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퍼스트레이디 펑리위안의 패션이미지와 디자인 특성

Fashion Imag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nese First Lady, Peng Liyuan

  • 이초 (국립공주대학교 의류상품학과) ;
  • 하승연 (국립공주대학교 의류상품학과)
  • Li, Chao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Ha, Seung Yeon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08.03
  • 심사 : 2016.10.24
  • 발행 : 2016.12.31

초록

This study would inquire into the fashion imag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Peng Liyuan, the first lady of China that has a mighty influence on the recent global economy and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shion image of Peng Liyuan according to the role which she performs as a first lady and analyzed how the fashion image appears and changes by year and role type.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Peng Liyuan's fashion image, focusing on the silhouette, fashion items, coordinated items, colors, and textile pattern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limited to the dresses worn by Peng Liyuan from March 14, 2013 to September 30, 2015. The fashion image of Peng Liyuan changed from classic and elegant image to modern image till 2015, and she reduced ethnic image and emphasized romantic image. In international diplomatic visits, she tried to express the confidence and potential of China through classic, ethnic and modern image, while in formal events of China, she showed an intention to communicate with the Chinese public with soft intimacy through elegant and ethnic images. As design characteristics in her fashion image, she flexibly changed her fashion image by the composition of silhouettes and items, which could cover her mid-life body type and made use of the form and detail of Chinese traditional qipao, appropriate coordination of scarves and brooches, the combination of chromatic color and achromatic color, appropriate uses of textile patterns and the delivery of China's image according to place and purpose. The study of Peng Liyuan's fashion image has significance to understand the fashion trend as a role model of fashion for the Chinese people and can help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that aims at the Chinese market in the future by predicting Chinese women' Fashion trend.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수애, 김은영, 김지영, 이은경, 최종명 (2008). 패션과 라이프. 서울: 교학연구사.
  2. 김미경. (2012). 리더의 스타일에 표현된 패션폴리틱스 현상이 대중문화에 미치는 영향. 패션비지니스학회지, 16(5), 88-106.
  3. 김보배. (2010). 퍼스널 이미지 컨설팅. 서울: 경춘사.
  4. 김영삼, 김장현, 전여선 (2012). 한국 영부인의 역할유형에 따른 패션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6(9), 1000-1013. https://doi.org/10.5850/JKSCT.2012.36.9.1000
  5. 김은애, 김혜경, 나영주, 신윤숙, 오경화, 유혜경, 전양진, 홍경희, 김은애 (2001). 패션소재기획과 정보. 파주: 교문사.
  6. 박길순, 손향미, 박수진, 윤소영 (2009). 패션 이미지스타일링. 대전: 궁미디어.
  7. 박숙현. (2007). 패션 이미지 메이킹. 서울: 예학사.
  8. 박숙현, 이효숙. (2004). 패션이미지에 따른 의복스타일과 헤어스타일과의 상관성. 한국패션뷰티학회, 2(3), 44-59.
  9. 박재영, 윤영민. (2008). 한국의 영부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10, 71-108.
  10. 상윤진 이인성. (2014) 로열 계층 패션 스타일 분석 및 디자인 개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 335-348.
  11. 신상옥, 오경화, 이선희, 이춘희, 나영주 (2002). 현대패션과 의생활. 서울: 교문사.
  12. 안명숙, 장애란. (2002). 현대패션과 이미지 메이킹. 서울: 예학사.
  13. 양미경, 곽태기. (2014). 박근혜 대통령의 패션정치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4(1), 137-155.
  14. 양숙희, 조윤영. (2011). 여성정치 리더의 역할 수행을 위한 패션 스타일 연구 -율리아 티모센코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9(1), 104-118.
  15. 오경화, 김정은, 구미지, 성연순, 김세나 (2011). 패션 이미지업. 파주: 교문사.
  16. 윤나리, 임선희, 진용미 (2013). 박근혜 대통령이 패션 및 헤어스타일 분석. 한국미용예술학회지, 7(1), 79-91.
  17. 이미숙. (2013).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퍼스트레이디 패션 스타일 비교연구 -재클린 케네디와 미셀 오바마를 중심으로-. 복식, 63(8), 14-26. https://doi.org/10.7233/jksc.2013.63.8.014
  18. 이민정. (2008). 퍼스트레이디의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성옥, 장미화, 김나희, 류지원 (2002). 이미지메이킹. 파주: 교문사.
  20. 이영재. (2011). 현대 퍼스트 레이디 룩의 형성과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재키 스타일의 투피슬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7(2), 467-479.
  21. 이인자, 신효정. (2000). 패션코디. 서울: 시공사.
  22. 이창신. (2014). 퍼스트레이디 미셸 오바마의 생애와 "미셸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30, 291-323.
  23. 이해영. (2000). 이미지메이킹. 파주: 교문사.
  24. 장문. (2015). 중국과 미국 퍼스트레이디의 패션 스타일 연구 -펑리위안과 미셸 오바마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장문, 이미숙. (2014). 퍼스트레이디 펑리위안의 패션 스타일링에 나타난 패션정치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4), 591-604.
  26. 장성은, 이종숙. (2009). 이미지 메이킹을 위한 토탈패션 뷰티 코디네이션. 서울: 경춘사.
  27. 정삼호, 이은지, 문순정. (2000). 패션 셀프 스타일링:Woman's Wear. 파주: 교문사.
  28. 정선주. (2013). 퍼스트레이디 룩에 나타난 헤어스타일의 특성에 관한 연구 -미셀오바마, 카를라브루니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3), 477-488.
  29. 정영순. (2009). 미셀 오바바처럼 사랑하고 성공하라. 서울: 가림출판사.
  30. 정혜정. (2007). 퍼스트레이디 시절 재클린 케네디의 의상 연구. 한복문화학회, 10(1). 27-42.
  31. 조오순, 남윤숙, 박혜원, 오인영, 박은정 (2008). 함께 알아보는 패션 그리고 뷰티 이야기. 서울: 경춘사.
  32. 한지은, 정성혜. (2011). 미셀 오바마의 패션 색상연구 -패션 정치의 관점에서-.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1(1), 89-102.
  33. 한지은, 정성혜. (2015). 여성 정치 리더의 특성과 패션이미지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7(3), 319-321.
  34. Anthony, Carl Sferrazza. (2000). America's First Families: an inside view of 200 years of private life in the White House. New York: Touchstone.
  35. Anthony, Carl Sferrazza. (1990). First Ladies: The Saga of the President's Wives and Their Power, 1789-1961. New York: William Morrow and Company, Inc.
  36. Batts, K. (2011). Every Icon. New York: Clarkson Potter.
  37. Carl Sferrazza Anthony. (1990). First Ladies: The Saga of the President's Wives and Their Power(1789 - 1961). William Morrow & Co., p.
  38. Ngrid D'Hooghe. (2005). Public Diplomac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New York: Palgrave Macmillan.
  39. Jarol B. Manheim (1994). Strategic Public Diplomacy and American Foreign Policy the Evolution of Influenc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p.122.
  40. O'Conner, K. Nye , B., & Van Assendelt, L. (1996). Wives in the white house: The political influence of first ladies. Presidential Studies Quarterly, 26(3), 835-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