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hildren for Poverty Housing

아동 주거빈곤 정책 마련을 위한 탐색적 연구

  • 고주애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
  • Received : 2016.04.11
  • Accepted : 2016.04.29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The government has switched the purpose of housing policy, from the 'housing supply' to 'housing welfare', with the Housing Laws established in 2015 under evaluation that resident stability and resident standard were improved. But, as 'affordable' housing is gradually decreasing, residential environment has become more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is a basic element for the child safety, health, and better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at the poor resident environment had effect on the child, figured out the situation on housing poverty of domestic child and searched the situation of the residential policy of domestic and foreign chil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or resident environment of childhood has a bad effect on the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academic achieve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1.29 million children (11.9%) are living in condition of housing poverty below minimum resident standard and are concentrated in certain areas. Third, the policy on housing poverty of domestic child is almost absent and focuses on the elderly, young people. this study discussed political and practical solution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 results, as policy suggestions we proposed housing policy making based on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evidence-based housing policy enforcement and, residential policy suggestions under the responsibility of central government, and as practical suggestions community working as the subject and related agency's solidarity from prevention activity of housing poverty and child advocacy point and we discussed way for issue and analyzed related laws, policies, commitments.

정부는 주거안정과 주거수준이 향상 되었다는 평가아래 2015년 주거기본법 수립과 함께 주택정책의 목적을 '주택공급'에서 '주거복지'로 전환하였다. 그러나 부담 가능한(affordable) 주택이 점차 감소하면서 주거환경은 더욱 열악해 지고 있다. 주거환경은 아동이 안전하고, 건강하고, 교육을 잘 받을 수 있는 기본 요소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열악한 주거환경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과 국내 아동의 주거빈곤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국내외 아동의 주거정책 현황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의 열악한 주거환경은 신체건강, 정신건강 및 학업성취와 인지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129만 명(11.9%)의 아동이 최저주거기준 이하의 주거빈곤 상태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셋째, 국내 아동 주거정책은 거의 부재하며 노인, 청년에 집중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안으로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 준수한 아동 주거정책 수립, 증거기반을 토대로 한 주거정책 시행, 중앙정부 책임 하 주거정책을 제안하였고, 실천적 제안으로는 지역사회가 주체가 되어 활동하는 아동 주거빈곤 예방활동, 아동 옹호적 관점에서 관계기관들이 연대하여 관련법, 정책, 공약 등을 분석하고 이슈화 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욱(2013), "기초보장으로서 주거지원의 재설계", 보건복지포럼, 56-63.
  2. 고주애(2016), "주거정책에 아동을 담자.", 입법국정전문지 더리더, 20: 138-141.
  3. 고주애(2015), "아동 주거빈곤 현황과 정책 제안", 제4회 주거복지 컨퍼런스, 391-404.
  4. 국민일보(2014), 아동학대와 동반자살(2014.4.15).
  5.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 (2016),알기 쉬운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6. 국토교통부(2016), 2016년 국토교통부 업무계획(보도자료, 2016. 1.26).
  7. 김기원(2016), "맞춤형 주거복지정책 추진 가능", 복지저널, 제90호: 54-59.
  8. 김미숙 등(2013),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김유리, 고주애, 정익중(2015), "2014년 6.4 지방선거 주요 정당 및 시도당선자의 아동정책 공약 분석", 학교사회복지, 31: 333-355.
  10. 김혜승, 유미경(2015),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국토교통부.
  11. 남원석(2013), "주거취약계층의 개념 및 유형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1(2): 47-71.
  12. 노혜진 등(2015), 의제기반 지역별 실태 및 복지지표 연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13. 박수진(2016), "소외된 아동 공약", 한겨례21, 1105(2016.4.4).
  14.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5), 2014 전국아동학대현황 보고서.
  15. 보건복지부, 한국아동단체협의회(2011), 유엔아동권리협약.
  16. 우경연(2015), 한부모가정의 아동을 위한 주거복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17. 이봉주 등(2013),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종합지수 연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세이브더칠드런.
  18. 이봉주 등(2015), 지표를 통해 본 한국 아동의 삶의 질,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세이브더칠드런.
  19. 이봉주, 임세희(2008), "아동의 주거상태와 아동발달", 보건복지포럼, 한국 복지패널 심층분석(4), 43-50.
  20. 이수욱(2015), "저성장시대의 주택시장과 주거복지정책에 대한 단상", 제4회 주거복지 컨퍼런스, 16-35.
  21. 임세희(2010), 주거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임세희(2014),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 규모 및 특성의 변화(2005-2011), 사회보장연구, 30(3): 215-244.
  23.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한국도시연구소(2013), 어린이재단 아동 주거빈곤 보고서, 아동의 미래, 집에서 시작합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24. 최병숙, 박정아(2012), "한국복지패널연구 자료를 기초로 주거환경과 우울감 및 자존감과의 관계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3(5): 75-86. https://doi.org/10.6107/JKHA.2012.23.5.075
  25. 최지은, 전정윤, 최유림(2010), "주거특성과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61-165.
  26. 통계청(2010), 인구주택총조사.
  27. 하성규 등(2012), 한국 주거복지 정책.
  28. 홍인옥(2002), "지하주거의 실태와 문제점", 도시연구.
  29. 홍현미라(1997), "철거지역 아동 환경의 위험상황에 대한 고찰 및 아동방임, 심리적 부당대우에 대한 실태보고와 대안 모색", 도시와 빈곤, 28.
  30. Gagne, L. G. and A. Ferrer (2006), "Housing, Neighborhoods and Development Outcomes of Children in Canada", Canadian Public Policy, 32(3): 275-300. https://doi.org/10.2307/4128739
  31. Halpern, D. (1995), Introduction and Background. Mental health and the Built Environment, Oxon: Taylor & Francis, Inc.
  32. James, B. and S. S. Kay (2010), Children's Housing Futures, Center for Housing Research, Aotearoa, New Zealand.
  33. Kpoec, D. (2010), Environmental Psychology for Design,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s, Inc.
  34. Leventhal, T. and J. Brooks-Gunn (2003), "Moving to Opportunity: an Experimental Study of Neighborhood Effects on Mental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9): 1576-1582. https://doi.org/10.2105/AJPH.93.9.1576
  35. Lubell, J. and M. Brennan (2007), Framing the Issues: the Positive Impacts of Affordable Housing on Education, Center for Housing Policy. Washington DC. Housing Affects Child Well-being, Funder's Network.
  36. Sharon, V., E. C. Hair, C. Theokas, K. Cleaveland, M. McNamara and A. Atienza (2006), How Housing Affects Child Well-being, Funder's Network.
  37. WHO (2007), LARES: Large Analysis and Review of European Housing and Health Status Preliminary Overview,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38. http://childfriendlycities.kr.
  39. http://www.theconnection.org/SHF.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