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earch Trends and Agendas of Geography for Unification in Korea

통일지리학의 연구동향과 과제

  • Lee, Minbo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Kir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김걸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6.12.12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2015 was the seventieth year from the liberation and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r. Although the research on the unification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interdisciplinary fields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the geographic research on the unification based on the space stays in a minority. It is time to wrap up the literatures and discourses centered on geography for preparing the unification and taking a view of Korean territory of future unification. The starting point is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geography for unification and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geograph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unification that has been achieved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The geography for un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First of all, the geography for unification can be composed of the stages such as the research for unification, the research for unification impact, the research for united Korea, and the geopolitics of East Asia under the concept of time. It also can be divided into the regions such as Korea, North Korea, borderlands between North Korea-China and North Korea-Russia including South and North Korea, and North East Asia and Pan Pacific Ocean. The geographic research on the unification embracing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can be defined as the geography for un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icit the concept and the research field of the geography for unification in the perspective of discourse,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by geographic themes, and suggest the agendas of the geography for future unification.

2015년은 광복 70주년이자 한반도 분단 70년이 되는 해였다. 광복 이후 통일 연구가 다양한 학제 분야에서 이루어졌으나 공간을 기반으로 한 지리학 차원에서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에 지금은 통일을 대비하고 미래 통일 국토를 조망하기 위한 지리학 중심의 문헌과 담론의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 출발점은 통일지리학을 정의하고 그 동안 이루어졌던 통일 관련 지리학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는 데 있다. 통일지리학은 시공간적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 시간적 개념의 단계로 통일연구, 통일 대비 연구, 통일국토 연구, 통일 이후 지정학적 연구로 구분 할 수 있다. 공간적 개념으로는 한국지리, 북한지리, 남북한 접경지역을 포함한 북중과 북러의 접경지대, 동북아와 환태평양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공간적 개념을 모두 갖춘 통일 관련 지리학 연구를 통칭하여 통일지리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통일지리학의 개념과 연구영역을 담론 측면에서 도출하고, 통일지리학의 연구동향을 지리학의 주제별로 고찰하며, 향후 통일지리학의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석, 2015, 연해주 농업 진출의 전략적 접근, 한울.
  2. 강석오, 1971, 신한국지리, 새글사.
  3. 강창숙, 2008, "중학생들의 '북부지방'에 대한 이해 특성과 지역 이미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2), 79-96.
  4. 강철성, 2004, "북한의 1월.8월 인체보온지수 분포의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1), 151-157.
  5. 강현창.리호, 1996, "우주사진에 의한 대동강하구일대의 옛 바닷물가선에 대한 연구," 김일성종합대학학보, 42(5), 97-101.
  6. 강환웅, 2002, 북한 지리교과서의 이데올로기적 특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공우석, 1995, "한반도 송백류의 시.공간적 분포역 복원," 대한지리학회지, 30(1), 1-15.
  8. 공우석, 2001, "북한의 자연 생태계의 이해와 보전," 북한 국토 이해와 개발에 관한 국제 학술세미나, 1-34, 대한지리학회.국토연구원.
  9. 공우석, 2002a, "북한 자연생태계의 생물지리적 특성," 환경영향평가, 11(3), 157-172.
  10. 공우석, 2002b, 북한의 산림생태계, 수문출판사.
  11. 공우석, 2006, 북한의 자연생태계, 아산재단연구총서 202, 집문당.
  12. 공우석, 2009, 북한 자연환경과 생태계 공동조사와 학술교류 필요성(2005년 6월),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통일컬럼.
  13. 교수신문, 지리학은 통일 준비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2015년 11월 16일자 806호.
  14. 구성훈, 2010, 남북한 초등 지리교육내용 비교연구-교과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국토연구원, 2011, 접근불능지역 공간정보 통합체계 ISP 수립연구, 국토지리정보원.
  16. 국토지리정보원, 2013, 북한지도집, 국토부.
  17. 권동희, 1994, "한반도 통일 관광교통체계 구상," 관광지리학, 4, 373-390.
  18. 기상청, 2012,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 기상청.
  19. 김경량.이광석.홍성규, 2005, 북한 농업의 개혁-전망과 과제, 한울.
  20. 김기혁, 2013, "북한의 지명관리 정책과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14-30.
  21. 김기혁, 2015, "통일 준비를 위한 인문 지리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2015년 지리학대회, 대한지리학회, 105-106.
  22. 김남신, 2011, "시뮬레이션에 의한 백두산 화산분출 영향범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3), 348-356.
  23. 김남신, 2012, "백두산 동사면 산지 초지분포와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8(4), 364-373.
  24. 김동실, 1999, 인공위성(NOAA/AVHRR) 영상자료에 의한 한반도 식생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김두일.한 욱.정상조, "1998, 위성 영상을 이용한 황해도 농촌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연구," 지리학연구, 32(4), 135-146.
  26. 김석주, 2010, "창춘-지린-두만강 지역 개발 개방선도구와 중국 두만강지역 합작개발 계획," 국토연구, 82, 96-104.
  27. 김석주.이민부.김남신.김애분.주철, 2010, "북한 혜산시 50년간 가뭄과 홍수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3), 216-223.
  28. 김성보, 2000,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북한 농업체제의 형성을 중심으로, 역사비평사.
  29. 김영국, 1977, "신북한 지리지1: 북한지역의 자연지리개관," 北韓, 67, 228-233.
  30. 김영기, 1994,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관광자원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지리학, 4, 417-436.
  31. 김옥란.김용삼.김문식, 2003, "제4기 현세의 조선 서해 해안선 변동에 대한 연구," 지질 및 지리과학, 210, 39-40.
  32. 김완배, 2001, 북한농업연구백서, 서울대학교출판부.
  33. 김은덕, 2009, 1990년 이후 북한 지리교과서 내용 변화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김일성종합대학, 1972, 지리용어사전(자연지리), 교육도서출판사(평양).
  35. 김일성종합대학, 1989, 조선자연지리-지리학부용, 김일성종합대학 출판사.
  36. 김재완, 2003, "남북한 중등지리 교과서의 비교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2), 153-168.
  37. 김정락, 1993, 백두산총서(지질), 과학기술출판사.
  38. 김정민, 1995, 통일을 대비한 국토 공간의 재인식에 관한 연구: 북부지방의 지도 보완 및 남북한 지도 통합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김정수, 2005, 지리과목교수에서 백두산 3대장군의 불멸의 령도업적을 깊이 새겨주려면, 교원선전수첩, 2호.
  40. 김종연.김주용, 2005, "북한 학자들에 의한 북한 지형 연구 현황 -장기 지형 발달과 하천지형, 빙하지형, 산맥체계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2(2), 11-26.
  41. 김진영, 1998, "남.북한 자연지리용어의 비교," 淸州地理, 13, 51-60.
  42. 김창환, 2007a, "DMZ의 공간적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4), 454-460.
  43. 김창환, 2007b, "북한의 GIS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 189-197.
  44. 김창환, 2009a, "DMZ 내 사라진 마을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 96-105.
  45. 김창환, 2009b, "DMZ와 그 인접 지역의 지형경관 조사와 활용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3), 317-327.
  46. 김창환, 2009c, "우리나라의 DMZ 및 접경지역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 3-8.
  47. 김창환, 2011, "강원도 DMZ 지리공원(Geopark)의 지오사이트 선정과 스토리텔링,"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1), 117-134.
  48. 남상준, 1993, "北韓 地理敎育의 定向," 社會科敎育, 26, 150-160.
  49. 농업기반공사, 2001, 북한의 서해안 지역 농업용수 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50.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국토지리정보원.
  51. 대한토목공학회, 2009, 북한의 도시 및 지역개발, 보성각.
  52. 류우익, 1995, 통일국토의 공간구조 개편구상, 서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편 통일국토의 미래상과 국토관리 정책.
  53. 리만근.안해룡, 2005, 북녘 일상의 풍경, 현실문화연구.
  54. 리행호, 2014, 동북아시아 경제협력의 발전과 조선반도, 학보, 사회과학원(북한).
  55. 림현민, 2003, "수자지형모형에 의한 류역수문정보해석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김일성종합대학학보(자연과학), 49(12), 117-119.
  56. 명수정.홍현정.최현일.정주철, 2008, 북한의 자연재해 취약지 추정 및 남북협력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57. 명응범, 2005, 지리교수과정의 최량화와 지능교육, 인민교육, 2호.
  58. 명응범.장정관, 2005, 지역지리교수에서 대비법을 통한 지리적 대상의 특징화 방법, 교원선전수첩, 2호.
  59. 박삼옥.허우긍.박기호.박수진, 2007, 북한 산업개발 및 남북협력방안, 서울대학교 출판부.
  60. 박성열, 2002, 북한 농촌, 농업실태와 인력자원개발 시스템을 통한 북한 농민의 구호방안, 집문당.
  61. 변병설.윤갑식, 2001, 통일시대에 대비한 국토환경관리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62. 부경생, 2001, 북한의 농업-실상과 발전방향, 서울대학교출판부.
  63. 북한 사회과학원, 2002, 고장이름사전(황해북도, 개성시), 과학백과사전출판사(평양).
  64. 사공호상.서기환, 2007,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지역 국토이용실태 조사: 평양시를 사례로," 국토연구, 54, 175-189.
  65. 서재천.강경원.최용규.최병모, 1999, 통일을 대비한 사회과 교육, 교과교육공동연구소, 한국교원대학교.
  66. 석현덕.김영훈.이요한.구자춘.박소희.이찬휘.윤택승, 2014, 북한 황폐산지 복구를 위한 협력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7. 손용택, 1993, "북한의 조선지리 교과서 내용분석," 사회과교육, 26, 168-181.
  68. 신효숙, 2003, 소련군정기 북한의 교육, 교육과학사.
  69. 심혜숙.안승일, 1997, 백두산, 대원사.
  70. 안재섭, 2013, "북한 도시 연구를 위한 도시지리학의 주요 연구방법 검토,"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2), 21-33.
  71. 에쓰 웨 오브루제브.탁중일(역), 1958, 지리야외답사법 (대학용), 교육도서출판사, 평양.
  72. 오인혜, 2015, "북한의 헤테로토피아적 장소성과 점화 효과: 재미교포를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0(4), 407-430.
  73. 오창원, 1991, 우리나라 지리와 풍속, 금성청년출판사.
  74. 웨 웨 알료힌.홍리모(역), 1957, 식물지리, 종합대학용, 교육도서출판사.
  75. 유충걸, 1993, "두만강하류지역의 자연자원과 이용," 북한, 1, 25-148.
  76. 윤 웅, 1995, 북한의 지리여행, 문예산책.
  77. 윤옥경, 2004, "북한 지역에 대한 초중등학교 지리 학습자료 개선 방향,"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2), 327-341.
  78. 이간용, 2000, "북한지역의 인구지리적 고찰," 地理敎育論集, 44, 40-53.
  79. 이강원, 2007, "조선 초 기록 중 '豆滿' 및 '土門'의 개념과 국경인식," 문화역사지리, 19(2), 45-57.
  80. 이광률, 2007, "북한 소설에 나타난 북한의 지리와 국토개발," 統一敎育硏究, 6, 64-75.
  81. 이기석 등, 2001, 북한 개방지역에 관한 연구: 나진.선봉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82. 이기석, 1992, "러시아 극동 경제특구 지역의 입지 특색에 관한 연구," 러시아연구, 2, 77-96.
  83. 이기석.이옥희.최한성, 2002, "북한 지리학 연구 동향에 대하여,"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24.
  84. 이기석.이옥희.최한성.김종범.남 영.안재섭, 1999, "두만강(도문강) 유역 토지자원 종합평가-수출자유지역단지개발을 중심으로," 지리.환경교육, 7(2), 429-476.
  85. 이기석, 2002, "북한 지리학 연구 동향에 대하여: 지질과 지리(1960-2000) 학술지를 중심으로," 지리교육논집, 46, 84-90.
  86. 이기석.이옥희.최한성.안재섭.남 영, 2012, 두만강 하구녹둔도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87. 이민부, 2004a, 북한의 지리학과 지리교육, 통일교육의 내용적 기초-북한의 인문.사회과학 교육을 중심으로, 83-98,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88. 이민부, 2004b, "북한의 지리교육," 통일교육연구, 3, 119-141.
  89. 이민부, 2006, 한반도 지정학과 한반도 안정을 위한 한중 협력, 북한연구와 통일교육을 위한 한중 협력방안,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90. 이민부, 2007a, "북한 동.서 해안의 지형과 해안선 분류," 統一敎育硏究, 6, 55-63.
  91. 이민부, 2007b, "한국과 세계의 운하 사례 연구: 지리적 분석," '경부운하 대해부'쟁점별 전략 토론회, 생태지평연구소, 5-49.
  92. 이민부, 2010, "위성영상을 이용한 추가령열곡 DMZ 지역의 지형면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7(1), 1-14.
  93. 이민부, 2014, "재난대비 교육을 위한 국토교육 강화 방안 연구," 지리환경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집, 112-116.
  94. 이민부, 2015, "통일시대를 대비한 한국의 지리학 연구," 2015년 지리학대회, 대한지리학회, 107-108.
  95. 이민부.김남신.강철성.신근하.최한성.한 욱, 2003, "북한 회령지역의 농경지 변화에 따른 토양침식 추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3), 373-384.
  96. 이민부.김남신.김석주, 2008a, "북한의 인구와 농업의 변화에 따른 환경문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6), 709-717.
  97. 이민부.김남신.김석주, 2008b, "위성영상 분석에 의한 북한의 경작지 확대에 따른 농경지 및 산림지의 공간적 분포 특성,"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85-388.
  98. 이민부.김남신.김석주, 2008c, "두만강 유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환경변화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5(1), 27-35.
  99. 이민부.김남신.김석주.김항덕, 2008, "임진강유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지표침식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3(3), 263-275.
  100. 이민부.김남신.이광률, 2005, "북한 서해안의 간척과 해안 변화 -평안북도 염주군과 철산군 해안을 사례 지역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2(3), 99-110.
  101. 이민부.김남신.최한성.신근하, 2003a, "GIS와 RS를 이용한 토지피복 및 식생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 -평안북도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8(5), 835-848.
  102. 이민부.김남신.최한성.신근하, 2003b, "DEM과 Landsat 영상을 이용한 북청-단천 지역의 식생분포와 지형요소의 공간적 관계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3), 441-451.
  103. 이민부.김남신.최한성.신근하.강철성.한 욱, 2003, "위성영상 분석에 의한 만포-강계 지역 경지확대에 따른 산림경관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4), 481-492.
  104. 이민부.김남신.한 욱.한주연.최한성.강철성.신근하, 2006, 북한의 환경 변화와 자연 재해, 한울.
  105.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4,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대한지리학회지, 39(6), 833-944.
  106. 이민부.이광률.윤순옥.한주엽, 2001, "추가령 열곡 대광리 단층대의 구조운동과 지형 발달," 지질학회지, 37(2), 257-268.
  107. 이민부.주 철.김남신.김애분.김석주, 2012, "중국 단둥의 56년간 이상기온 변화 및 기상 특징," 기후연구, 7, 17-29.
  108. 이양우, 1993, "북한의 지리교육: 남북한 지리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사회과교육, 26, 129-149.
  109. 이영택, 1991, 2005(개정), 최신 북한 지도, 우진지도문화사.
  110. 이영희, 2008, 북한 개성특급시 역사문화 지명의 유래와 특성, 지명의 지리학,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편, 274-298, 한길사.
  111. 이옥희, 1995, "북한의 국토자원 이용과 개발에 관한 지리 적 연구," 이화지리총서, 6, 69-115.
  112. 이옥희, 2011, 북.중 접경지역, 전환기 북.중 접경지역의 도시네트워크, 푸른길.
  113. 이옥희.이봉희, 1992, 북한의 도시 및 지역개발에 관한 연구, 92연구논문, 통일원.
  114. 이장춘, 1993, 통일시대의 관광전망과 대책, 교통개발연구원.
  115. 이장춘, 1996, "통일시 복지관광정책개발에 관한 연구," 국제경영논집, 15, 1-9.
  116. 이장춘, 1999, 북한관광연구, 북한연구학회 편, 분단반세기 북한 연구사, 234-261, 한울.
  117. 이희연, 2001, 지리학의 응용과 참여, 한국의 지리학과 지리학자, 348-390, 제29차 세계지리학대회 조직위원회 편, 한울.
  118. 임덕순, 1972, "한국 휴전선에 대한 정치지리학적 연구," 지리학, 7(1), 1-11.
  119. 임덕순, 1973, 정치지리학 원론, 일지사.
  120. 장재연, 2005, 북한의 환경, 아주남북한보건의료연구소.
  121. 전성우.변병설.이병준, 2003, DMZ 일원의 환경보전 기본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22. 전용철.김진석, 2002, 개성의 옛 자취를 더듬어, 문학예술출판사(평양).
  123. 전 웅, 1999, 지정학과 해양세력이론, 한국해양전략연구소.
  124. 조한범.곽진오.김 면, 2006, 북한체제 형성과 발전과정 구술자료: 독일.일본, 통일연구원 편, 선인.
  125. 주 철, 2012, 도문강 하류 하안사구 지형경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6. 진종헌, 2005, "금강산 관광의 경험과 담론분석:'관광객 시선'과 자연의 사회적 구성," 문화역사지리, 17(1), 31-46.
  127. 차승주, 2003, 남북한 지리교과서 단원내용 비교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8. 천현후, 2009, 남북한 중등학교 한국지리 용어 차이와 통합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9. 최 희, 2015, "제국주의와 냉전의 이데올로기에 투영된 남북한 지리교과서 속의 프랑스,"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150-157.
  130. 최석주, 2003, "북한의 지명 연구-북한지리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7, 235-251.
  131. 최석진.남상준.류재명.손용택.이동엽, 2000, "북한 고등중학교 지리 교과서 분석 연구," 社會科敎育, 33, 283-308.
  132. 최안기, 2004, 남북한 중등학교 지리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비교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3. 최한성, 2004, "북한의 환경변화," 지리과교육, 7, 63-76.
  134. 콜린 플린트.한국지정학연구회(역), 2007, 지정학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판 길.
  135. 크리스 마커.김무경(역), 2008, 북녘 사람들, 눈빛.
  136. 통일원, 1993, 북한지지요람. 통일원.
  137. 통일원, 1994, 북한의 자연지리와 사적. 통일원.
  138. 평화문제연구소.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3, 조선향토대백과(Encyclopedia of North Korean Geography and Culture).
  139. 한국관광공사, 2004, 북한 관광자원.
  140. 한국수자원공사, 1994, 북측 수자원 현황 및 개발 동향.
  141. 한균형, 1984, "人工衛星 寫眞을 이용한 北韓 쌀 生産量推定," 地理學論叢, 14, 311-320.
  142. 한균형, 2000, 북부지방의 핵심지역 평양과 남포, 한국지리, 370-382, 제29차 세계지리학대회 조직위원회편, 교학사.
  143. 홍면기, 2006, 영토적 상상력과 통일의 지정학, 삼성경제연구소.
  144. 홍순익, 1989, 조선자연지리: 지리학부용, 김일성 종합대학출판사.
  145. 황희연, 1999, "통일대비 통합국토정비 정책방향에 대한 일고," 한국도시지리학회, 2(2), 95-105.
  146. Baklanov, P.Y., Lee, K.S., Ermoshin, V.V., Ganzei, S.S., Lee, O.H., Choe, H.S., and Ahn, J.S., 2004, Issu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Lower Tumen River, Southeast Primorskii Krai of Russian Federation,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2), 229-240.
  147. Dormels, R., 2014, North Korea's Cities, Jimoondang.
  148. Kim, H.E., 1974, Rare look at North Korea, National Geographic, 146(2), National Geographic Society.
  149.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007, The National Atlas of Korea, National Geographical Information Institute.
  150.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009, The National Atlas of Korea, National Geographical Information Institut.
  151. Lee, Seung-Ook., 2014a, The Production of Territory in North Korea: 'Security First, Economy Next', Geopolitics, 19, 206-226. https://doi.org/10.1080/14650045.2013.847432
  152. Lee, Seung-Ook., 2014b, China's new territrorial strateges towards North Korea: security, development, and inter-scalar politics, Eurasian Geography and Economics, 55(2), 175-200. https://doi.org/10.1080/15387216.2014.955868
  153. Lee, Seung-Ook., 2015, A Geo-Economic Object or an Object of Geo-Political Absorption? Competing Visions of North Korea in South Korean politics,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1-25.
  154. Li, Tie-Li., Jiang, H. and Gao, F., 2002, Ecinomy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Dandong, China and D.P.R. Korea,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7(5), 551-558.
  155. Yoon, Seung-Hyun. and Lee, Seung-Ook., 2013, From old comrades to new partnerships: dynamic development of econom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The Geopolitical Journal, 179(1), 19-31.
  156. Yu, W.I., 1993, The Northeast Asian Rim: A Geopolitical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8(4), 312-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