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랭지 농업지역의 경지면적 산출을 위한 지상라이다 데이터와 지적성과의 실험적 비교 분석

Experimental Comparative Analysis of Terrestrial Lidar Data and Cadastral Data for the Calculation of the Slope Area of Highland Agriculture Region

  • Lee, Ho-Hyun (Research Institute, Shinhan Aerial Survey CO.,LTD) ;
  • Lee, Jung-Il (Research Institute, Shinhan Aerial Survey CO.,LTD) ;
  • Oh, Min-Kyun (Research Institute, Shinhan Aerial Survey CO.,LTD) ;
  • Lee, Kyung-Do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투고 : 2016.09.28
  • 심사 : 2016.12.07
  • 발행 : 2016.12.10

초록

농산물의 가격은 해마다 변화가 있으며, 가격변화는 수급불균형이 주요한 원인이다. 배추 생산량 예측모델에서 주로 사용되는 자료는 경사 면적 산출이 불가능한 지적성과를 사용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고랭지 등의 경사지에서 재배되고 있는 밭작물의 수급 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져 가격 폭등과 폭락이 반복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고랭지 등 경사지를 대상으로 2차원 자료인 지적 성과와 3차원 자료인 라이다데이터를 분석하여 동일지역에서의 데이터 상호간 경작 면적 차이를 비교해 보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경사도 증가에 따른 면적의 변화율을 계량적으로 분석해 낼 수 있는 회귀 모델을 제시하여 지적도와 같은 2차원 평면성과에 의한 경사지 면적 산출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he price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changed from year to year, the m ajor c ause o f price fluctuation is the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Materials which are mainly used in korean cabbage production volume is the forecast model, using the cadastral result, slope calculation is impossible to achieved. For this reason, this implies the drastic decrease of prices and the prediction of supply and demand of field crops that is cultivated in a highland slope area, this situation is being repeated. Therefore, the target area of this research is the slopes of high land, by using 2D and 3D Lidar data for the analysis of the cultivated area.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ame area to compare the data differences. The rate of change in the area of slope is quantitatively increasing presented by the regression model. An alternative methodology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alculated slope area using 2D is through cadastral map.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준묵, 윤희천, 민관식, 이원영. 2007. 수치지형도와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지형경사도 비교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5(4):3-9. Kang JM, Yoon HC, Min KS, Lee WY. 2007. Comparative Analysis of Terrain Slope Using Digital Map, LiDAR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5(4):3-9.
  2. 김필준. 2010. 지상라이다장비를 이용한 실제사면지형에 대한 변위 모니터링.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Kim PJ. 2010. Displacement Monitoring for the Actual Slope Terrain Using the Terrestrial LiDAR [dissertation].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3. 성상민, 이재원. 2016. 무인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농경지 필지 경계설정 정확도. 한국측량학회지. 34(1):53-62. Sung SM, Lee JW. 2016. Quality Verification and Utilization of Ultra-Light UAV Imagery in Parcel Boundary Deline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4(1):53-62. https://doi.org/10.7848/KSGPC.2016.34.1.53
  4. 이돈선, 홍성언. 2012. 3차원 지적 구축을 위한 지상레이저 측량의 정확도 분석. 한국지적학회지. 28(1):75-89. Lee DS, Hong SY. 2012. An Analysis on the Accuracy of Terrestrial Laser Surveying for Building 3D Cadast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28(1):75-89.
  5. 최병길, 나영우, 이경섭, 이정일. 2014. 3차원지적 적용을 위한 항공라이다의 수직 정확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2(2):33-40. Choi BG, Na YW, Lee KS, Lee JI. 2014.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irborne Lidar Height Accuracy for Application of 3D Cadastr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2(2):33-40.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2.033
  6. 최현, 홍순현. 2007.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치표고모형 생성과 활용방안. 한국콘텐츠학회지. 7(3):168-175. Choi H, Hong SH. 2007. Utilization Methods and Generation DEMs by Using Aerial Photographs.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7(3):168-175.
  7. eminwon. 2016. Land-book [Internet]. [http://www.eminwon.net]. Last accessed 8 September 2016.
  8. (NSDI) Korea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rtal. 2016. Cadastral Data [Internet]. [http://nsdi.go.kr]. Last accessed 8 September 2016.
  9. (LURIS) Land Use Regulation Information System. 2016. Cadastral Results [Internet]. [http://luris.molit.go.kr]. Last accessed 8 September 2016.
  10. Naver. 2016. Naver Map [Internet]. [http://map.naver.com/]. Last accessed 8 September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