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Rural South Korea - Trends and Challenges -

농촌의 사회적 경제 조직, 실태와 과제

  • Received : 2016.02.13
  • Accepted : 2016.03.15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Our main concerns in this paper are with the several kinds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in rural South Korea, in where social exclusion is likely to be prevalent over time. Approximately, there are 2,500~3,000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hich have been set up from 1990s. Most of their operational social aims are either to offer jobs or to provide social services for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in rural communities. They have several normative principles as a social economy organization. But the two principles were less supported than the others; 1) the community's initiative and participation, and 2) sharing surplus with community.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re involved in various types of business. The greatest number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re doing businesses in agriculture and agro-industry. On average, their value of asset is worth of 300 million wons. They are indebted for 130 million wons, averagely. Their average surplus is 110 million wons. Most of them are small businesses. It is enough to say that the social economy is at an early stage in rural South Korea. The social economy is confronted with some challenges, as follows. Firstly, the social economy organizers should be based on the needs of community in both setting up a new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nd managing businesses. Secondly, networking and cooperation between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should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Thirdly, the sound governance with public sector should be built.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태, 김원경, & 박주희. (2012). 농협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 김선기.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 육성정책 추진실태와 정책방향. KRILA Focus, 36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 김선기. (2012). 협동조합 운동과 지역사회 건설. 협동과 연대의 주체, 새로운 협동조합을 말하다. 지역재단 창립 8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지역재단.
  4. 김정섭. (2013a). 농촌 지역사회의 자율성과 협동조합: 홍동면 사례 연구. 농촌사회, 23(2), 173-223.
  5. 김정섭. (2013b).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집합적 학습: 조력 집단에 대한 성찰. 농촌지도와 개발, 20(3), 603-54.
  6. 김정섭, & 김미복. (2014). 농촌 지역의 협동조합 설립 동향과 제도 개선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김정섭, 마상진, & 김미복. (2012).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의 시사점과 농업.농촌 정책의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김정섭, 마상진, & 김미복. (2013).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및 시행의 시사점과 농촌 정책의 과제. 농촌지도와 개발, 20(1), 1-40.
  9. 김정섭, & 조미형. (2013). 농어촌의 지역사회복지와 협동조합: 체계와 생활세계를 가로질러. 농어촌복지연구, 11호.
  10. 김태곤, 김정섭, 허주녕, & 김예슬.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2/3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 김태곤, 김정섭, 허주녕, & 양찬영. (2013).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중장기 육성전략(3/3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김태곤, 박문호, 김경덕, 김용렬, 허주녕, 김정승, & 임지은.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 중장기 육성방안(1/3차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나주몽. (2012). 한국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책 추진과정과 지역 차원의 문제. 지역개발연구, 44(1), 141-160.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14. 송두범, 김종수, 장효안, 박춘섭, 홍은일, 임상연, & 김선기. (2012). 사회적 경제 조직간 거래 활성화 방안. 충남발전연구원.
  15. 송미령, 김정섭, & 박주영. (2009). 농어촌 기초생활권의 전망과 정책 과제. 농업전망 2009: 한국 농업.농촌, 도전과 새로운 희망.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 신순예. (2014). 프랑스 사회연대경제법의 제정 동향과 시사점. 협동조합 네트워크, 67: 31-66. 한국협동조합연구소.
  17. 안혜원, & 이민규. (2010). 지역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도입 방안. 한국행정학회 2010년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18. 오내원, 마상진, 김광선, 김창호, & 권인혜. (2010).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기업 육성방안 연구(1/2차 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 오윤경, 최현선, 이은지, & 김재현. (2013).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지역공동체의 역할과 과제: 충청북도 괴산군 사례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23(2): 141-172.
  20. 용정순. (2013). 지역복지실천전략과 사회적 경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1. 이강익. (2012). 지역단위 협동과 연대의 경험과 교훈: 협동조합이 지역화 전략. 협동과 연대의 주체, 새로운 협동조합을 말하다. 지역재단 창립 8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지역재단.
  22. 이규천, 오내원, 마상진, 김광선, & 김창호. (2011).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기업 육성방안 연구(2/2차연도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3. 이상엽, & 정건섭. (2011). 커뮤니티 비즈니스(자립형 지역공동체)의 발전방향 연구: 일본 제도와의 비교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15(2), 221-252.
  24. 이인우. (2013). 캐나다 퀘벡주의 협동조합 시스템과 시사점. 외국의 협동조합 사례. 제8회 충남 협동조합 연구포럼 자료집. 충남발전연구원.
  25. 이홍택, & 정성훈.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 발전: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미산 마을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708-720.
  26. 임준홍, 김양중, 송두범, 김종수, 이관률, & 허남혁. (2011). 충남 사회적 경제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27. 장원봉. (2007). 사회적 경제의 대안적 개념화: 쟁점과 과제. 시민사회와 NGO, 5(2), 4-34. 한양대학교 출판부.
  28. 정규호. (2008). 민주적 거버넌스와 시민사회: 풀뿌리 사회경제 거버넌스의 의미와 역할. 시민사회와 NGO, 5(2), 4-34. 한양대학교 출판부.
  29. 주성수. (2010). 사회적 경제: 이론, 제도, 정책. 한양대학교 출판부.
  30. 최경식, 남기포, & 황대용. (2014). 농업분야 신생 협동조합의 현황과 유형별 특징. 농촌지도와 개발, 21(4), 967-1006.
  31. 최덕천. (2011). 사회적 경제블럭과 지역사회협동농업: 원주지역에서의 유기농업과 의료생협의 융합 사례. 한국협동조합연구, 29(3), 1-26.
  32. 호소우치 노부타카. (2008). 우리 모두 주인공인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정일 옮김. 이매진.
  33. 황영모. (2013). 전라북도 사회적 경제 조직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향. 이슈 브리핑, 105호. 전북발전연구원.
  34. 행정자치부. (2013). 마을기업 육성 지침.
  35. Borzaga, C., & Tortia, E. (2007).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the theory of the firm. In A. Noya, & E. Clarence (eds.), The social economy: building inclusive economies (pp.23-60). Paris: OECD Publishing.
  36. Dancause, L., & Morin, R. (2013). Governance and the associative sector of the social economy: The partnership between the state and civil state in question. In M. J. Bouchard (ed.), Innovation and the social economy: The Quebec experience (pp.97-126).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7. Defourny, J. (1992). The origins, forms and roles of a third major sector. In J. Defourny, & J. L. Monzon (eds.), Economie sociale, The third dector. De Boeck-Wesamel.
  38. Gonzales, V. (2007). Social enterprise, institutional capacity and social inclusion. In A. Noya, & E. Clarence (eds.), The social economy: Building inclusive economies (pp.119-154). Paris: OECD Publising.
  39. Gore, T., Powell, R., & Wells, P. (2006). The contribution of rural community business to integral rural development: Local services for local people. Cahiers d'economie et sociology rurales, No. 80. INRA.
  40. Kay, A. (2005). Social capital, the social economy and community development.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41(2), 549-577.
  41. Laville, J., Levesque, B., & Mendell, M. (2005) The social economy: Diverse approaches and practices in Europe and Canada.
  42. Levesque, B., & Ninacs, W. A. (2000). The social economi in Canada: The Quebec experience. In J-M. Fontan, & E. Sharagge(eds.), Social economy: International debate and perspectives. Quebec: Black Rose Books.
  43. Lloyd, P. (2007). The social economy in the new political economic context. In A. Noya, & E. Clarence (eds.). The social economy: Building inclusive economies (pp.61-90). Paris: OECD Publishing.
  44. Pearce, J. (2003). Social enterprise in anytown. London: 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
  45. Pearce, J. (2009). Social economy: Engaging as a third system? In A. Amin (ed.), The social economy: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economic solidarity (pp.22-33). New York: Zed Books.
  46. Reimer, B. (2004). Social exclusion in a comparative context. Sociologia Ruralis, 44(1), 76-94. https://doi.org/10.1111/j.1467-9523.2004.00263.x
  47. Shucksmith, M., & Chapman, P. (1998). Rural development and social exclusion. Sociologia Ruralis, 38(2), 225-242. https://doi.org/10.1111/1467-9523.00073
  48. Shragge, E., & Fontan, J. M. (2000). Introduction. In E. Shragge, & J. M. Fontan (eds.), Social economy: International debates and perspectives (pp.1-21). Montreal, Canada: Black Rose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