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거지내 상업화 발생영역에서 군집형성현상과 영향요인 연구 - 가로수길을 대상으로 -

Commercial Cluster Characteristics in Residential District Focusing on Garosu Street

  • Hong, Ha-Yeon (Dept. of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 Koo, Ja-Hoon (Dept. of Urban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투고 : 2016.08.31
  • 심사 : 2016.12.07
  • 발행 : 2016.12.10

초록

본 연구는 주거지 내 상업화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가로수길을 대상으로 제인제이콥스의 활성화 가로 요인을 적용하여 활성화 요인들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동질성을 갖는 특성들끼리 군집을 이루고 있는 유형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가로수길은 의류 및 잡화 등 패션가로의 주된 장소성 기능이 집중되어 특색있는 가로를 형성하고 있었고, 주변 식음용도의 상점들이 그 기능을 받쳐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건축면적 외 공지의 활용여부를 보면, 메인가로는 쇼윈도 진열 및 상품의 적재가 이루어지고 내부의 음식점 및 카페는 테라스형 좌석 조성, 그리고 간선도로변은 보행공간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간선가로와 메인가로는 물판 위주 및 통과공간으로서의 기능이 강화되고 휴식을 취하거나 체류할 수 있는 공간은 내부 블록에서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가로수길 내에서 건축물의 신축과 공실이 이어지는 소모적인 현상은 도심공동화와 가로가 가지는 자체의 정체성을 상실하는 주거환경의 부정적인 효과로 이어질 수 있어서 주거민과 상인이 협력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sis spatial correlation applying commercial activating factor and categories clusters among have homogeneity in garosu street which are rising commercial issue in residential district. Based on this research we can draw several implications. Firstly, Garosu street are forming unique space around fassion feature like clothes and food and Beverage stores are supporting main functions. secondly, in terms of utilization of semi-public space in individual buildings, main Street are using display goods and put product.Also restaurants and cafes are using public space as terrace seats. These results mean principal road emphasizes displaying and passing but inner road emphasizes taking a break and staying. Third, repetitive action between high rising vacancy and new building cause negative effects city decline and lossing identity. So residents and merchants should cooperate and make communities for sustainable district.

키워드

참고문헌

  1. 권남균, 정소영, 김신원. 2014. 신사동 가로수길 건축물 파사드의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4):92-106. Kwon NK, Jung SY, Kim SW. 2014. Visual Preference Analysis According to Types of Commercial Facade Composition. Garosu Street in Sinsa Village,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4):92-106.
  2. 김민정. 2016. 서울 경리단길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에서 물리적 환경변화에 관한 연구 : 형태변화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 25-40. Kim MJ. 2016. The Physical Changes in the Gentrification Phenomenon of Kyunglidan-ro, Seoul : Focused on Form Changes[Thesis]. University of Seoul. p. 25-40.
  3. 김신성. 2013. 문화소비공간의 확산에 따른 저층주거지의 변화 특성연구 : 연남동 일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p. 58-62. Kim SS. 2013. A study on the Changes of Low-rise Residential Neighborhood with the Spread of Consumption-Biased Cultural Space : Focused on the Yeonnam-dong Area[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 58-62.
  4. 김아람. 2014. 서울 도산공원 주변 주거지의 상업화와 건축물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p. 36-42. Kim AR. 2014. A Study on the Change of Buildings and Commercialization of Residential Area at Donsan Park in Seoul[Thesis]. University of Seoul. p. 36-42.
  5. 김어진. 2015. 가로특성 및 비주거용도 분포에 따른 토지이용변화 특성 연구 : 북촌 한옥마을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p. 89-96. Kim UJ. 201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 Use Changes according to The Street Characteristic Types and Non-Residential Use Distribution : Focused on the Bukchon Hanok Village District Unit Plan Area[Thesis]. Hanyang University. p. 89-96.
  6. 김연진. 2016. 문화예술분야 젠트리피케이션 대응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31-40. Kim YJ. 2016. A Study on Issues and Policy Directions for Art-led Gentrification.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p. 31-40.
  7. 김예지. 2013. 서울 서교동 주거지의 상업화와 건축물 변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 18-22. Kim YJ. 2013. A study on the Changes of Buildings and Commercialization of Residential Areas at Seogyo-dong in Seoul[Thesis]. University of Seoul. p. 18-22.
  8. 김인자. 2012. 가로변 건축물의 전면 공지 이용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상업가로변 4개 지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Kim IG. 2012. A Study on the Use of Front Open Spaces of Roadside Buildings[Thesis]. Hongik University.
  9. 박현정. 2012. 인사동 정체성 형성 요소로서 용도특성과 변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 24-35. Park HJ. 201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Change of the Use for Identity in Insa-Dong Area[Thesis]. University of Seoul. p. 24-35.
  10. 변필성. 2007. 공간 계량 경제 모델링 : 지리학의 제 1법칙과 공간 회귀 모델. 국토연구 304:111-119. Byun PS. 2007. Spatial measuring Economic Modelling planning and Policy.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304:111-119.
  11. 서한림. 2013. 주거지 가로환경에서의 보행경로 분포와 선택적 보행행태 특성.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p. 26-30. Seo HL. 2013. Walking Path Distributions and Characteristics of Optional Pedestrian Activities in Neighborhood Street Environment[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 26-30.
  12. 왕경진. 2011. 압구정 로데오 거리 활성화를 위한 복합상업시설 계획안.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p. 23-33. Wang KJ. 2011. Proposal of Commercial Facility Complex to Invigorate the Street of RODEO [Thesis]. Hanyang university. p. 23-33.
  13. 이경동. 2008. 청계천 복원에 따른 장소성의 변화와 인근 가로환경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p. 25-42. Lee KD. 2008. A Study on the Variation of Placeness and Characteristics of Street Environment in Cheonggyecheon Restoralion[Thesis]. Hongik University. p. 25-42.
  14. 이명주. 2013. 신사동 가로수길 블록의 상업화에 따른 건축물 변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 25-42. Lee MJ. 2013. A Study on the Changes of Buildings and Commercialization of Garosu-gil Block at Sinsa-dong in Seoul[Thesis]. University of Seoul. p. 25-42.
  15. 이민정. 2015. 1980년대 이후 성북동 주거지역 건축물의 용도변화 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p. 42-45. Lee MJ. 2015. Analyzing Changes in the Building Use of a Residential Area in Seongbuk-dong: Seoul after 1980[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 42-45.
  16. 이상훈. 2011. 상업가로로서 신사동 가로수길의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 14-26. Lee SH. 2011. A Study on Activation Factors of Garosu-gil in Sinsa-dong as a Commercial Street[Thesis]. University of Seoul. p. 14-26.
  17. 이세연. 2015. 강남슈퍼블록 내 주거지의 상업.업무 용도침투에 따른 전이영역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p. 34-52. Lee SY. 2015. A Study on Transitional Area Characteritics of Residential Area in Gangnam Superblock according to Business-Commercial Purposed Area Penetration[Thesis]. Hanyang University. p. 34-52.
  18. 이인성, 배재흠. 2013. 문화상업가로 활성화 과정에서의 건축물 용도변화 : 서울시 가로수길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5):127-140. Lee IS, Bae JH. 2013. Transition of Building Uses in the Culture-based Vitalization of Commercial Streets-A Case Study of Garosu-gil,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4(5):127-140.
  19. 이한울. 2016. 홍대 문화소비공간의 확장과 경계부 주거지역의 변화특성. 박사학위논문. p. 62-80. Lee HW. 2016. A Pattern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on the Periphery of the Cultural Quarter near Hongik University[Thesis]. Hongik university. p. 62-80.
  20. 이희연. 2011. 지리정보학. 법문사, P. 121-124. Lee HY. 2011.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Bupmoon Press, p. 121-124.
  21. 장윤정, 이승일. 2009. 서울의 창조산업 분포특성과 도시상업활력의 공간회귀분석.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4(6):51-64. Jang YJ, Lee SI. 2009. Spatia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Creative Industry and Commercial Activity Index for Seoul. Th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4(6):51-64.
  22. 조성원, 2009. 청계천 복원에 따른 인접지역 건축물 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 21-25. Cho SW. 2009. The Changes of the Adjacent Buildings along Cheonggyecheon after its Restoration [Thesis]. University of Seoul. p. 21-25.
  23. 조용훈. 1984. 한국도시주택의 변천에 대한 연구 : 60년이후 서울시에 지어진 민간업자주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p. 32-35. Cho YH. 194.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urban dwelling unit in Korea[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 32-35.
  24. 허자연.2015. 서울시 상업가로의 변천에 관한 연구.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p. 58-72 Heo JY. 2015. The Dynamics of Commercial Streets in Seoul[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 58-72.
  25. 홍성용. 2014. 스페이스 마케팅을 적용한 상업 가로 활성화전략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p. 37-44. Hong SY. 2014.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Strategy of a Commercial Street based on the Space Marketing[Thesis]. Hongik University. p. 37-44.
  26. 홍하연. 2013. 수도권기업의 충남이전에 따른 탈수도권 유출인구의 공간적 패턴과 원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p. 43-50. Hong HY. 2013. Analyzing Factors and Relocation of the Capital Region Firms to the Provinces [Thesis]. Hanyang University. p. 43-50.
  27. Anselin.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93-115. https://doi.org/10.1111/j.1538-4632.1995.tb00338.x
  28. Cliff AD, Ord AJ. 1973. Spatial Autocorrection. London: Pion Limited. p. 136-151.
  29. Glass RL. 1964. London: Aspects of Change. MacGibbon and Kee. p. 21-25.
  30. Jane J. 1964.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Greenbe. p. 104-114.
  31. Tobler WR. 1970.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Economic geography. 46:234-240. https://doi.org/10.2307/143141
  32. Zukin S. 2015. New Retail Capital and Neighborhood Change: Boutiques and Gentrification in New York City. City and Community. 8(1):47-64. https://doi.org/10.1111/j.1540-6040.2009.0126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