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녹색당 선거활동 기록의 의미 분석 연구

Content and Value Analysis of the Records of Green Party Korea's Election Activities

  • 주현미 ((사)한국국가기록연구원, 인간과기억아카이브(hmarchives.org)) ;
  • 임진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인간과기억아카이브)
  • 투고 : 2016.06.20
  • 심사 : 2016.07.22
  • 발행 : 2016.07.30

초록

선거는 국민의 대표를 뽑는 국가의 중요한 이벤트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선거제도는 소수의 의견이 배제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고 거대 정당의 독점을 공고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직접민주주의 실험, 비례대표의 확대 등 어떤 소수의 민의라 할지라도 현실정치로부터 배제되지 않도록 대안을 제시하고 당내 민주적인 제도화를 통해 실천해가고 있는 녹색당의 활동은 의미가 있으며 선거활동은 그러한 녹색당의 지향과 실천이 발현되는 과정이었다. 일상아카이브를 지향하는 인간과기억아카이브가 선거운동 초반부터 후보 및 선거활동가들과 함께 선거활동 아카이빙을 기획하고 선거 후 어떻게 기록을 분류하여 등록하였는지 살펴봄으로써 일상에서의 정치적인 활동과 지향이 선거라는 특별한 이벤트를 만나는 접점을 일상아카이브로 포착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지방선거와 총선거 기록은 녹색당의 활동을 증명할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정치 상황과 선거제도의 한계를 드러내는 기록이면서 그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소수정당의 활동을 포착한 기록이다. 녹색당 선거기록이 어떻게 민주주의의 가치를 담고 있고 소수정당에 불리한 선거제도를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돌파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녹색당 선거기록 컬렉션이 한국 정치사에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An election is a major event in a country that elects the people's representatives. Currently, Korea's electoral system has a structure that limits the exclusion of the minority's opinion. Also, it has strengthened the monopoly of major political parties. Despite the harsh conditions, Green Party Korea has proposed an alternative to prevent even the minority from being excluded by practicing direct democracy and expanding proportional representation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democratic process within the party. Election campaigns should thus reflect this orientation of Green Party Korea. The local elections and the national elections reflect Korea's political and social status and show the course over two minority parties beyond such limits. Moreover, they provide evidence of the activities of Green Party Korea. The paper analyzes how the election archives of the party hold the values of democracy, how minor parties jump to another because of the unfavorable election system, and how the archives of Green Party Korea reflect its values on the political history of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구도완, 김민정, 김성균, 김은경, 서영표, 송태수, ... 하승수. 2013. 녹색당과 녹색정치. 서울: 아르케.
  2. 김용복. 2009. 정당정치의 발전을 위한 선거제도의 개혁: 비례대표제의 확대와 석패율제도의 도입. 기억과전망, 20, 39-71.
  3. 김욱. 2006. 독일 연방의회 선거제도가 한국의 선거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 세계지역연구논총, 24(3), 53-70.
  4. 박명호. 2004.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심지연 (편), 현대 정당정치의 이해(405-426). 서울: 백산서당.
  5. 박상훈. 2015. 정당의 발견. 서울: 후마니타스.
  6. 송경화. 2016.6.12. 김수민 비례 공천때 '깜깜이 심사' 의혹. 한겨레신문. 검색일자: 2016.6.15.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47831.html
  7. 안승국. 2010.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변화와 정치적 효과: 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2(1), 259-288.
  8. 유진숙. 2008. 직접민주주의와 정당.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2565-2583.
  9. 윤은하, 김유승. 2016. 노근리 사건의 사회적 기억과 기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6(2), 57-79.
  10. 인간과 기억 아카이브. 2015. 은평녹색당 지방선거 전시섹션. 검색일자: 2016.6.15. http://hmarchives.org/omeka/exhibits/show/exhibit_green_vote
  11. 장훈. 2004. 정당과 선거. 심지연 (편), 현대 정당정치의 이해(171-196). 서울: 백산서당.
  12. 정주환. 2016. 그리스 민주정치와 선거제도 : 아테네 민주주의의 형성과 추첨제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40(1), 159-182.
  13. 주성수. 2009. 직접민주주의 : 풀뿌리로부터의 민주화. 서울: 아르케.
  14. 주현미. 2013. 책임정치 실현을 위한 정당 기록관리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피인용 문헌

  1. 라오스 재생가능에너지 지원활동 컬렉션의 의미와 가치 연구 vol.51,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7.51.045
  2. 한국 인디 밴드 활동 기록의 의미와 가치 연구 vol.52, pp.None, 2017, https://doi.org/10.20923/kjas.2017.52.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