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blems of Dualizing Condition of Farmland Conservation System & Dissonance Problems

농지제도의 문제점: 이원화와 부조화 문제

  • Received : 2016.11.12
  • Accepted : 2016.12.14
  • Published : 2016.11.22

Abstract

Farmland conservation function of 'The Farmland Act' has been being weakened according as farmland conservation system came to the dualizing condition. Overall land use issues including farmland are determined by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In this process, much farmland has been disappeared unilaterally. Above all,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recognized farmland as land for development rather than looking in conservation perspective. Formulating with a 'urban(rural) plan',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brings means and development methods in a variety of setting. So 'The Farmland Act', the center of farmland conservation system, lose an effect of its conservation functions. Farmland is a kind of facility made with heavy investment for agricultural purpose definitely. Therefore conversion of recognition that farmland must not be undermined indiscriminately in dimension such as urban planning facilities.

Keywords

References

  1. 박석두, & 채광석. (2013). 농지전용의 원인과 영향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 R69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 김수석 외. (2009). 경제.사회여건 변화에 따른 농지제도 개편방안. 연구보고 R58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 김수석 외. (2010). 외국의 국토관리 및 농지제도. 연구자료 D29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농지제도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제. 토론회자료집. 연구자료 D234-7.
  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5). 토지의 공익성과 농지제도의 새로운 방향. 토론회자료집. 연구자료 D190.
  6. 채광석, & 김홍상. (2011). 농지총량 관리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 R63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박석두, & 김홍상. (2000). 도시지역 농지의 이용과 정책과제. 연구보고 R41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김정호. (2013). 일본 농지제도의 변천과 최근동향. 토론회자료집.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 최혁재외. (2003).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농지이용관리제도의 발전방향. 국토연구원.
  10. 김재권. (2006). 우리나라 농산촌토지의 계획적 관리 : 제 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에서의 농지.산지 관리방향. 국토연구원.
  11. 배민식, & 김태우. (2016). 경지면적과 농지 전용 현황 및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12. 최상철. (200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정의 의의와 과제. 건축과 도시공간, 2002년 4월호, 13-14.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3. 이병기. (2009). 농촌계획제도의 실태와 개선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3), 23-43. 한국지역개발학회.
  14. 황정임, 최윤지, & 윤민혜. (2014). 외국의 농가경영이양 지원제도 고찰. 농촌지도와 개발, 21(4), 939-963. 한국농촌지도학회.
  15. 김선애, & 문승태. (2013). 농업인의 농업.농촌정책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0(4), 1105-1147. 한국농촌지도학회.
  16. 최식인, & 고순철. (2005). 개방경제 하에서 농업. 농촌정책의 새로운 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12(1), 17-28. 한국농촌지도학회.
  17. 박석두. (2004). 농지제도의 기본방향. 농지제도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제 토론회자료집, 18-46. 연구자료 D234-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8. 송미령. (2004). 농지의 계획적 관리방안. 농지제도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제 토론회 자료집, 47-66. 연구자료 D234-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 정희남. (2004). 토지공개념의 대두와 농지제도. 농지제도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제 토론회자료집, 5-17. 연구자료 D234-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 김태곤. (2007). 농지정책의 방향과 검토과제. 농지제도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제 세미나 자료집, 11-2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1. 윤석환. (2007). 농지문제와 구조개선사업의 평가. 농지제도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과제 세미나자료집, 57-9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2. 채미옥. (2002). 농업환경 변화에 따른 농지관리 제도의 개선방향. 국토, 247, 110-125. 국토연구원.
  23. 최혁재. (2004). 농업환경변화와 농지제도의 향후 발전방향. 국토정책 Brief. 제56호.
  24. Dudwick, N., Fock, K., & Sedik, David J. (2007). Land reform and farm restructuring in transition countries. Washington, DC: World Bank.
  25. 原修吉. (2011). 都市 內 農地.農業の 今後の行方. 住宅. 60(5), 56-60.
  26. 伊藤亘. (2008). 市街化區域內 農地こ關する法制度の經緯現狀て課題. 都市計劃, 57(4), 24-29.
  27. 농림축산식품부. (2016). 농지법 및 동법 시행령. http://www.mafra.go.kr
  28. 한국농어촌공사. (2015). 기반조성본부 내부자료.
  29. 국토교통부. (201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 http://www.molit.go.kr.
  30. 국토교통부. (2016). 토지의 적성평가에 관한 지침. http://www.molit.go.kr.
  31. 국토교통부. (2016). 도시관리계획수립 지침. http://www.molit.go.kr.
  32. 고양시. (2015.12). 2030년 도시기본계획 (안).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