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nstruction Case of BRM 'Danwigwaje' in Basic Local Governments : Focussing on Gangbuk District of Seoul Special City

기초지방자치단체 기능분류체계(BRM)의 단위과제 구축 사례 서울특별시 강북구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7.01
  • Accepted : 2016.07.22
  • Published : 2016.07.30

Abstract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records indicates a table that intends to express organic relations between records by organizing records and enabling internal order. Although the principles of organic classification have remained in traditional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they have been changed to "function and business" in the modern times. Therefore, Korea introduced a business reference model (BRM) based on function and business from 2008 and subsequently implemented its operation. 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roles of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records have not been played because the analysis of "Danwigwaje," which belongs to the lowest level of business reference models, is poor. According to this indication, the Gangbuk District of Seoul Special City established a functional classification scheme by executing a business process analysis of "Danwigwaje." First, the record manager carried out analyses on the principles of "Danwigwaje," small function, and "Danwigwaje." Then,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scheme of "Danwigwaje" was modified by looking into the opinion inquiry process of the treatment department and performing a test operation. Through the case of the Gangbuk District in Seoul Special City, analytical procedures and methods of "Danwigwaje," as well as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functional classification scheme of basic local governments, were arranged in a written format.

기록의 분류체계는 기록을 조직화하고 내적인 질서를 부여하여 기록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표를 말한다. 전통적인 기록관리 환경에서는 조직 분류의 원칙을 고수해왔으나, 현대에 이르러 '기능 및 업무'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한국에서도 2008년부터 기능 및 업무에 기반한 정부기능분류체계(BRM)를 기록의 분류체계로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기능분류체계의 최하위 단위에 속하는 '단위과제'의 분석이 부실하여 기록의 분류체계의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지적에 따라 서울특별시 강북구에서는 단위과제의 업무분석을 실시하여 정부기능분류체계를 구축하였다. 우선 기록관리담당자가 단위과제의 원칙과 소기능 및 단위과제 분석을 실시하였고, 처리과 의견조회 과정과 시범운영을 통해 정부기능 분류체계 단위과제를 정비하였다. 이러한 서울특별시 강북구의 사례를 통해 단위과제의 분석 절차와 방법, 기초지방자치단체 기능분류체계의 구축에 따른 시사점을 글로 정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2007. 단위과제 보존기간 책정.조정 지침(NARS-P-2007-01). 대전: 국가기록원.
  2. 김화경, 김은주. 2014. BRM운영을 위한 단위과제 정비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99-219.
  3. 서울특별시. 2014. 서울시 기능분류모델 정비 및 기록관리기준표 정비용역 최종보고서. 서울특별시.
  4. 설문원. 2013. 단위과제 기반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231-254.
  5. 최재희. 2004.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53-175.

Cited by

  1. BRM 정비를 통한 기록관리기준표 개선사례 서울시 BRM 및 기록관리기준표 정비사례를 중심으로 vol.50,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6.50.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