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rban Economic Regeneration Strategies of Local Initiative through the Analysis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y Policy Cases

지역전략산업 육성 사례 분석을 통한 지역주도의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추진 방안

  • 류동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주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6.10.06
  • Accepted : 2016.10.30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implications for urban economic regeneration strategies of local initiative by analyzing of promoting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both Seongnam and Goyang in terms of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stitution and specialized service agency. The main results based on the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top priority to formulate the policy direction, such as selecting strategic industries and prepare means for improving it. It should keep reliability and continuity for inducing economic uni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ectiveness and diversity of institutions. The institutions to be formalized by municipal ordinance and rules for making the successful implementing system of policie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strategic industry policy link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 or public organizations for expanding of a diversity of policies. It is necessary to change in viewpoint on the deregulation and tax break for the private sectors as inducements to achieve the regional economy activ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specialized service agency to improve a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institutions and accelerate a network within economic units.

본 연구는 지역 주도의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 추진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성남시와 고양시의 지역전략산업 육성 정책 사례를 지역산업 정책방향, 제도적 기반 구축, 전문 전담 조직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의 추진에 있어 최우선 과제는 전략산업을 선정하고 어떻게 육성할 것인지, 사업성과의 확산을 위한 핵심사업의 추진방향과 공간적 기능적 연계방안에 대한 마련 등 명확한 정책방향을 세우는 일이다. 이를 통해 정책의 신뢰성을 제고하여 경제활동주체들을 유인, 지역산업기반을 강화함으로써 지역 주도의 경제활성화 정책 추진 가능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둘째, 제도의 실효성과 다양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경제기반 강화를 위한 지원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지자체 조례, 규칙 등을 통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고 중앙부처 등과의 연계를 통해 지원정책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것도 필요하다. 민간부문이 공공이 의도하는 정책에 참여토록 유도하기 위한 지자체의 민관협력 방안이 강구될 필요도 있다. 셋째, 정책의 효과성과 기업지원서비스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정책 연구 및 기획, 사업관리, 경제주체 간의 네트워크 촉진 등을 전담하는 조직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4), 한국의 지역전략산업, 폴리테이아.
  2. 국토교통부(2014),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 수립을 위한 연구.
  3. 김석현(2013), "지역산업 정책방향과 과제", 지역균형발전론의 재구성 (강현수 외 공저), 185-214.
  4. 김인환(2012), "고양아쿠아스튜디오의 현황과 가능성", 2012년 한국방송공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5. 김주진 등(2015), "도시경제기반형 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민자 사업의 착안점과 공공의 역할:핵심사업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86: 89-105.
  6. 김현호 등(2014), 지역발전론, 지방행정연수원.
  7. 김형기 등(2007), 대안적 발전모델:신자유주의를 넘어, 한울.
  8. 김혜천(2013),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6:1-22.
  9. 도시재생사업단(2013), 새로운 도시재생의 구상, 한울.
  10. 박인권(2012),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 1-25.
  11. 박정은(2015), "경제기반형 도시재생과 민간부문 활성화 전략", 국토의 미래와 도시의 경쟁력 세미나 발표자료.
  12. 여형범(2013), "내발적 지역발전 정책 방향과 과제", 지역균형발전론의 재구성 (강현수 외 공저), 261-285.
  13. 유재윤 등(2013), 경제기반 강화를 위한 도시재생 방안, 국토연구원.
  14. 유재윤 등(2014), 도시재생에 대한 민간비즈니스 부문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5. 이길환(2014),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현실과 과제", Urban Review, 32: 14-15.
  16. 이왕건(2014), "도시재생 선도지역 유형별 성공과제", Urban Review, 32: 8-9.
  17. 이희연(2011), 경제지리학, 법문사.
  18. 조준혁 등(2015), "고양시 영상콘텐츠산업 육성정책방향과 추진전략", 도시정책연구, 6: 63-75.
  19. 지역발전위원회(2009), 지역발전과 광역경제권전략.
  20. 한승욱(2014),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현실과 과제", Urban Review, 32: 12-13.
  21. Boekholt, P. and B. Thuriaux (1999), Public Policies to facilitate clusters. Background, rationales and policy practices on international perspective, In:OECD(eds).
  22. Christoperson, S. et al. (2010), "Regional resilience: theori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Regions, Economy and Society, 3: 3-10. https://doi.org/10.1093/cjres/rsq004
  23. LDDC (2004), LDDC 1981-1998.
  24. Martin, R. (1998), "Slow convergence? the new endogenous growth theory: theory and regional development", Economic Geography, 74: 201-227. https://doi.org/10.2307/144374
  25. Stimson, R. et al. (2009), Leadership and Institutions in Regional Endogenous Development, Edward Elg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