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nts of Female-salaried Workers' Career Interruption

여성의 경력단절과 육아휴직 제도와의 관계

  • 조동훈 (한림대학교 경영대학 경제학과)
  • Received : 2016.12.14
  • Accepted : 2016.12.26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estimates the determinants of career interruption by married women. Using the survey of economic activities related to women's decision for career interruption, we consider the effect of maternity leave in workplace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determining women's decision out of labor force. We found out that both existence and use of maternity leave in workplace seems to play an very important role in reducing women's career interruption.

본 연구에서는 기혼여성 가운데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노동시장에서의 경력단절 결정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여성 임금근로자가 노동시장에서 최초 경력단절을 경험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개인의 특성과 일자리 특성 등을 고려하여 최초 경력단절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결과에 따르면, 여성 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탈결정에 중요한 요인은 근로자가 속한 사업체가 여성의 출산과 육아로 인한 부담을 실제로 얼마나 고려하는 지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내 출산휴가 혹은 육아휴직이 있는 경우 여성 근로자의 경력단절은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난주.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이후 취업유지 분석.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학술대회, 2016.
  2. 김난주.이택면.강민정.박미연.안주희. 경력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연구보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3. 김영옥.오은지.한지영. 여성 경력단절 예방강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향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4. 김종숙.이택면. 경력단절의 임금손실 추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5. 민현주.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분석. 한국인구학 34권 1호 (2011.4): 53-72.
  6. 박수범.김난주.권희정. 여성 경력단절예방 재정사업의 성인지적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7. 장지연. 출산을 전후한 시기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과 진입. 한국인구학 20권 2호 (1997.12): 5-42.
  8. Brington, M. "Married Women's Labor in East Asian Countries. Women's working lives in East Asi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1): 1-37.
  9. Brington, M. and S. Lee. "Women's Education and the Labor Market. Women's Working Lives in East Asi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1): 125-150.
  10. Cho, D. and Cho, J. "Over-heated Education and Lower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Korean Female in other OECD countries."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48 (January 2015): 1-8.
  11. Farilie, R.W. "The Absence of the African-American Owned Business: An Analysis of the Dynamics of Self-Employment." Journal of Labor Economics 17 (1) (January 1999): 80-108. https://doi.org/10.1086/209914
  12. Lee, S. "Married Women's Employment and Housework in South Korea. Old Changes, New Strategies." Brill. (2004): 61-86
  13. Mincer, J. "Intercountry Comparisons of Labor Force Trends and of Related Developments: An overview." Journal of Labor Economics 3(1) (August 1985): S1-32. https://doi.org/10.1086/298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