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utoring Strategy for On-line Programming Learning Based on Affective Learning Style of the Informatics Gifted

정보영재의 정의적 학습양식에 기반한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 튜터링 전략의 개발 및 적용

  • 김지선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 김영식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6.10.30
  • Accepted : 2016.11.21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In this study, learning preferences of the informatics gifted participating in on-line programming practice has been investigated and the tutoring strategy based on learning styles was developed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On-line programming learning is the environment in which learning is done through interaction with a tutor. For determination of the students' learning styles, Grasha-Reichmann's learning style was utilized. Key elements, learning activity and feedback, of tutoring strategy were derived based on learning style and developed on-line programming learning tutoring strateg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six-class period of learning C-language of 17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learning styles was applied for 12 weeks. As a result, the experiment group applied with a tutoring strategy based on the learning styl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erms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본 연구에서는 K대학교 영재교육센터의 사이버 정보영재 과정에 참여한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학습선호도, 즉 학습양식을 기반으로 한 튜터링 전략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이 튜터와의 교류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학습 환경임을 고려하여, 정의적 학습양식인 Grasha-Reichmann의 학습양식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학습양식을 기반으로 한 튜터링 전략 요소로 온라인 학습활동과 피드백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 학습단계별 튜터링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에 대한 효과성 검증을 위해, 중등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12주에 걸쳐 6차시 총 20시간 동안 C언어 프로그래밍 학습을 실시하였다. 효과성 분석 결과, 학습양식을 기반의 튜터링 전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기존의 일반적인 튜터링 전략을 적용한 통제집단보다 성취도와 튜터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발생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재호, 홍창의(2009). 사이버영재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19(1), 116-137.
  2. Hughes, G.(2007). Using blended learning to increase learner support and improve retention.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12(3), 349-363. https://doi.org/10.1080/13562510701278690
  3. Simpson, O.(2004). The impact on retention of interventions to support distance learning students. Open Learning, 19(1), 79-95. https://doi.org/10.1080/0268051042000177863
  4. Testone, S.(1999). On-line courses: a comparison of two vastly different experiences. Research and Teaching in Development Education, 16(1), 93-97.
  5. Lentell, H.(2003). The importance of the tutor in open and distance learning In A. Tait & R. Mill(Eds.), Rethinking learner support in distance education: Change and continuity in an international context(pp.64-76). New York: Routledge Falmer.
  6. 김지선, 김영식(2015).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학습자 특성 및 학습양식과 성취도간의 관계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3). 59-68.
  7. 임창재(1994). 학습양식을 형성하는 가정 환경 변인의 과정 변인 탐색.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Woolfolk, A. E.(1995). Educational Psychology. Boston: Allyn & Bacon.
  9. 김은정(1999). 학습양식의 유형 및 구성 요소와 교육과정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명량(2009).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학습스타일과 보상구조가 학습자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용, 서정희 외(2007). 학습양식에 따른 초등 정보영재와 일반아의 판별기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0(2). 9-16.
  12. 황의숙, 임소혜, 임소정. (2006). 영역별 영재와 일반 아동의 사고양식와 학습양식과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14(1). 261-288.
  13. CSALT.(2001). Effective Networked in Higher Education notes and guideline published by the Centre for Students in Advanced Learning Technologies, University of Lancaster.
  14. Freeman, R.(1997). Managing open systems. London: Kogan Page.
  15. Moore, M. & Kearsley, G.(1996). Distance Education. A systems View Was worth Publishing Company.
  16. 조은순(2002). 최상의 학습성과를 위한 e-러닝의 활용. 서울:한국능률협회.
  17. 김지연(2003). e-Learning 환경에서 교수-학습지원체제로서 튜터의 역할 및 역량에 관한 탐색.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3), 459-467.
  18. 강의철, 신재한(2008).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튜터 역할의 측정도구 개발. 교육공학연구, 24(2), 207-232.
  19. Grasha, A. F.(1996). Teaching with style: A practical guide to enhancing learning by understanding teaching and learning style. Pittsburgh: Alliance Publishers.
  20. 차순미(2011).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태명화(1998). 초등학생 아동의 학습양식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재호, 홍창의(2009). 사이버영재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19(1), 116-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