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학교 「역사」 교과서 세계사 영역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for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Embedded in Common Inquiry Tasks of World History Territory in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Studies

  • 송기호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 투고 : 2016.04.26
  • 심사 : 2016.05.04
  • 발행 : 2016.05.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공통 탐구 과제를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16종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세계사 영역의 탐구 과제를 조사한 결과 84개의 공통 탐구 과제가 발견되었다. 이를 탐구 절차에 해당하는 정보활용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탐구 과제는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사진 자료와 도서(읽기) 자료를 조사한 후에 그 결과를 말하기 형태로 표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정보 종합과 표현)의 정보 표현하기를 충족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가 역사 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역사 수업에서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촉진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정보 해석과 분석하기, 정보 종합 및 조직하기 그리고 정보 활동 평가하기에 대한 교육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mon inquiry task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and find out it's implications on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There are 84 common inquiry tasks according to examinations of inquiry tasks related to world history in 18 kind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almost all of common inquiry tasks of world history make middle school students who should resolve them research the pictures and reading materials included in the textbooks individually and verbalize under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Compared with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kills" for middle schools, the First step of task definition and figuring out information needs and the Third step of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are being implemented. For this reason, teacher librarian could reduce history studies teachers' burden of running the class and promote students' inquiry activities by teaching skills of informa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ynthesis and organization and evaluation of their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and resul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욱, 김민정. 2012. 역사 교과서 탐구 활동 분석 평가 연구: 중학교 역사(상) 고려 단원을 중심으로. 역사교육논집, 49: 197-229. (Kang, Hyeun Uk and Kim, Min Jung. 2012. "Examination of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ies of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History Education Review, 49: 197-229.)
  2.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2014.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5. 12. 1.]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2014.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Homepage. [online] [cited 2015. 12. 1.] )
  3. 교육부.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세종: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 2015. General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4. 민윤. 2007. 역사 학습에서 '탐구'의 재고: 실제적 탐구의 가능성. 사회과교육연구, 14(4): 1-26. (Min, Yoon. 2007. "Rethinking the Inquiry in History Learning: Possibility of the Disciplined Inquiry."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14(4): 1-26.)
  5. 박명규, 한상완. 2005.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167-194. (Park, Myung-Kyu and Han, Sang-Wan. 2005. "A Curricular Model of Information Literary for School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167-194.)
  6. 서준석. 2014.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탐구활동 비교.분석: 한국 근현대사 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전공. (Seo, Joon-Seok. 2014. Comparative Study of Historical Inquiry Activities in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Focusing on Korea Modern History. M. A. thesis, History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Korea.)
  7. 양호환. 1996. 역사교과서의 서술양식과 학생의 역사이해. 역사교육, 59: 1-23.(Yang, Ho Hwan. 1996. "The Mode of History Textbook Writing and Students' Historical Under standing."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Review, 59: 1-23.)
  8. 송기호. 2014. 사서교사를 위한 통합정보활용교육론. 대구: 태일사. (Song, Gi-Ho. 2014. Integrate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for Teacher Librarians. Daegu: Taeilsa.)
  9. 송기호. 2015.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정보활용과정 요소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233-252. (Song, Gi-Ho. 2015. "An Analysis of Elemen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within Common Inquiry Tasks of Textbooks in Korean Middle Schools Social Studies."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3): 233-252.)
  10. 송기호, 김태수. 2008. 교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학습주제 중심의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3): 41-64. (Song, Gi-Ho and Kim, Tae-Soo. 2008. "A Study of the Thematically Integrate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its Relationship with Curricula."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3): 41-64.) https://doi.org/10.3743/KOSIM.2008.25.3.041
  11. 이문기 외. 2013a. 중학교 역사 1. 서울: 두산동아. (Lee, Moon-Gi et al. 2013a. Middle School History 1. Seoul: Doosandonga.)
  12. 이문기 외. 2013b. 중학교 역사 2. 서울: 두산동아. (Lee, Moon-Gi et al. 2013b. Middle School History 2. Seoul: Doosandonga.)
  13. 정선영 외. 2013. 중학교 역사 1. 서울: 미래엔. (Joung, Sun-Young et al. 2013. Middle School History 1. Seoul: Mirae-n.)
  14. 지모선. 2012.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및 대안 모색: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단원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 16: 103-150. (Ji, Mo Sun. 2012.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n Textbook of 'Korean History' of High School and Exploration of its Alternatives: Focused on Development of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and Racial Movement."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16: 103-150.)
  15.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2007.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School Library Curriculum Committee of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7.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6. 한철호 외. 2013. 중학교 역사 1. 서울: 좋은책 신사고. (Han, Chul-Ho et al. 2013. Middle School History 1. Seoul: Truebook Sinsago.)
  17. AASL and AECT. 1998.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for Student Learning.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8. 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 [online] [cited 2015. 9. 12.]
  19. Lee, V. S. 2011. "The Power of Inquiry as a Way of Learning." Innovative Higher Education, 36(3): 149-160. https://doi.org/10.1007/s10755-010-916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