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남해안

Search Result 954, Processing Time 0.05 seconds

한국 남해안 해황과 멸치어황 변화

  • 박종화;임양재;차형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59-261
    • /
    • 2003
  • 멸치, Engraulis japonica는 우리나라 전 해역에 분포하고 있는 난류성 연안성 어류로서 남해안 기선권현망어업의 어획량이 가장 많다. 멸치는 남해안 외해역의 난수역에서 겨울을 보낸 후 봄철이 되면 남해안 연안역을 중심으로 동해안과 서해안을 따라 회유하는데, 주 분포 해역인 남해안에서 연중 산란과 성숙이 이루어짐으로서 어장이 형성되며 주 어기는 7-9월이다. 또 멸치는 해양환경 변화에 따라 어황 변동이 심한것으로 알려져 있어 어황예측에 어려움이 많다. (중략)

  • PDF

해양관광벨트 조성을 통한 동서간 연계방안 - 남해안 관광유람선 사업을 중심으로 -

  • Lee, Geon-Cheo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99-135
    • /
    • 1999
  • 남해안의 해양관광벨트 조성사업은 양 지역의 세계화와 지방화의 기틀을 동시에 마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남해안의 관광유람선사업은 연안 해양지향적 국토개발정책 비중이 증대되는 과정에서 중앙정부도 남해안국제관광벨트 조성사업계획을 금년말까지 수립할 계획이며, 민선자치시대를 맞아 지역의 자립의식 및 지역간 경쟁분위기가 고조되면서 지역의 비교우위성 자원을 활용한 지역발전전략을 추진하는 분위기가 성숙되는 등, 국가 지역적인 여건과 합치하고 있으며, 그 위에 남해안의 관광유람선사업은 동서협력 차원에서도 유익한 사업으로 기대된다. 실질적인 동서화합은 상호 인 물적 교류를 통해 과실을 함께 얻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때 이루어진다는 측면에서 관광유람선사업은 동서협력의 대표사업이다. 관광유람선이 운항되면 양지역주민들의 상호 방문이나 자치단체간 상호 친선방문 등이 이루어짐으로써 인적 교류가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며, 관광유람선이 운항되면 남해안에 풍부하게 부존되어 있는 수산자원과 특산물 등 물적자원의 교류가 이루어짐으로써 남해안지역의 수산물과 특산물 관련산업 진흥에 기여할 것이며, 관광유람선 운항을 위해서는 사전 준비단계에서부터 운항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부산, 경남, 전남 등 자치단체의 협력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협력체제가 동서협력으로 성숙될 가능성이 높고, 또한 관광유람선의 운항범역이 단계적으로 중국, 일본에까지 확대되면 남해안지역의 세계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 PDF

남해안 관광벨트 활성화를 위한 동.서협력체계 구축방안

  • Eom, Jeong-In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23-37
    • /
    • 1999
  • 미래 학자들은 21세기를 해양혁명(Marine Revolution)의 시대로 예견하고 있으며, 세계의 선진국가들은 해양이 지닌 방대한 자원을 개발하고 해양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해양관광은 전세계적으로 신관광상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수심이 얕은 연안, 섬과 섬사이, 해안 등은 미래의 공간자원으로써, 제2의 국토공간개발지역으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21세기 국토개발구상(안)은 해양을 중심으로 U자형의 국토개발축을 구상하고 있다. 남해안축은 한려해상, 다도해의 역사 문화자원을 이용하여 "남해안국제관광벨트"를 조성하고 정기적으로 서해안 동해안과 연계하는 관광벨트를 조성하여 3면의 해안을 활용하는 관광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현재 추진중에 있는 남해안 관광벨트사업은 동 서화합의 물꼬를 트는 대표적인 사업으로 지역간 화합을 추구하는 새로운 전기를 모색하고 있다. 남해안 관광벨트사업은 산발적 부분적 개발을 지양하고 해양관광벨트 산업관광벨트 환경생태관광벨트로 공간의 다원화 전략을 세계적으로 수립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하고 주민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소득의 극대화가 가능토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남해안을 국내 외 관광객을 대거 유치할 수 있는 국제 해양관광 선도지역으로 개발을 유도하며 영 호남 공동의 상징적 프로젝터로서 21세기 해양관광시대에 대비하고 동 서화합협력체제의 구축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 PDF

Potential and Strategy on Tourism Development of the Southern Costal Area in Korean Peninsular (한국 남해안 관광개발의 잠재력과 전략)

  • Lee, Jeong-Rock;Yoo, Seong-Jong;Ahn, Zo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1 no.3
    • /
    • pp.410-423
    • /
    • 2005
  •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n peninsula maintains unique natural views, social environment and tourism infrastructure. Even though the coastal area has world-class tourism resources and a great potential for development, it was an outsider from the tourism development in Korea. The coast development has recently reemerged because of increased tourism demand in the Northeast Asia, however, increased interest for the outstanding marine tourism resources and the marine cultur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o the coast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southern coastal area will be grown to a marine resort-belt, which will serve as a marine tourism hub in the Northeast. In the long run, it can be developed for leisure residential space with environment-friendly well-being fashion, new growing area that continuously drives the local development and area for a mutual development between Yeongnam and Honam Region. To accomplish this vision, several strategic matters should be resolved. Mall strategic issues are as follows: the loosening related rules and regulations that limit the development, legislation of a special law for tourism promotion, supporting for investment in public service and strategic investment, establishment of a marine tourism route connecting China-Korea-Japan, formulating new planning for Hallyo-Haesang Marine Park, designation of special marine tourism development zone, and invitation of the World Expo 2012.

  • PDF

Establishing Process of National Regional Policy for the Sunbelt Development Initiative of the Southern Coastal Area in Korea (남해안 선벨트 구상의 지역정책화 과정과 특징에 관한 시론적 연구)

  • Lee, Jeong-Roc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8 no.5
    • /
    • pp.651-666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ing process of national regional policy for the sunbelt developmentr initiative of the southern coastal area in Korea.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with some members of the Korea Society of Future Studies began in the early 1990s, and its discussion was continued with the activities by the Committee on Regional Unity of the Grand National Party and Namhaean Forum. The sunbelt development initiative was selected as one of the major commitments of the Grand National Party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of Korea. Since the launching of the Lee Myung-bak government,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made a comprehensive plan for sunbelt development of southern coastal area(CPSD), and this plan was confirmed by central governmental planning in May 2010. CPSD is meaningful in terms of the fir first national regional planning and legal plan in Korea. The target year of CPSD is 2020, and some projects by CPSD started in 2010. However, there are many negative views that CPSD will not be going too well. Therefore, new efforts and roles of geograp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of CPSD are required for the success of CPSD.

  • PDF

가막만에서 양식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의 성장과 생존율

  • 라성주;윤호섭;김양섭;이용한;최상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63-364
    • /
    • 2001
  •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Red shell)는 우리나라 동해안 북부에서 남해안과 서해안의 내만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고막류 가운데 가장 중요한산업종으로서 주로 남해안에서 많이 양식하고 있고, 양성 방법에 따라 장단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양식업자들은 바닥식으로 양성하고 있다. 한편, 남해안은 임해공단, 생활하구 및 자가오염 등으로 수산생물이 매년 대량 폐사되고 있고, 가막만의 대부분의 지역이 펄질(점토성실트)로 구성되어 있어 상부해수가 침투하기가 매우 어렵다. (중략)

  • PDF

Analysis of Tsunami Characteristics of Korea Southern Coast Using a Hypothetical Scenario (가상시나리오에 따른 남해안 지진해일 특성 연구)

  • Bumshick Shin;Dong-Seog Kim;Dong-Hwan Kim;Sang-Yeop Lee;Si-Bum J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6 no.2
    • /
    • pp.80-86
    • /
    • 2024
  • Large-scale earthquakes are occurring globally, especially in the South Asian crust, which is experiencing a state of tension in the aftermath of the 2011 East Japan Earthquake. Uncertainty and fear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further seismic activity in the near future have been on the rise in the region.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has previously studied and analyzed the overflow characteristics of a tsunami and the rate of flood forecasting through tsunami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East Sea of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the Southern Coast tsunamis compared to the East Coast. On the Southern Coast, the tidal difference is between 1~4 m, and the impact of the tides is hard to ign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tid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n the tsunami. Occurrence regions that may cradle tsunamis that affect the southern coast region are the Ryukyu Island and Nankai Trough, which are active seafloor fault zones. The Southern Coast has not experienced direct damage from tsunamis before, but since the possibility is always present,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prepare precautionary measures in the face of a potential event. Therefore, this study numerically simulated a hypothetical tsunami scenario that could impact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In addition, the tidal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that emerge at the shore due to tide and tsunami interactions will be analyzed. This study will be used to prepare for tsunamis that might occur on the southern coast through tsunami hazard and risk analysis.

한국 남해안의 성층에 관한 연구

  • 구도형;김동선;조규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27-128
    • /
    • 2000
  • 한국 남해는 대부분 100m 이천의 대륙붕으로 되어 있고, 쓰시마 난류수, 황해 난류수, 한국 남해안 연안수 및 황해 저층 냉수 등이 분포한다. 이러한 수괴들 사이에는 뚜렷한 전선이 형성되고 있다(조와 박, 1990). 해양에서 성층은 여름철에 태양복사로 인한 부력의 공급과 담수의 유입으로 형성된다.(중략)

  • PDF

해안 하구역의 이용계획 문제점

  • 홍길표;편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1.07a
    • /
    • pp.82-88
    • /
    • 1991
  • 한반도의 지형은 동고서저의 형상이 현저하며, 대하천은 주로 서ㆍ남해안을 통하여 바다로 유입되고, 동해안으로 유입되는 것은 거의 없다. 또, 이와같이 대하천이 많이 유입되는 서ㆍ남해안 조차의 크기가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곳으로 하구수리현상이 매우 복잡한 곳이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