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risis of Democracy and Sensational Partisan Journalism Focusing on Political Talk Shows by Channel A and TV Chosun

민주주의의 위기와 언론의 선정적 정파성의 관계에 대한 시론 채널A와 TV조선의 정치시사토크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2.15
  • Accepted : 2016.05.26
  • Published : 2016.06.15

Abstract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political talk shows by Channel A and TV Chosun provoke strong,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or loathing, towards certain parties, politicians and groups only, and tries to explain what's the relation to Korean democracy crisis under the circumstances. Those talk shows by Channel A and TV Chosun, predominantly about anger and loathing towards oppositions, opposition politicians and pro-North Korea people, have contributed to practical exclusion of the citizens from the political process by their imaginary political participation rather than a role as a democratic public sphere, so they have functioned very well in order to sustain the system of Korean democracy as a way of 'the politics of exclusion', and have been retained regardless of their commercial success for the reason. In other words, the Korean democracy has systematically excluded every citizen and amplified ideological conflicts, and in that chaos of excessively produced emotions, has dealt with all the crucial matters using political technology, which is a serious problem. However, for the good of the political power who wants to keep such kind of political system, this became a reason why those Channel A and TV Chosun shows-sensational and politically biased-have survived, and since Channel A and TV Chosun are remarkably functional within the continuance of that political system they can keep being influential in politics.

이 연구는 채널A와 TV조선의 정치시사토크쇼가 특정 정당과 정치인, 그리고 특정 집단만을 대상으로 분노나 혐오와 같은 격렬한 부정적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방식에 주목하고 이것을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가 갖는 특성과의 관계 속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야당, 야권 정치인, 종북 세력에 대한 분노와 혐오가 주요 내용을 이루는 채널A와 TV조선의 정치시사토크쇼는 민주적 공론장으로 기능하기보다 가상적 정치참여를 통해 정치 과정에서 시민들을 실질적으로 배제시키는 데 기여함으로써 '배제의 정치'로서 한국의 민주주의 체제가 유지되는 데 매우 기능적이며, 이런 이유로 상업적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존속하고 있다고 보았다. 요컨대 한국의 민주주의에는 모든 시민을 체계적으로 배제시킨 채 이념 갈등을 증폭시키고, 그 과잉 감정의 혼란 속에서 모든 중요한 문제는 정치공학적으로 결정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는데, 이런 정치 체제를 유지 존속시켜야 할 정치권력의 필요성이 채널A와 TV조선의 선정적이며 정파적으로 편향적인 정치시사토크쇼가 존속할 수 있는 조건이며, 채널A와 TV조선은 그런 정치 체제의 존속에 매우 기능적이기 때문에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며 존속할 수 있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구 (2012). 어떤 민주주의인가?: 제도와 가치체계의 조응을 통해 바라본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 방향 모색. <한국정당학회보>, 11권 3호, 39-67.
  2. 강원택 (2012). 제19대 국회의원의 이념 성향과 정책 태도. <의정연구>, 18권 2호, 5-38.
  3. 경향신문 (2016, 4, 21). 한국 언론자유 70위 '역대 최하'. A9면.
  4. 경향신문 (2016, 3, 31). "박근혜 정권, 역대 한국 정부 중 가장 취재하기 어려워". A23면.
  5. 경향신문 (2016, 1, 22). 한국 민주주의 완전 $\rightarrow$ 미흡 강등. A5면.
  6. 미래정치연구소 (편) (2015). <정당이 살아야 민주주의가 산다>. 서울: 푸른길.
  7. 박영흠.김균 (2016). 의례로서의 저널리즘: 한국 저널리즘의 정파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한국언론학보>, 60권 1호, 202-228.
  8. 방송통신심의위원회 (2015, 9).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 제재에 나타난 종편 시사.보도 방송언어 문제점 분석. URL: http://www.kocsc.or.kr/02_infoCenter/info_BroadcastLang_View.php?ko_board=BroadcastLang&ba_id=9113&page=1
  9. 방송통신위원회 (2015). <2015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서울: 방송통신위원회.
  10. 송현주 (2015). 정파성의 강도와 정책 이슈에 대한 뉴스 프레임이 정파적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9권 6호, 221-245.
  11. 윤종빈 (2015). 기로에 선 한국 정당: 위기와 기회. 미래정치연구소(편) (2015). <정당이 살아야 민주주의가 산다> (19-29쪽). 서울: 푸른길.
  12. 이내영 (2011).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국민들의 양극화인가, 정치엘리트들의 양극화인가? <한국정당학회보>, 10권 2호, 251-287.
  13. 정철운 (2015. 2. 11). 살아남은 종편의 비빌 언덕은 선거. <시사IN>, 438호. URL: http://m.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5389
  14.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3). <제18대 대통령선거 투표율 분석>. 서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5.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2). <제19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율 분석>. 서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6. 최장집 (2005).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제2판). 서울: 후마니타스.
  17. 최장집 (2010). 한국 민주주의를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하나의 논평. <경제와 사회>, 85호, 93-120.
  18. 최태욱 (2014). <한국형 합의제 민주주의를 말하다: 시장의 우위에 서는 정치를 위하여>. 서울: 책세상.
  19. 한겨레 (2015, 12, 16). 박근혜 정부 2년 10개월 ... 민주주의, 껍데기만 남다. A1면.
  20. Crenson, M. A. & Ginsberg, B. (2004). Downsizing democracy: How America sidelined its citizens and privatized its public. 서복경 (역) (2013), <다운사이징 데모크라시: 왜 미국 민주주의는 나빠졌는가>. 서울: 후마니타스.
  21. Crouch, C. (2005). Postdemocracy. 이한 (역) (2008), <포스트민주주의: 민주주의 시대의 종말>. 서울: 미지북스.
  22. Dahl, R. A. (1998). On democracy.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23. Hallin, D. C. & Mancini, P. (2004). Comparing media systems: Three models of media and politics. 김수정.정준희.송현주.백미숙 (공역) (2009), <미디어 시스템 형성과 진화: 정치 - 미디어 3모델>. 서울: 한국언론재단.
  24. Huddy, L., Feldman, S., & Cassese, E. (2007). On the distinct political effects of anxiety and anger. In W. R. Neuman, G. E. Marcus, A. N. Crigler & M. MacKuen (Eds.), The affect effect: Dynamics of emotion in political thinking and behavior (pp. 202-230).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Iyengar, S. and Westwood, S. J. (2015). Fear and loathing across party lines: New evidence on group polarization.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9(3), 690-707. https://doi.org/10.1111/ajps.12152
  26. Josephi, B. (2013). De-coupling journalism and democracy: Or how much democracy does journalism need? Journalism, 14(4), 441-445. https://doi.org/10.1177/1464884913489000
  27. Lijphart, A. (2012). Patterns of democracy: Government forms and performance in thirty-six countries (2nd ed.).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28. Marcus, G. E. (2002). The sentimental citizen: Emotion in democratic politics. University Park, PA: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9. McNair, B. (2011). An introduction to political communication (5th ed.). New York, NY: Routledge.
  30. Norris, P. (2000). A virtuous circle: Political communications in postindustrial societie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Schudson, M. (2008). Why democracies need an unlovable press. Malden, MA: Polity.
  32. Smythe, D. W. (1977). Communications: Blindspot of Western Marxism. Canadian Journal of Political and Social Theory, 1(3), 1-27.
  33. Ulbig, S. G. (2015. 4). Haters gonna hate: Affective polarization and partisan hatred.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uthwester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Denver.
  34. Williams, B. A., & Delli Carpini, M. X. (2009). The eroding boundaries between news and entertainment and what they mean for democratic politics. In L. Wilkins & C. G. Christians (Eds.), The handbook of mass media ethics (pp. 177-188). New York, NY: Routledge.
  35. Williams, B. A., & Delli Carpini, M. X. (2011). After broadcast news: Media regimes, democracy, and the new information environment.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