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pp Programing Education Using m-Bizmaker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m-Bizmaker를 활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한순재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김성식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16.10.26
  • Accepted : 2016.11.28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pp programming education pla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app programming education using m-bizmaker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urrentl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preparing to conduct SW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Developing smartphone apps that are familiar to students can be seen as a very effective tool of SW educational measures. In general, app development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specialized training on how to use the app programming language. So, many students think the app programming is difficult areas before creating apps because tired of learning how to an app programming language. As a result of applying app programming education using m-Bizmaker, which is one of the app authoring tools, to the class, it is desirable as an app programming education plan. And according to survey results, it has been proved that the app programming education plan using m-Bizmaker is effective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본 연구는 m-Bizmaker를 활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이 특성화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봄으로써 앱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다. 현재 정부에서는 SW 교육을 초 중등학교에서 실시하고자 준비하고 있다. SW 교육의 방안 중 학생들에게 친숙한 스마트폰 앱 개발은 매우 효과적인 도구로 볼 수 있다. 보통 앱 개발은 해당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법의 전문 교육을 받아야 가능하다. 이렇다 보니 앱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 방법에 대한 학습으로 이 미 많은 학생들이 앱을 만들어보기도 전에 지쳐 앱 프로그래밍을 어려운 분야로 생각할 수 있다. 앱 저작도구의 하나인 m-Bizmaker를 활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 내용을 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앱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으로 바람직하며 설문조사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에 유의미함이 입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미래부 (2015).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 http://www.moe.go.kr
  2.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3. KOREA SW, http://koreasw.org
  4. 김병호 (2013). 안드로이드 앱 인벤터를 활용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2.
  5. 이영준.임웅.이은경(2010).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정보교육 프로그램.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3(1), 2.
  6.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2015). 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7. 김지환 (2015). Codeless 비주얼프로그래밍 환경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라대학교.
  8. 오소희.김응진.김성식 (2016). 스토리라인2를 활용한 중학교 정보 교과의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 No.2
  9. m-Bizmaker. 원더풀소프트. http://www.m-bizmaker.com
  10. 구민정.한경돈.노동호 (2013). 모바일 앱을 이용한 장애학생의 현장실습 관리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2호. 419-424
  11. 장정욱.인치호 (2012). 군 교육의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M-러닝 콘텐츠 개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6
  12. 양기철 (2015). PUSH 기술 기반 모바일 광고 모델 및 고객관리 앱 개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3호. 193-199 https://doi.org/10.14400/JDC.2015.13.3.193
  13. 김은수.박준석 (2012). 앱 저작도구를 이용한 교육용 앱개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0 No.5. 1-6 https://doi.org/10.14400/JDPM.2012.10.5.001
  14. 장영현.박대우.전수경.백재은.변혜진.유완선 (2011). 저작도구를 활용한 비전공자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효율성에 대한 실험적 고찰.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2). 123-126
  15. 정은영 (2008). Squeak Etoys 기반 정보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