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동산 시장 O2O(Online to Offline) 앱서비스의 만족도 및 재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Reuse of Real Estate O2O (Online to Offline) App Services

  • 임미화 (단국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부 ) ;
  • 임규건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
  • Mi Hwa Lim (Dept. of Urban Planning & Real Estate, Dankook University) ;
  • Gyoo Gun Lim (Business School, Hanyang University)
  • 투고 : 2016.05.25
  • 심사 : 2016.08.22
  • 발행 : 2016.09.30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급성장하는 O2O 비즈니스 모델 중 부동산 모바일 중개업체의 사업모델을 분석하고, 사용경험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재이용의사를 조사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와 재이용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동산중개 앱서비스 사용의 용이성과 유용성은 고객만족에 양의 영향을 주며, 이는 재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부동산중개 앱서비스에서 연결한 오프라인 중개사무실 사용의 용이성과 유용성도 고객만족에 양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 역시 재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앱서비스 및 중개업소이용 모두에서 용이성보다 유용성이 고객만족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이용자특성이 주택임차라는 이용목적이 뚜렷한 점에서 유용성의 가치가 이용성보다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부동산 중개서비스 O2O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이용자의 유용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Real estate brokerage app service is an emerging online-to-offline (O2O) business model. This stud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and reuse of real estate app services through a survey of experienced users of the appl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the online app service positively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eventually affects reuse. Moreover,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the offline brokerage introduced by the application positively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eventually affects reuse too. One meaningful finding is the stronger impact of usefulness on customer satisfaction than that of ease of use in both online and offline situations.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value of usefulness is bigger than that of ease of use because of users who purposely use the application to find relevant real estates. The effect of online customer satisfaction on reuse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ffline. This finding suggests that need to develop a strategy for online applications that focuses on enhancing the usefulness of real estate brokerage app services in the O2O market.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5S1A5B6037280). 이 논문은 한양대학교 교내연구지원사업으로 연구되었음(HY-2015년도).

참고문헌

  1. 강소라, 전방지, 김유정, 김연정, "UCC 서비스 이용 연구-기술수용모형과 감정차원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6권, 제3호, 2007, pp. 1-26. 
  2. 구동모, "혁신기술수용모델(TAM)을 응용한 인터 넷쇼핑행동 고찰", 경영정보학연구, 제13권, 제1호, 2003, pp. 141-170. 
  3. 구철모, 김용진, 남기찬, "모바일 커머스 사용 만족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8권, 제3호, 2006, pp. 105-123. 
  4. 명춘옥, 최민섭, "부동산중개서비스 품질 및 서비스가치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제21권, 제4호, 2013, pp. 87-116. 
  5. 백민석, 유주현, 신종칠, "상호작용적 서비스로서 부동산중개서비스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3권 제1호, 2010, pp. 147-173. 
  6. 신광식, 최민섭, "부동산 중개서비스 품질이 고객의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제36집, 2009 pp. 240-261. 
  7. 신종칠, "부동산 중개서비스에 대한 만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제14권, 제3호, 2006, pp. 213-245. 
  8. 이상근, "기술수용모델(TAM)과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바탕으로 한 모바일 기술수용에 대한 실증적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7권, 제2호, 2005, pp. 61-84. 
  9. 이선로, 조성민, "모바일 기기의 수용형태와 사용 에 관한 연구: PDA 시스템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34권, 제4호, 2005, pp. 1023-1052. 
  10. 이원빈, 정경수, "모바일 커머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2008, pp. 19-31. 
  11. 이인성, 김호영, 이연수, 김진우,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시장의 변화 추세에 관한 연구: 사용자 욕구 변화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3권, 제1호, 2001, pp. 73-82. 
  12. 임미화, "인터넷 부동산거래정보 발달에 따른 탄소저감효과 분석",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2권, 제2호, 2013, pp. 73-84. 
  13. 장성대, 엄수원, "부동산중개업소의 서비스요인이 고객만족과 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3권, 제2호, 2010, pp. 221-244. 
  14. 조광행, "부동산마케팅에서 중개서비스 품질의 측정모형 및 측정척도", 부동산학보, 제30집, 2007, pp. 95-112. 
  15. 최민섭, 신종칠, "인터넷 부동산서비스품질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택 연구, 제15권, 제1호, 2007, pp. 63-98. 
  16. 포커스이슈, "모바일 부동산중개서비스 시장성장가능성점검", KB금융지주연구소, 2016, https://www.kbfg.com/kbresearch/. 
  17. 하대용, 이종욱, "부동산 중개 서비스품질이 신뢰형성과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경제연구, 제35권, 제1호, 2012, pp. 44-62. 
  18. Adams, D. A., R. R. Nelson, and P. A. Todd,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nd us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 replication", MIS Quarterly, Vol.16, No.2, 1992, pp. 227-247. 
  19. Bailey, J. E. and S. W. Pearson,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omputer user satisfaction", Management Science, Vol.29, No.5, 1983, pp. 530-545. 
  20. Barnes, S. J. and R. T. Vidgen, "An integrative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e-commerce quality",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3, No.3, 2002, pp. 114-127. 
  21. Bhatti, T.,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mobile commerce", Journal of Internet Banking and Commerce, Vol.12, No.3, 2007, p. 13. 
  22. Davis, F. 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characteristics, user perceptions and behavioral impacts", International Journal of Man-Machine Studies, Vol.38, No.3, 1993, pp. 475-487. 
  23.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1989, pp. 319-339. 
  24. Kim, S., "Moderating effects of job relevance and experience on mobile wireless technology acceptance: Adoption of a smartphone by individuals", Information & Management, Vol.45, No.6, 2008, pp. 387-393. 
  25. La Barbera, P. A. and D. Mazursky, "A longitudinal assessment of consu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The dynamic aspect of the cognitive proces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0, No.4, 1983, pp. 393-404. 
  26. Lee, S. J., S. B. Park, and G. G. Lim, "Using balanced scorecards for the evaluation of "software-as-a-service"", Information & Management, Vol.50, No.7, 2013, pp. 553-561. 
  27. Lim, M. H. and G. G. Lim, "Research on model of O2O(online to offline) in korea real estate market", Proceedings 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Social Science, 2016, pp. 40-45. 
  28. Loiacocno, E. T., D. Q. Chen, and D. L. Goodhue, "WebQual revisited: Predicting the Internet to reuse a web site", Proceedings of the Eighth Americas Conference of Information Systems (AMCIS), 2002. 
  29. Moon, J. W. and Y. G. Kim,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Information and Management, Vol.38, No.4, 2001, pp. 217-230. 
  30. Nielsen, J., "User Interface Directions for the Web",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42, No.1, 1999, pp. 65-72. 
  31. Oliver, R. L.,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 in retail setting", Journal of Retailing, Vol.57, No.3, 1981, pp. 25-48. 
  32. Parasuraman, A., V. A. Zeithaml, and L. L. Berry, "Servqual", Journal of Retailing, Vol.64, No.1, 1988, pp. 12-40. 
  33. Park, S. B., H. Zo, A. P. Ciganek and G. G. Lim, "Examining success factors in the adoption of digital object identifier systems",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10, No.6, 2011, pp. 626-636. 
  34. Seddon, P.,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an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Information System Research, Vol.8, No3, 1997, pp. 240-253. 
  35. Segars, A. H. and V. Grover, "Re-examining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IS Quarterly, Vol.17, No.4, 1993, pp. 517-525. 
  36. Voss, G. B., A. Parasuraman, and D. Grewal, "The roles of price, performance, and expectations in determining satisfaction in service exchanges", The Journal of Marketing, Vol.62, No.4, 1998, pp. 4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