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conomic Self-Sufficiency Criteria for New Town Planning by Network Characteristics

도시네트워크 특성에 따른 신도시 경제적 자족성 기준 연구

  • 송영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임주호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6.10.14
  • Accepted : 2016.10.30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As the spatial structure of a region is evolving into a decentralized multi-nucli model, networked connection among cities in a region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to strengthen regional competitiveness. This paper focused on the limitation of current new town planning criteria which just suggest a uniform standard for economic self-sufficiency by new-town size, without representing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new town. If a new town is planned as a economic strongpoint within a region, it needs to secure appropriate industrial functions. This study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new towns by network analysis and reviewed the economic self-sufficiency criteria by new town types. Using various network connectedness indices, the 1st and 2nd round new towns in the capital region were analyzed, and land-use distribution of new-towns in other countries were also examined comparatively.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new towns are classified as three types: mono-nucleus, distributed center, and dependent.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planning criteria for self-sufficiency were compared among 6 new town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amendment of "the sustainable new town planning criteria" or the revision of development plans.

공간구조가 다핵분산형으로 전환되면서 도시 간 네트워크적 연계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거점으로서의 신도시 역할, 특히 적절한 산업기능의 확보가 필요하지만 현행 신도시의 경제적 기준은 규모에 따른 일괄적 기준을 제시하고 있어 권역 내 신도시의 위상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신도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신도시 유형을 구분하고 이러한 유형과 규모에 따른 경제적 자족성 계획기준을 검토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국 내외 신도시 산업용지에 대한 사례 분석 및 1, 2기 신도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네트워크 특성은 다양한 지표로 나타나는 바, 본 연구는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지표를 활용하여 신도시의 네트워크적 위상에 따른 유형을 단핵집중형, 분산집중형, 모도시종속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은 유형구분을 바탕으로 신도시 규모별 자족시설용지 확보기준을 재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 및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의 개선 및 개발계획 수립 변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2004), 국토교통부(2010),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
  2. 국토교통부(2009), 수도권 광역도시계획 2020.
  3. 박문서, 김영주, 이현수(2011), "한국의 자족도시 정의와 관련 개발 정책에 대한 분석: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하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7): 161-171.
  4. 서종대(2011), 신도시의 경제적 자족성 확보를 위한 자족용지 배분기준 산출 및 적용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서창규, 이우종(2006), "신도시 자족성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2006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강원도 원주시: 상지대학교.
  6. 이희연, 김홍주(2006), "서울대도시권의 통근 네트워크 구조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1): 91-111.
  7. 장준상, 이창무(2006), "수도권 5개 신도시 자족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1(2), 43-57.
  8. 한국교통연구원(2009), 국가교통DB.
  9. 한국토지주택공사(1990), 수도권 1기 신도시 개발사업 기본계획.
  10. 한국토지주택공사(2009), 2기 신도시 중간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1. Alderson, A. S. and J. Beckfield (2004), "Power and position in the world city system".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9(4): 811-851. https://doi.org/10.1086/378930
  12. Batten, D. F. (1995), "Network Cities: Creative Urban Agglomerations for the 21st Century", Urban Studies, 32(2): 313-327. https://doi.org/10.1080/00420989550013103
  13. Bennett, J. (2005), From New Towns to Growth Areas: Learning from the past,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