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ology Study on and Attendant Assistant Image of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Experts

공적개발원조(ODA) 전문가의 이미지에 관한 Q유형 분석

  • Jeong, Baek (Dept. of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Dong-eui Uni.) ;
  • Kim, Kyoung-Won (Busa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 정백 (동의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김경원 (부산인적자원개발원)
  • Received : 2015.10.26
  • Accepted : 2016.03.12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is Research Paper was based on practical method to examine a subjectivity of ODA experts' images. It was used Q-methodology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I found 4 types of images out throughout the process totally. The perception patterns came out in the research were divided into 4 types in Q-methodology. The results is following ; Those are separated 4 types like Type 1(called operationally individual type), Type 2(arbitrary type), Type 3(mellow type), Type 4(onlooking type). These types consist of each elements to evaluate ODA experts from the people minds. Therefore, This study give us one way to take an assessment of ODA projects. The results reveal that korean ODA policy more has to depend on the scientific evaluation of the person participated in each projects. And the findings demonstrate good questions in comparing with trends of ODA distributor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uch as OECD/DAC.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활동하는 ODA 전문가의 이미지에 관하여 보다 심층적이고 본질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Q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Q방법을 통해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의 이미지관한 이미지 수용 유형을 분류해서 그 특성을 살펴보고, 그 의미에 대해서 분석해 보는 것이다. 분석결과 ODA전문가는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제1유형은 개성형, 제2유형은 독단적 유형, 제3유형은 유유자적 유형, 제4유형은 방관적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4개의 유형이 비슷하게 합의한 진술문은 총 5개이다. 이는 제1유형에서부터 제4유형까지의 진술문들에 대한 의견일치를 보여주는 항목이다. 여기에서 피응답자들은 Q16(겉과 속이 다르게 보인다), Q19(학력이 높아 보인가), Q10(책임감이 있다), Q8(신속하게 일처리를 한다)의 진술문에 대체적으로 동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Q4(공사구분이 철저하다)라는 의견에 부정적인 것으로 보아, 응답자들은 국제개발협력 강의를 진행하는 ODA전문가들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그동안 ODA사업에 참여한 전문가들과 관련하여 주로 직무분석이나 전문인력 수급 및 교육 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고, 다양한 국제개발협력 사업 참여자들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지 못했다는 점에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겠다. 따라서 추후 발전된 연구방향은 수원국 주민들이 한국의 ODA 전문가들의 이미지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특성과 행태를 연결하여 사회과학적 방법을 통해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민정(2007), 대학교과과정에서 이미지 메이킹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 율(2006), 우리나라 ODA 사업의 효과성 제고방안: 모니터링과 평가를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 2006-3호, 한국국제협력단
  3. 김경호(2005), "이미지메이킹의 개념정립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상태(2010). 국제개발협력 대내외 여건변화 및 전문인력의 양성의 중요성,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전략 세미나 자료집,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김영수(2000), "정치인 이미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김영환.김선영.정지언(2012), "공적개발원조오 개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연구," 교사교육연구, 51(3), 423-439.
  7. 김정원(2012), "한국의 이미지메이킹 시스템에 대한 연구경향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철희(2010), "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전략(II)-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기본연구, 2010-35. 45-60.
  9. 김철희(2011),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의 양성 및 활용 실태와 과제, THE HRD REVIEW, 2011-SPRING,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김흥규(1990),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언론학논선, 45-47.
  11. 김흥규(1992).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간호학논문집, 6(1). 1-11.
  12. 박수경.이주영(2011), "부산세계개발원조총 회의 주요 논의와 성과," KIEP 지역경제 포커스, 5, 48.
  13. 배성일(2012), 국제개발협력 전문가 자격제도 도입방안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4. 유평근.진형준(2005), 이미지, 살림, 21.
  15. 이계우.박찬용(2005), 베트남을 위한 중장기 원조사업계획, 한국국제협력단
  16. 이태주(2011), "국제개발협력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과 인류학적 지역지식의 접목," 직업능력개발연구, 14(1), 173-194.
  17. 이영현(2009), 교육훈련 국제개발협력 선진화 전략, 정책연구, 2009-1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정상희(2011), 선진원조 집행방안 모색을 위한 국별 비교연구, 한국국제협력단
  19. 정재완(2005), KIEP․KOTRA 국가정보: 베트남, KOTRA.
  20. 최민경(2008), 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육성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협력단
  21. 최영렬(2008), 아태지역 직업훈련 실태조사 및 직업교육훈련 Workshop(III): 베트남, 한국직업능률개발원. 정책자료 2008-13.
  22. 최영재(2006), 현대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나남, 114.
  23. 최영재.박동진(2012), "정치인과 CEO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인지적, 감정적 요소의구성과 효과," 한국PR학연구, 126(3), 250-272.
  24. 하정수(2013), "경영컨설턴트의 직무 만족과 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한국국제협력단(KOICA). ODA 교육원 (http://idea.koica.go.kr)(검색일 : 2015. 4. 12)
  26. 한국수출입은행(http://www.koreaxim.go.kr) (검색일: 2015. 4. 8)
  27. Albanese, Robert and David D. Van Fleet (1983), Organizational Behavior: A Managerial Viewpoint, Chicago: The Dryden Press.
  28. Baldwin, T. T. and J. K. Ford(1988), "Transfer of Training:AReview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ersonal Psychology.
  29. Birdwhistell(1962), Introduction to Kinesics, New York: Uni. of Lousville Press.
  30. Boorstin, D.(1961), The Image, New York: Athbaum
  31. Boulding, K.(1956), The Images,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2. Campbell, J. P. Dunnette, M. D. Lawler E. E. & Weick, K. E.(1990), Managerial Behavior,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New York: Mc Graw-Hill.
  33. Cash, T. F and Karen, L. L(1990), "Being Fat Versus Thinking Fat: Relationships With Body Image, Eating Behavior, and Well-Being,"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 327-341. https://doi.org/10.1007/BF01184000
  34. Hiltz, S. & Johnson, K.(1990), "User Satisfaction with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Science 36(6). 739-764. https://doi.org/10.1287/mnsc.36.6.739
  35. Hoppock, R.(1935), Job Satisfaction, New Work: Harper.
  36. Kirkwood, K. G and Ralston, S. M.(1999), "Inviting Meaningful Applicant Performances in Employment Interviews,"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36(1), 55-76. https://doi.org/10.1177/002194369903600103
  37. Locke E. A.(1974). "Satisfiers and Dissatisfiers among Whit-Collar and Blue-Collar Employe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8(1), 67. https://doi.org/10.1037/h0035418
  38. Millar, K. I.(1998), The Development and Field-Test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University of Texas.
  39. Porter, L. M. and R. M. Steers(1973),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80. 151. https://doi.org/10.1037/h0034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