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Listening Competence on the Teacher-Parent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영유아교사의 듣기능력이 교사-부모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9.21
  • Accepted : 2016.02.04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listening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teacher-parent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listening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ee hundred and twenty two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escriptiv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istening compet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eacher-parent communication difficulties.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listening competence, comprehending and interpreting, and responding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difficulties. Third, listening compet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listening competence, responding, comprehending and interpreting, analyzing and evaluating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듣기능력이 교사-부모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32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듣기능력이 교사-부모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해 낮은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듣기능력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듣기능력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듣기능력의 하위영역 중 반응, 이해와 해석, 분석과 평가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듣기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해 37%의 높은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유아교사의 듣기능력은 부모-교사 의사소통의 어려움 보다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미성,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27-296.
  2. 김사녀, 부성숙 (2013). 유아교사의 의소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학회지, 22(4), 511-524.
  3. 김신영 (1998).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한 문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은순 (2011). 영아-교사 상호작용 교사교육이 교사효능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 및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현정 (2000). 공립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현장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노은숙, 부성숙 (2012).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소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3(4), 113-135.
  7. 박은혜 (2010).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8. 박찬옥, 구수연, 이옥임 (2010).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이론과 실제. 파주: 정민사.
  9. 박향아, 제경숙 (2003). 유아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한․일 비교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2(3), 67-80.
  10. 손환희 (2009).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손환희, 정계숙 (2011).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213-232.
  12. 안선희 (2013). 교사-유아관계의 질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의 기질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81-299.
  13. 오연경 (2007). 교사의 유머 상호작용과 전통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위수정 (2001). 유치원에서 어머니-교사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영애, 부성숙 (2014). 보육교사의 의소소통능력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6), 466-476.
  16. 이윤경, 김여경 (2004). 교사-아동 상호작용 유형과 영․유아교육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4(4), 55-73.
  17. 이정숙 (2003).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현숙, 김종경 (2010). 병원 간호사의 의소소통능력, 의사소통 유형, 조직몰입간의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16(4), 488-496.
  19. 이현호 (1997). 영아-교사 간 애착 안정성에 따른 사회적 놀이 참여 행동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효영,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인간 의사소통 능력이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4), 41-57.
  21. 임우영, 안선희 (2011).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323-350.
  22. 정계숙 (2011). 유아교사의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지각 관련 변인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3), 143-164.
  23. 최미숙 (1992). 유아 놀이 행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최미애 (2000). 유치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최혜영, 이은해 (2005).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5(5), 319-342.
  2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2009년도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평가 체제 구축.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7. 허경호 (2003).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47(6), 380-408.
  28. Algyris, C. (1995). Exploration in interpersonal competence. Journal of Applied Behavior Science, 1(3), 58-83.
  29. Basaran, K. (2002. October 11). Listening: An importan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 for leadership. Retrieved September 4, 2014 from http://herkules.oulu.fi/isbn9514268539/html/b2364.html
  30. Bolton, R. (1986). People skills: How to assert yourself, listen to the others and resolve conflicts. NewYork: Prentice-Hall, Inc.
  31. Brownell, J. (1989). Listening questionnaire. In C. G. Coakley, & A. D. Wolvin (eds.), Experiential listening: Tools for teachers and trainers (pp. 179-195). New Orleans: Spectra Inc.
  32. Burton, J. & Burton, L. (1997). Interpersonal skills for travel and tourism. Essex: Addison Wesley Longman Ltd.
  33. Copple, C., & Bredkamp, S. (2009).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Early Young Children.
  34. Fritz, S., Brown, F. W., Lunde, J. P., & Banset, E. A. (1999). Interpersonal skill for readership. NJ: Printice Hall.
  35.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88, April). Day-care quality andmaternal expectations: Conjoint relationship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36. Leflot, G., Onghena, P., & Colpin, H. (2010). Teacher-child interactions: Relations with children's self-concept in second grade.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9(4), 385-405. https://doi.org/10.1002/icd.672
  37. Lo, Y., & Macaro, E. (2012). The medium of instruction and classroom interaction: Evidence from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15(1), 29-52. https://doi.org/10.1080/13670050.2011.588307
  38. Lobman, C. (2006). Improvisation: An analytic tool for examining teacher child interaction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4), 455-470. https://doi.org/10.1016/j.ecresq.2006.09.004
  39. McCarteny, K. (1984). Effect of quality of day care environment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2), 244-260. https://doi.org/10.1037/0012-1649.20.2.244
  40. Osborn, M., & Osborn, S. (1994). Public speaking. Boston: Houghton Mifflin.
  41. Owen, M. T., Ware, A. M., & Barfoot, B. (2000). Caregiver-mother partnership behavior and the quality of caregiver-child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3), 413-428.
  42. Rudasill, K. M. (2011). Child temperament,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from first to third grad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6(2), 147-156. https://doi.org/10.1016/j.ecresq.2010.07.002
  43. Scarr, S. (1998). American child care today. American Psychologist, 53(2), 95-108. https://doi.org/10.1037/0003-066X.53.2.95
  44. Spivak, A. L., & Howes, C. (2011). Social and relational factors in early education and prosocial actions of children of diverse ethnocultural communities. Merrill-Palmer Quarterly, 57(1), 1-24.
  45. Turiel, E. (1983). The development of social knowledge: Morality and conven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Wittmer, D. S., & Petersen, S. H. (2011).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responsive program planning: A relationship-based approach, 영아발달과 반응적 교육: 관계중심접근법(이승연, 김은영, 강재희, 문혜련, 이성희 공역). 서울: 학지사(원판 2006).

Cited by

  1.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vol.15, pp.3, 2016,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