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pretation of in Plural Analysis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다원적 해석

  • Received : 2016.01.19
  • Accepted : 2016.03.03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was released in South Korea in 2002 with more than 2million audiences and had been appraised as a successful and sensational work. The work let the audiences highly evoke interest and curiosity through offering magnificent sceneries, weird and funny creatures and stimulating imagination, before having no idea about the work producted by Miyajaki Hayao, one of the greatest directors. Well-concentrated his works seem to be easy to understand but have a variety of meanings in very different ways. Expending the range of analysis of his works, for example, from its technical to cultural and philosophical etc. has an enormous amount of value of diversity such as a ray of light passing through a prism. For this reason, has been studied in many different views. This paper will analyse this animation in respect of ideas of eastern as well as western to show differences from former papers. The ideas of eastern and western seem to be not in a line, but this study will suggest that the two different ideas are not different, actually. Through plural analysis of , ask questions about what life is and what the direction is.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2002년 한국에서 개봉되어 200만 관객이상을 동원하며 흥행돌풍을 일으킨 작품이다. 미야자키 하야오라는 거장의 작품이라는 수식어가 붙기 이전에 작품자체의 아름다운 경관묘사와 괴상하고 코믹하게 생긴 생물체들의 등장, 그리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수많은 작품 내의 장치들은 관객들에게 심심한 재미와 궁금증을 유발한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은 흡입력이 좋다. 그래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작품을 분석한다면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은 다양한 방면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작품자체에 대한 기술적인 분석에서부터 작품에 내재된 문화적, 철학적 요소까지 그 범위를 확장한다면, 한 작품으로 논할 수 있는 주제는 프리즘에 투영된 빛의 모습처럼 아주 다양하다. 이러한 이유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은 논문연구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다. 본 연구는 기연구와 차별화된 연구를 위하여 동양사상뿐만 아니라 서양사상을 그 분석틀로 하여 해석하고자 한다. 표면적으로는 동양사상과 서양사상은 양극적인 의미로 받아들여 질 수 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서 동양사상과 서양사상의 본질은 동일함을 시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의 다원적 해석을 통해 인간 삶의 본질과 지향점에 대한 화두를 던져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자, 고전연구회 옮김, 논어, 더클래식, 2014.
  2. 구보노리타다, 이정환 옮김, 옥황상제에서 서왕모까지, 도교의 신과 신선이야기, 뿌리와 이파리, 1996.
  3. 김종덕, 그로테스크로 읽는 일본문화, 책세상, 2008.
  4. 김치완, 애니메이션으로 떠나는 철학여행, 인문산책, 2011.
  5. 노자, 오강남 풀이, 도덕경, 현암사, 2015.
  6. 양승권, 노장철학과 니체의 니힐리즘, 도서출판문사철, 2013.
  7. 이부영 지음, 노자와 융, 한길사, 2012.
  8. 김은미, 권경은, 문화자본과 확장된 '문화소비'- 무엇을 소비하는가에서 어떻게 소비하는가로, 한국언론정보학보통권, 69호(2015.2), pp.111-138
  9. 김종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나타난 세계관 -인물과 사건에 관한 분석적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2011.7), pp.110-120. https://doi.org/10.5392/JKCA.2011.11.7.110
  10. 양세혁, 좌은정,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나타난 캐릭터 성격구조의 이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2호(2005.4), pp.123-136.
  11. 유강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드러난 노자(老子) 사상, 아시아문화연구 제18집, (2010.5), pp.183-209.
  12. 정민영, 김재웅 애니메이션에서 주인공의 무의식을 통해 바라본 자아성장에 대한 연구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코렐라인>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37호(2014.12), pp.287-306.
  13. C.G Jung, Trans. R.F.C.Hull, The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Vol. 9 Part 1, Preinceton University Press, 1980.
  14. 네이버, www.naver.com, 검색어: 문화, 2015.11.05.
  15. 네이버 교육학용어사전, www.naver.com, 검색어: 인문학, 2015.11.10.
  16. 네이버 두산백과, www.naver.com, 검색어: 알파와 오메가, 2015.11.07.
  17. 위키피디아, www.wikipedia.org, 검색어: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15.11.07.
  18.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