a taeeumin patient with paresthesia and weakness in the limbs of unknown cause diagnosed as dry-heat(Joyeol) pattern. J Sasang Constitut Med. 2015;27(3):346-355.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5.27.3.346
  38. Lee JW, Kim JY, Oh HW, Lee EJ, Koh BH, Lee JH. A case study of taeumin patient with eosinophilic colitis treated with Yeoldahanso-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15;27(4):436-443.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5.27.4.436
  39. Park SR, Lee SM, Lee SK. A case of the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who showed symptoms improvement. J Sasang Constitut Med. 2015;27(3):326-332.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5.27.3.326
  40. Ban DJ, Lee HS, Kang TG, Han KS, Bae HS, Park SS. Two case reports of taeumin delirium patients. J Sasang Constitut Med. 2007;19(3):257-269. (Korean)
  41. Kim TH, Hong SY, Han DN, Lim EC. The Effects of Constant Use of Yeoldahanso-tang on Liver Func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07;19(3):217-226. (Korean)
  42. Lee JH, Seo EH, Ha JH, Cho JS, Goo DM. Three cases of taeumin patients suffering from positional vertigo. J Sasang Constitut Med. 2007; 19(1):193-202. (Korean)
  43. Cho JS, Yim CH, Kim HS, Kwon SM, Kim S, Kim IH, et al. The clinical study on 2 case of patient with tremor. J Sasang Constitut Med. 2008; 20(3):208-217. (Korean)
  44. Lee SY, Ban DJ, Lee HS, Han KS, Bae HS, Park SS. A clinical report of the treatment for numbness due to stress. J Sasang Constitut Med. 2008;20(1): 100-108. (Korean)
  45. Oh SY, Lee SW, Kil EY, Joo JC. Effects of Jowisengcheong-tang on heart rate variability. J Sasang Constitut Med. 2008;20(2):53-57. (Korean)
  46. Kim YH, Kim SH, Jang HS, Hwang MW, Lee JH, Lee EJ, Koh BH. The study o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aeeumin dry-heat symptomatic patten. J Sasang Constitut Med. 2009;21(1):85-98. (Korean)
  47. Kim HJ, Ahn HS, Oh EH, Kim YL. Effect of Taeeumjoweetang on the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level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of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J Sasang Constitut Med. 2011;23(3): 391-401. (Korean)
  48. Park YS, Shin HS, Lee JH, Lee EJ, Koh BH. Approaching obesity through constitutional therapy: a series of 4 obesity cases who were classified as the taeeum constitutional type. J Sasang Constitut Med. 2011;23(2):263-274. (Korean)
  49. Ham SH, Jeong HY, Song EY, Lim EC. 2 case-report on taeumin patients with vertigo using Melonis Pedicelus. J Sasang Constitut Med. 2012;24(3): 114-122.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2.24.3.114
  50. Kim JS, Oh HW, Lee JH, Koh BH, Lee EJ. 3 case reports of tension-type headache taeeumin patients using melonis pedicus.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4):409-421. (Korean) https://doi.org/10.7730/JSCM.2014.26.4.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