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과 심리적 적응 및 비행문제

Victimization,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 투고 : 2015.11.02
  • 심사 : 2015.11.21
  • 발행 : 2016.01.28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가정과 학교환경에서 경험하는 폭력의 중복피해 실태를 파악하고, 폭력피해 경험유형에 따라 심리적 적응과 비행문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3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청소년 문제행동 저연령화 실태 및 정책과제연구' 자료의 6,174사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청소년의 8.3%가 2가지 이상의 폭력피해에 노출되어 있었고, 이중 2.1%는 3가지 이상의 폭력피해를 중복적으로 경험했다. 또한 한부모가족과 가구경제수준이 낮은 청소년들의 중복피해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들은 폭력피해 경험유형에 따라 심리적 적응과 비행문제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중복피해 청소년들은 우울불안과 스트레스, 비행수준은 가장 높은 반면 자존감 정도는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중복피해 연구와 개입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of poly-victimization and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level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delinquency by victimization types among adolescents. A total 6,174 cases from '2013 Adolescent Deviant Behaviors and Policy Issues' of NYPI was used for the analysis. Main findings are that 8.3% of adolescents exposed to more than two types of victimization and 2.1% of them experienced more than three types of victimiz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delinquency by victimization types.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of adolescent poly-victimiz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백종림, 정익중, "부부폭력목격경험과 학대경험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1호, pp.121-142, 2013.
  2. 신선인,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복지학, 제23권, pp.153-182, 2008.
  3. B. E. Saunders, "Understanding Children Exposed to Violence: Toward an Integration of Overlapping Field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183, pp.356-376, 2003.
  4. C. A. Cuevas, D. Finkelhor, C. Clifford, R. K. Ormord, and H. A. Turner, "Psychological Distress as a Risk Factor for Re-victimization in Children," Child Abuse & Neglect, Vol.34, pp.235-243, 2010. https://doi.org/10.1016/j.chiabu.2009.07.004
  5. D. Finkelhor, R. Ormrod, and H. A. Turner, "Poly-victimization: A Neglected Component in Child Victimization," Child Abuse & Neglect, Vol.31, pp.7-26, 2007. https://doi.org/10.1016/j.chiabu.2006.06.008
  6. D. Finkelhor, R. Ormrod, H. Turner, and M. Holt, "Pathways to Poly-victimization," Child Maltreatment, Vol.14, No.4, pp.316-329, 2009. https://doi.org/10.1177/1077559509347012
  7. K. L. Chan, "Victimization and Poly-victimization among school-aged Chinese Adolescents," Preventive Medicine, Vol.56, pp.207-210, 2013. https://doi.org/10.1016/j.ypmed.2012.12.018
  8. E. Romano, T. Bell, and J. Billett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Multiple Victimization in a Nation-Wide Adolescent Sample," Child Abuse & Neglect, Vol.35, pp.468-479, 2011. https://doi.org/10.1016/j.chiabu.2011.03.005
  9. J. D. Ford, J. D. Elhai, D. F. Connor, and B. C. Frueh, "Poly-victimization and Risk of Postraumatic, Depressive, and Substance Use Disorders and Involvement in Delinquency in a National Sample of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46, pp.545-552, 2010.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9.11.212
  10. M. K. Holt, D. Finkelhor, and G. K. Kantor, "Multiple Victimization Experiences of Urb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sociations with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Academic Performance," Child Abuse & Neglect, Vol.31, pp.503-515, 2007. https://doi.org/10.1016/j.chiabu.2006.12.006
  11. D. G. Perry, E. V. E. Hodges, and S. K. Egan, "Determinants of Chronic Victimization by Peers: A Review and New Model of Family Influence," In J. Juvonen and S. Graham(Eds.), Peer Harassment in School: The Plight of the Vulnerable and Victimized, pp.73-104, Guilford, 2001.
  12. D. Finkelhor, R. Ormord, and H. A. Turner, "Measuring Poly victimization using the JVQ," Child Absue & Neglect, Vol.29, pp.1297-1312, 2005. https://doi.org/10.1016/j.chiabu.2005.06.005
  13. 박은주, 최말옥, "부모의 학대적 양육태도와 청소년비행경험 및 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우울 및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8권, 제4호, pp.219-238, 2014.
  14. 정익중, "아동학대 경험이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소외로 이어지는 발달경로," 아동학회지, 제29권, 제4호, pp.1-17, 2008.
  15. 이인선, 최지현, "청소년의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학교폭력의 중복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25권, 제3호, pp.259-281, 2014.
  16. 윤명숙, 조혜정, "청소년의 폭력경험유형이 우울 및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9권, 제8호, pp.295-329, 2008.
  17. 장희숙, "가정폭력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교정담론, 제4권, 제2호, pp.85-113, 2010.
  18. 이혜지, 이수정, 윤희진,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비행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9권, 제2호, pp.41-56, 2015.
  19. 문병욱, 황혜원, "Agnew의 일반긴장이론을 통한 한국 청소년의 비행 이해," 아동권리연구, 제10권, 제2호, pp.127-150, 2006.
  20. 김재엽, 이근영,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5호, pp.121-149, 2010.
  21. 김현숙, "지속된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2호, pp.121-143, 2013.
  22. 김은경, "체벌낙인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아동권리연구, 제4권, 제1호, pp.121-135, 2000.
  23. 도기봉, 장승옥, "청소년이 지각하는 교사의 체벌행동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27권, 제1호, pp.197-220, 2014.
  24. R. D. Duncan, "Maltreatment by Parents and Pe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Bully Victimiz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Child Maltreatment, Vol.4, No.1, pp.45-55, 1999. https://doi.org/10.1177/1077559599004001005
  25. H. A. Turner, A. Shattuck, D. Finkelhor, and S. Hamby, "Support,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30 pp.1-26, 2015.
  2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문제행동 저연령화 실태 및 정책과제연구, 2013.
  27. D. Landis, K. Gaylord-Harden, S. L. Malinowski, and K. E. Grant, "Urban Adolescent Stress and Hopelessness," Journal of Adolescence, Vol.30, pp.1051-1070, 2007.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07.02.001
  28. 김영미,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력감이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족응집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4권, 제3호, pp.47-73, 2012.
  29. A. Bandura,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1973.
  30. R. Agnew and H. R. White, "An Empirical Test of General Strain Theory," Criminology, Vol.30, No.4, pp.475-499, 1992. https://doi.org/10.1111/j.1745-9125.1992.tb01113.x
  31. C. M. Arata, J. Langhinrichsen-Rohling, D. Browers, and N. O'Brien, "Differential Correlates of Multi-type Maltreatment among Urban Youth," Child Abuse & Neglect, Vol.31, pp.393-415, 2007. https://doi.org/10.1016/j.chiabu.2006.09.006
  32. R. L. Matsueda, "Reflected Appraisals, Parental Labeling, and Delinquency: Specifying a Symbolic Interactionist Theor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27, pp.1577-1611, 1992.
  33. A. N. Elliott, A. A. Alexander, T. W. Pierce, and J. M. Richmond, "Childhood Victimization, Poly-Victimiza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in Women," Child Maltreatment, Vol.14, No.4, pp.330-343, 2009. https://doi.org/10.1177/1077559509332262
  34. 김경미, 염유식, 박연민, "한국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과 심리적 안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36-247,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