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봉, 2010, 사천시 서포면 일대의 해안단구 지형 발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현숙, 1992, 삼천포 동안의 해안지형 특성, 부산 지리, 2, 21-37.
- 김병연, 2006, 사천시 신수도 해안단구 지형발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서운, 1973, 한반도 남동단부(방어진-포항) 해안에 발달하는 단구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9(2), 89-121.
- 김종욱.장호완.최정헌.최광희.변종민, 2005, 포항 북부 흥해읍 일대의 해안단구 지형 특성과 단구 퇴적물 연대, 한국지형학회지, 12(1), 103-116.
- 김종욱.장호완.최정헌.최광희.변종민, 2007a, 울진 후정-죽변 일대의 해안단구 퇴적물에 대한 OSL 연대측정, 한국지형학회지, 14(1), 15-27.
- 김종욱.장호완.최정헌.최광희.변종민, 2007b, 경주시 양남-양북 일대의 해안단구 지형 특성과 단구 퇴적물에 대한 OSL 연대측정, 한국지형학회지, 14(3), 1-14.
- 김주용.양동윤.최원학.김정찬, 2006, 한반도 남동부에 분포하는 해안단구의 지형층서 및 연대자료를 이용한 융기율 평가, 제4기학회지, 20(2), 51-57.
- 양재혁, 2008, 해수면변동에 따른 남해안의 지형 발달과정과 해안기후단구, 한국지형학회지, 15(1), 93-110.
- 양재혁, 2011, 거제도 동부해안에서 파악되는 홀로세 고해수준과 지형발달과정, 한국지형학회지, 18(1), 101-112.
- 오건환, 1980a, 한반도 동.서해안 중부에 분포하는 해성단구면의 대비, 부산여대 논문집, 8, 157-172.
- 오건환, 1980b, 한반도의 해성단구와 제4기의 지각변동, 부산여대 논문집, 9, 377-413.
- 오건환, 1981, 한반도 동남부 해안의 지형발달, 부산지리, 153-169.
- 오건환, 1983a, 구정선 고도변화로부터 본 한반도의 제4기 지각변동, 부산대학교 교육논집, 9, 377-415.
- 오건환, 1983b, 부산만일대의 해성단구와 제4기 지각변동,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36, 355-363.
- 윤순옥.곽민.황상일, 2014, 한국 남동해안 울산시 강동 일대 해안단구 지형발달, 한국지형학회지, 21(1), 147-163.
- 윤순옥.박충선.황상일, 2015, 충남 보령시 남포 지역 해안단구 지형발달, 한국지형학회지, 22(1), 75-87.
- 윤순옥.황상일, 2000, 한국 남동해안 해안단구의 지형형성 mechanism, 대한지리학회지, 35(1), 17-38.
- 윤순옥.황상일.반학균, 2003, 한반도 중부 동해안 정동진, 대진지역의 해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8(2), 156-172.
- 윤순옥.황상일.정석교, 2002, 삼척 오십천 중.하류부의 하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7 (3), 222-236.
- 윤순옥.황상일.정혜경, 1999, 한국 남동해안 감포 나정리-대본리의 해안단구 지형발달, 한국지형학회지, 6(2), 99-119.
- 이광률.박충선, 2006, 광양만 일대 해안단구 퇴적물 특성과 지형 형성시기, 대한지리학회지, 41(3), 346-360.
- 이동영, 1987, 한반도 제4기 지질의 층서적 고찰, 제4기학회지, 1, 3-20.
- 최성길, 1993, 한국 동해안에 있어서 최종간빙기의 구정선고도 연구 후기 경신세 하성단구의 지형층서적 대비의 관점에서, 제4기학회지, 7(1), 1-26.
- 최성길, 1996a, 웅천천유역의 하성단구로 부터 추정되는 구정선고도와 그 의의 -한국 서해안의 제4기 환경변화 구명에 있어서 임해산악지역 소하천 하성단구 연구의 중요성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1(3), 613-629.
- 최성길, 1996b, 한국 남동부해안 포항 주변지역 후기갱신세 해성단구의 대비과 편년, 한국지형학회지, 3(1), 29-44.
- 최성길, 2004, 영산강 하류 지역의 하안단구, 제4기학회지, 18(1), 41-46.
- 최성길, 2006, 소안도의 해안단구와 한반도 서남부 해안의 지반운동, 한국지형학회지, 13(3), 1-10.
- 최성길, 2007a, 단구지형으로부터 본 한국 동해안의 후기 갱신세 환경변화와 지구적 규모의 환경 변화 비교, 한국지형학회지, 14(1), 29-39.
- 최성길, 2007b, 한국 동해안 후기 갱신세 단구지형의 발달과정, 한국지형학회지, 14(4), 17-28.
- 최성길.장호.김주용, 2003, 한반도 남동부 해안 고위해성단구의 신분류시안, 한국지형학회지, 10(1), 93-98.
- 최성자, 2003, 진하-일광 지역의 해안 단구, 자원환경지질, 36(3), 233-242.
- 최성자, 2004, 대보-구룡포-감포 지역의 해안단구(II), 자원환경지질, 37(2), 245-253.
- 최정헌.정창식, 2007, 한반도 동남해안 해안단구 퇴적층에 대한 OSL 연대측정, 한국의 지질 논문집, 3, 33-44.
- 황상일.신재열.윤순옥, 2012, 한반도 남동부 경주시 수제리-수렴리의 해안단구와 제4기 환경변화, 한국지형학회지, 19(3), 97-108.
- 황상일.윤순옥, 1996, 한국 동해안 영덕 금곡지역 해안단구의 퇴적물 특성과 지형발달, 한국지형학회지, 3(2), 99-114.
- 황상일.윤순옥.박한산, 2003, 한국 남동해안 경주-울산 경계지역 지경리 일대 해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8(4), 490-504.
- 황상일.정혜경.윤순옥, 2000, 경주 감포지역 해안단구의 지형면 분석을 위한 GIS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2), 48-60.
- 吳建煥, 1977, 韓半島南東部海岸平野の地形發達, 東北地理, 52(2), 689-699.
- 曺華龍, 1978, 韓國浦項周邊海岸平野の地形發達, 東北地理, 30(3), 152-160.
- Kim, J.Y., 1990, Quaternary stratigraphy of the terrace gravel sequences in the Pohang area, Korea, Dissertation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