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전략산업

Search Result 77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지역산업진흥과 지역기술지도와의 연계

  • Lee, Gyeong-Mi
    •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 /
    • 2005.06a
    • /
    • pp.33-45
    • /
    • 2005
  • 현재 지역산업진흥계획이 수립되기까지 수도권 억제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법령들이 수립${\sim}$제정되어 왔으나, 그 성과는 미흡하였고, 첨단산업과 지역의 발전을 함께 추구한 과학기술 집적지 조성정책도 연구기관과 산업체간의 기술개발에 대한 수급의 불일치, 지역별 특성화와 차별화 미흡, 사업간 연계성 부족 등으로 성과는 미약하였다. 중앙 부처에서 다양한 지역산업 관련 기술개발 지원사업도 전개해 왔으나, 부처별로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정책 상호간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투자 효율성이 저조하여, 산업자원부에서 산업발전법에 근거하여 2002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지역별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지역의 내생적 성장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투입요소 증대에서 지역 산업경쟁력 강화로의 전환,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공동 계획입안 등에서 기존의 정책들과 차이를 보인다. 지역산업정책의 최종목표는 '지역균형발전'이며, 중간목표는 '지역산업의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전략으로 '3개 권역별 전략산업 집중 육성'과 '제도적 기반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전략은 매우 포괄적이어서 정책수단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전략 하에 추진하고자하는 사업들을 검토하고 평가의 목적에 맞게 유형화함으로써 동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쟁력의 강화이며, 그 기본전략으로는 지자체의 역할제고를 바탕으로 한 전략산업 중심의 지역혁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 RIS)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지역 내에서는 각 조직 간의 역할분담이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력과 재원 및 특정분야에 대한 중복투자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각각 소규모여서 규모의 경제효과를 꾀할 수 없고 경제적 효과가 가시화되는 데에는 오랜 시일이 걸리고 있고, 지역의 산업발전을 체계적으로 기획하고 지역내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총괄 추진기구가 없어 효율적인 지역산업육성에 한계가 있었다. 지방정부의 과학기술예산 및 전담조직, 산업경제예산 및 전담 조직의 부족과 미 정착으로 독자적인 지역과학기술정책이나 지역산업정책은 물론이고 지역혁신정책을 수행하기 어려웠으나, 지역의 특성과 잠재력에 맞는 사업을 발굴하여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지역 내 각 프로젝트를 총괄 조정하는 중개자 역할을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역혁신체제의 중심기관으로 중개기관과 협력 프로그램에 의한 플랫폼 구축 및 지역산업발전의 기획${\sim}$조정기구로서, 선진국의 지역발전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 : RDA)인 지역전략산업기획단이 2002년도부터 산업자원부와 9개 시도에 의해 설립되어 지역네트워크의 활성화와 클러스터의 형성 촉진을 하게 되었고 2004년도에는 13개시도로 확대${\sim}$운영되고 있고, 지역특화사업(H/W)과 지역산업기술개발과제(S/W)와 함께 패케지 형태로 지원되며, 주요역할은 크게 지역산업의 정책기획 분야와 평가관리, 지역혁신역량 조사 및 DB구축 등으로 구분된다. 그중에서도 권역별, 지역별, 지역산업진흥사업 육성과 중장기 산업발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역량을 바탕으로 한 지역 Technology Road Map(TRM)작성사업은 전국공통의 1단계 사업으로 실시 ?榮쨉?, 2005년 3월 기준으로 9개 지역(강원, 대전, 충남, 충북, 경북, 울산, 전남, 전북, 제주) 26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23개가 완료된 상황이다. 이를 근거로 한 지역정책과 R&D 과제 및 필요 인프라의 도출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역량이 강화될 것이다.

  • PDF

Effective Anlysis of Regional Industry Development Project;Focus on Chungbuk Province (지역전략산업 변화 및 효과분석;충청북도를 중심으로)

  • Bae, Jeong-Hwan;Lee, Suk-Py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8
    • /
    • pp.188-195
    • /
    • 2008
  • This research analysis Regional industry development project of central government. Fortunately, South Korea government changed from efficiency-centered economic policy to balanced territorial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ly to present how to development of regional industry, and secondly to analysis of effectiveness from regional industry development project.

A Study on a Decision Making Model of Prioritization of Supporting Policies for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in Chung-nam (충남지역 전략산업 지원사업의 투자우선순위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 Lee, Bo-Hyung;Kyung, Jong-Soo;Suh, Sang-Hy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9
    • /
    • pp.3196-3203
    • /
    • 2010
  • The regional strategic industry support has been increasingly developed due to the change of environmental and political conditions for the last 10 years. As the paradigm chang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sponsored system to regional government-sponsored system, the policy has been diversified into various support systems such as regional strategic industry, specialized industry, supporting technology, supporting business, etc. It is crucial to establish the overall development plans and project strategies for the regional industry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which will generate an integrated strategic frame to adjust overlapped supporting policies and offer a consumer-oriented service. Not only does the study focus on performance-based outcome regarding to a regional business (supporting policy) portfolio, but it also analyzes and proves an empirical decision-making model to draw out the priority and relative importance according to the regional strategic industry and support cases by analyzing the case of Chungnam area's strategic industry support in 2009. Following a priority list of 20 support cases selected from this research model b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result shows that the diverse support plans are need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rategic industries or the size of enterprise due to the fact that priority of project type varies upon the characteristics of strategic industry. Thus, the support project needs to generate various strategic industries and develop differentiated support policy to consolidate competitiveness of regional enterprises and revitalize the regional economy.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on Regional Economic Growth -The Case of ChungNam Province- (지역전략산업의 지역경제성장 효과분석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 Kim, Dae-Jung;Kim, Tae-Y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4
    • /
    • pp.2085-2092
    • /
    • 2014
  • This study aims at finding the effects, problems and implication of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led by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in the Chungnam Province. It identifies the contribution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i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even though there is somewhat difference between the sub-sectors of the industries. It also finds out some problems with the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In order to improve the regional industrial policy, it need to apply portfolio type of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strategy on according to the typology of the industrial growth stages.

Promotion Strategies for Regional Industries in Relation to a New Innovation City in Korea : A Case Study on the Gyeongbuk Innovation City (혁신도시와 연계한 지역산업 육성전략 : 경북 혁신도시를 사례로)

  • Yoon, Chil-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5
    • /
    • pp.537-553
    • /
    • 2009
  • This study aims to present promotion strategies for regional industries by exploring the ways to build industrial cluster focusing on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of Gyeongsanbuk-do(province) which are related to innovation city, by taking Gyeongbuk innovation city as an example. This study presented the methods for linking with innovation cities that focus on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along with the analysis on the linkage between regional industries and public organizations relocated to local regions. As to the methods for the linkage, methods to build cluster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such as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new material parts, biological oriental medicine, cultural tourism, eco-friendly energy, etc, which are strategic and leading industries of Gyeongsanbuk-do(province), were presented. It was inferred that the industries which have achieved fast growth such as IT and BT industries, required mutually interconnected collaboration through geographical proximity among related subjects, while sectors with mature technologies, such as automative parts, machinery, steel industries, etc, were found to require more extensive infrastructures like the support of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for promoting current clusters.

  • PDF

Analysis of the Specialized Industrie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Yeongnam Area (영남지역의 특화산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Park, Won-Seok;Lee, Chul-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1 no.4
    • /
    • pp.463-475
    • /
    • 2005
  •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current states of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s, and secondly, analyzing the specialized industries in Youngnam Area, and finally, elucidating its policy implica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ized industries are different between regions, in terms of static-dynamic dimension, static dimension and dynamic dimension. As a results, the effects of the activating strategies of regional specialized industries are quite different by regions. Therefore,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elucidated, as follows. Firstly, different strategy may be commit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ized industries. Secondly, the activating strategies of regional specialized industries and regional innovation strategies may be confused considering the changing trends into knowledge based economies.

  • PDF

체계동태기법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전략 평가모형의 정립과 적용 - 담양군 대나무 신산업 육성전략의 파급효과 분석

  • Jeong, Hoe-Seong;Jeon, Dae-Uk;Kim, Bye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6.04a
    • /
    • pp.79-100
    • /
    • 2006
  • 지역개발과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의 수립을 위해 지역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통합한 지속가능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모색과 관련정책의 파급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통합모델의 개발과 적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높은 환경질을 유지하고 대나무와 같은 생태자원을 육성함으로써 생태관광과 대나무신산업 등의 새로운 지역개발 정책을 수행하는 전라남도 담양군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 체계동태모형을 구축한다. 담양군 사례분석의 결과는 죽림육성 정책과 대나무신산업과 같은 지역특화산업에 대한 기술개발 및 각종 재원의 병행이 인구유입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매우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시스템적 사고를 통해 지역개발에 있어서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살린 생태자원의 육성과 적절한 산업정책을 병행하는 생태발전 전략이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A Plan of Efficiency of Human Resource Policy for Small-Medium Enterprises in Regional Strategic Industry (지역전략산업 연계 중소기업지원 인력양성정책의 효율화 방안)

  • Kyung, Jong-Soo;Lee, Sang-Cheol;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0
    • /
    • pp.3779-3788
    • /
    • 2010
  • In this study, We found approach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 policies for small-medium enterprises(SMEs) in the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Especially, we intended to identify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hrough analyzing to the supply and demand side of human resource at the same time. In the supply side, we analyzed workers, supply, and support policy in regional strategic industry. In the demand side, we analyzed the demands from 201 SMEs in regional strategic industry. We found the demand differences in strategic industries. we found the efficiency improvement and directions of human resource policies. Thus, these results imply the necessity of creating a customizing policy for SMEs. In conclusion, the human resource policy should be reflected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and the demands of SMEs.

A Study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for Software Industry (S/W산업육성을 위한 지역동반 발전전략 연구)

  • Jo, Yong-Cheol;Kim, Dong-Min;Lee, Du-Yong;Jang, Cheong-Yun;Lee, Chang-Ho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04a
    • /
    • pp.381-382
    • /
    • 2012
  • 지식경제부의 발표에 따르면, 세계 SW/IT융합 시장은 2010년 1.2조 달러에서 2015년 2조 달러, 2020년에는 3.6조 달러에 이르러 연평균 11.8%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같은 기간 동안 세계경제성장률이 3~4%인 점을 감안한다면 이는 상당히 높은 성장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세계 각국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SW융합 환경에서 자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책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IT인프라의 확산 및 고도화를 통해 정보 지식기반의 사회로의 발전을 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SW기업의 성장기반 확대 조성 및 시장 환경 개선을 위해, 2010년 2월 제45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범부처 차원의 SW산업 육성방안을 담은 'SW 강국 도약전략'을 수립하여, 국내 SW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SW분야의 신시장 창출을 위한 SW 산업 생태계 재편, SW 융합 수요 창출, SW 인재양성, SW 기술역량 제고 등 4대 핵심전략과 12개 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국내의 SW산업분야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 투자는 약 10년을 넘은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초기수준인 SW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지역기반의 SW산업은 서울 및 수도권에 비하여 사업체의 수, 생산액 등 모든 면에서 열세이므로 지역의 경제 및 산업에 있어서 SW산업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이에 따른 발전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의 지역 SW산업 지원 사업의 문제점과 지역 SW산업의 기반 현황 및 여건분석에 해당하는 지역적 특성, IT SW 산업의 시장 규모, IT SW 산업의 GRDP 비중 및 기여도, IT SW 산업의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국내 산업단지 현황, IT SW 산업의 가치사슬, 지역 지원정책 등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정부의 광역경제권발전전략의 핵심인 지역별 선도산업을 중심으로 한 SW융합사업으로서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지역발전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 SW산업의 정책 및 성공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SW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발전정책의 방향성을 도출하여 광역경제권 수요기반의 신규 정책 및 제안을 통해 선택과 집중에 의한 지역 SW산업 육성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