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션이미지

Search Result 68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 1990년대 여성복을 중심으로 -

  • 이화정;채금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1-41
    • /
    • 2001
  • 본 연구는 1990년대 밀리터리 패션에서 성적 이미 지의 표현양상을 살펴보고 각각의 미적 특성과 형성 요인을 분석하여 현대 여성의 다양한 미적 가치와 미의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1,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등장한 밀 리터리 패션은 20세기 초반에 여성의 사회참여와 지 위 향상으로 인해 실용성과 기능성을 추구하였고 중 반에 들어서면서 히피와 젊은 세대들에 의해 반전운 동의 일환으로 입혀져 안티패션의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으며 후반에는 포스트모더 니즘으로 인해 다양성 을 추구하는 복고풍의 패션 트랜드로서 각종 컬혜션 에서 부각되었다. 그 결과 밀리터리 패션은 기존의 남성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여성적 이미지도 표현하 게 되었다. 이러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 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의 남성적 이 미지와 보수적 이미지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 지의 여성적 이미지로 표현되어 나타났다. 남성적 이미지는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남성 중심적 사고 방식에 도전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자아의식이 한층 강하게 작용한 일종의 반 패션 현 상으로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로 특정지을 수 있다. 첫째, 권위적 이미지는 주로 고전적 군복과 제복의 이미지를 차용해 군복이 가지는 권위와 위엄을 표출 하였으며 남성 우월주의에 기초한 영웅주의를 가시 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떳떳하게 자신의 위치를 세 우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를 대변하였으며 영웅주 의와 가부장제도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공격적 이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에 대한 저 항과 기존의 성 정체성에 대한 저항으로써 전위적인 형태와 해체적인 표현으로 본래의 위엄있는 군복의 이미지를 무너뜨려 남성다웅의 표면적인 메시지를 약화시키고자 하였으며 반체제 정신, 성 정체성에 대 한 저항, 해체주의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적 이미지는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여성 본래의 성을 부각시키고 여성이 주체가 된 여 성중심적 사고로 여성의 감성적 심리를 패션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보수적 이미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지로 특징 지을 수 있다. 첫째, 보수적 이미지는 남성적 영역이라고 믿어왔 던 군복에 여성성을 강조하여 가늘고 유연한 실루엣 과 곡선적인 라인, 색채. 심플한 디테일만으로 밀리 터리 패션을 표현하여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여성도 사회의 중심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 였으며 남성 권위의 추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둘째, 과시적 이미지는 전통적 군복이 과거의 상 류층 엘리트들만의 아이템이었듯이 현대의 여성들은 신분과 매력의 과시를 표현하고자 금속 단추나 벨트 등 기타장식을 부각시킨 밀리터리 패션을 착용하였 으며 엘리트층에 대한 동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관능적 이미지는 신체의 간접적인 노출과 직접적인 노출을 통해 여성의 신체에 의한 에로틱한 관능미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나르시시즘과 보이고 자 하는 욕구, 성적 유희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패션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고 미적으로 자기완성의 방편을 삼으려고 한 현대 여성들의 가치 관과 미의식을 이해하며 이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패 션 트랜드와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African Image Expressed in 2005 S/S Collections (2005 S/S 컬렉션에 나타난 아프리카 이미지 연구)

  • Lee, Keum-Hee;Kim, Wan-Joo;Kim, So-R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1 no.6 s.165
    • /
    • pp.911-922
    • /
    • 2007
  •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correct viewing on the image of Africa and understanding of modem fashion, African image and ar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frican costume, the background of fashion subjecting African image, and the trend according to ages were examined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hen the researcher drew African image by analyzing the works in four 2005 S/S major fashion collections to designers and design factors. The ten voted designers' and brands' works in 2005 S/S collections had four concepts of African image; 'Wild Erotic', 'Abstract Primitive', 'Natural Elegant' and 'Sporty Romantic'. The viewpoint of modem fashion on African image from the aspect of design, designer and fashion trend can be examined as below. First, African costume, which was religious and ceremonial, appeared to emphasize its esthetic side with decorative details in modem fashion design and designers competed to choose a method to harmonize tradition and modem style and by adopting these from occult to decorative meaning, Second, fashion designers presented city unpolished beauty of modem women to a special style and made african image to be recognized as a code of fashion culture by integrating it with modem people's mind to go back to the past and admiration for the purity of nature. Third, thanks to the instinctive vitality hidden in the primitive life, inspiration for creative design that is found in the esthetic mind of the Indians, foreign taste emphasizing ethnic trend, and admiration to naturalism due to the increase of concern over ecology, 'African image' led the beginning of 21C trend by being settled as a in fashion trend.

A study on Emotional Fashion Design Using Light (빛을 활용한 감성 패션디자인 연구)

  • Jo, Min-Yeong;Choe, G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14-217
    • /
    • 2009
  • 현대 패션분야에서 디자이너들의 예술적 표현의 주제이자 매체로서 활용되고 있는 빛은 보다 감성지향적인 방향으로 발전되는 추세로서, 빛을 활용한 감성 패션디자인에 대한 표현 방법과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패션디자인에서 빛을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빛의 반사, 이미지 표현, 발광, 투사에 의해 독창적으로 응용되어져 표현되어 왔으며, 다양한 빛의 표현을 위해 재료의 물성을 조작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빛의 유희, 명암이나 형태, 색채를 통한 빛의 재현, 발광물질이나 인공광에 의한 발광, 프로젝터를 통한 빛 이미지 등 다양한 표현방법이 활용되고 있었다. 빛이 활용된 감성 패션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으로는 상호작용성, 영상성, 투명성, 실험성으로 분류되었다. 상호작용성은 착용자의 행위에 의한 변형과 신체의 변화나 감정의 변화에 의한 불빛이나 영상 패턴이 바뀌는 등 형태나 컬러, 영상의 변형 등 착용자의 메시지 전달이나, 감정표현, 신체보호, 그리고 재미를 유발하는 효과를 자아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성은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것과 내부 광원에 의한 발광성으로 분류되며, 드레스에 장착된 수많은 LED 에 의한 영상을 만들거나 이미지를 확대시키는 방법으로 표현된 영상성은 심미적인 효과가 우선시되었다. 투명성은 주로 비닐, 플라스틱, 기능적 소재 등 투명한 소재들을 이용하여 대부분 재료의 특성이 조형적 특성으로 분석되었고, 외부와의 개방성과 위장가능성의 효과를 준다거나, 투명한 재질에 이미지가 변화하는 이미지의 중첩성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성은 새로운 실험적 도구로서의 패션을 표현하고자 할 때, '빛'을 매개체로 하여 관심을 유도하고 재미를 더해주며, 신비주의적 환상이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처럼 빛을 활용한 패션디자인은 빛을 매개체로 하여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특유의 조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feasibility of using AI image generation tool for fashion design development -Focused on the use of Midjourney (패션디자인 개발을 위한 AI 이미지 생성 도구의 활용 가능성 연구 -미드저니(Midjourney)의 활용을 중심으로)

  • Park, Keunsoo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237-244
    • /
    • 2023
  • Today, AI is being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leading to a paradigm shift in the overall industry. In the fashion industry, AI is also used to predict trends and provide various services for consumers, and in particular, AI image creation tools have the potential as a tool for fashion design 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using Midjourny for fashion design development by creating images using Midjourney among AI image creation tools and identifying its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created in Midjourne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the intuitiveness to create images by intuitively applying or combining images corresponding to commands. Second, there is randomness in which different images are generated when the same command is entered at different times. Third, when using existing images and commands together, the image created in Midjourney is more dependent on the existing image than the command. In conclusion, Midjourny's various image creation functions and the ability to change images according to commands can be helpful in developing original fashion design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fashion designs that cannot be worn or made are sometimes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he use of AI image creation tools for fashion design development.

A Study on the Color of AI-Generated Images for Fashion Design -Focused on the Use of Midjourney (패션디자인을 위한 AI 생성 이미지 색상 비교 연구 -미드저니의 활용을 중심으로-)

  • Park, Keunsoo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2
    • /
    • pp.343-348
    • /
    • 2024
  • Today, AI image creation programs are optimized for various and specialized purposes such as fashion product advertising, customized fashion style suggestions, and design development, and are actively utilized in the fashion industry. Meanwhile, color is a powerful formative elemen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ressing images for suggesting products or fashion styles. This study seeks to expand understanding of the use of Midjourney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combinations that appear in clothing images created using Midjourney among AI image creation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itial image created in Midjourney reflects the existing image color used to create the image more than the color specified in the command. Second, the color combinations that appear in the clothes of the images created in Midjourney are divided into separate and mixed colors. The ratio of colors expressed in a separate color scheme is affected by the color order specified in the command. The number of colors combined in a mixed color scheme appears as a combination of fewer colors than the total number of colors of clothing in the existing image used to create the image in Midjourney and the number of colors specified in the command. Third, caution is needed because changes in background color can affect the user's color perception of the clothes in the image and the formation of the costume imag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fashion design education and practice.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Customer-Brand Relationship of Fashion Social Brand on Brand Equity (패션 사회적 브랜드-소비자 관계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Na, Youn Kue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8 no.2
    • /
    • pp.1-14
    • /
    • 2016
  • 사회적기업의 브랜드를 추구하는 패션 소비층은 개인적인 가치 기준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중시하고 자신만의 감도를 찾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패션 사회적 브랜드는 새로운 각도에서 소비자들을 이해하며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 사회적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세부적 요인이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들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 대해 규명하며, 연구결과를 기준으로 패션사회적 브랜드가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예측하여 보다 효율적인 브랜드 전략을 진행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bigcirc}{\bigcirc}$ 패션 사회적 브랜드 상품구매경험자를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0.0, AMO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을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행위적 몰입, 인지적 믿음은 브랜드 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감성적 유대는 브랜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브랜드-소비자 관계의 행위적 몰입, 감성적 유대, 인지적 믿음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패션 사회적 브랜드 태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PDF

Human Image Analysis Through Fashion Color of Female Political Leaders (여성정치지도자의 패션컬러를 통해 본 휴먼이미지 연구)

  • Kim, Se-A;Jang, Seo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2
    • /
    • pp.247-256
    • /
    • 2017
  • 21st century has become an era can design human's image. By designing the each human's images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hidden abilities of their mind. Modern society changes rapidly where the elements such as consideration, sympathy, understandings, and female leadership of communication emerge as a spur rather than speediness or complexity.In a lot of global conglomerates, it is very common for women to be selected as CEO, and even more, the rate of woman who are the member of Congress is almost 40%. The fashion of female leader has come to the fore with an improvement of female leadership, and the fashion colour which is suitable to P.O has been developed as a significant image strategy. I am going to conduct the research and analyse the fashion of a female political leader through the colour image which is equivalent to a visual image and sensitive language. I will analyze the human image which female leaders present through fashion colors.

The Relation of Fashion Image and Followership (패션이미지와 팔로워십과의 관계연구)

  • Kim, Mi-Kyung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16 no.4
    • /
    • pp.64-7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ould b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social as a sign of fashion image and the followership.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e experimental study. First, The relationship of oneself pursuit of fashion image types and leader's favourite fashion image types for regression analysis resul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factor analysis of followership are used, developed by Colangeol is asking.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are four types classification as to Active Participation, Convergence objective, Team Spirit, Critical Thinking. Third, The relationship of types of fashion images and factor variance of followership indicated a difference in Active Participation factors. But The relationship of types of leader's fashion images and factor variance of followership indicated a difference in Convergence objective factors. Analysis of the fashion image based on the conceptual properties of followership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ollowers, and the leader's image based on research for building materials will be provided.

빅데이터 기반 패션 추천 도우미 Shoes Navigator 설계 및 구현

  • 조현우 ;장지완 ;최현선;정목동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389-39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패션 매칭의 어려움을 해결해주기 위하여 '무신사' 쇼핑몰을 이용하여 크롤링하고 이를 정제한 dataset을 이용하여 패션 스타일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신발에 초점을 맞추어, 이미지 기반의 패션 매칭 시스템인 빅데이터 기반 패션 도우미, Shoes Navigator 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컴퓨터 비전 및 딥 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이미지에서 의류 항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스타일, 색상과 같은 패션 특성을 추출한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적인 스타일을 고려하여 최적의 매칭을 제안하기 때문에 패션 코디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Deep learning-based clothing attribute classification using fashion image data (패션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의 의류속성 분류)

  • Hye Seon Jeong;So Young Lee;Choong Kwon Lee
    • Smart Media Journal
    • /
    • v.13 no.4
    • /
    • pp.57-64
    • /
    • 2024
  • Attributes such as material, color, and fit in fashion images are important factors for consumers to purchase clothing. However, the process of classifying clothing attributes requires a large amount of manpower and is inconsistent because it relies on the subjective judgment of human operators. To alleviate this problem,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hat utilizes artificial intelligence to classify clothing attributes in fashion image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classifying clothing attributes for either tops or bottoms, so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attributes of both tops and bottoms cannot be identified simultaneously in the case of full-body fashion imag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ep learning model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tops and bottoms in fashion images and classify the category of each item and the attributes of the clothing material. The deep learning models ResNet and EfficientNet were used in this study, and the dataset used for training was 1,002,718 fashion images and 125 labels including clothing categories and material properties. Based on the weighted F1-Score, ResNet is 0.800 and EfficientNet is 0.781, with ResNet showing better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