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경상일보(2016년 3월 7일자).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7523.
- 소병한, 전문대학의 신입생 중도탈락 현황 및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이정윤,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 연구, 관동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황윤경, 지방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대학생활만족도, 스트레스지각 및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교육학 대사전, 교육과학사 편집위원, 1996.
- 김지애, 청소년의 대인예민성과 사회적지지가 등교거부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이훈진, "편집증 집단의 자기개념과 주의 및 기억 편향," 심리과학, Vol.9, No.1, pp.77-99, 2000.
- 홍영준, 이미경, "부모자녀관계가 청소년의 불안대인예민성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Vol.21, No.10, pp.445-474, 2014.
- 백운학, "초등학교 아동들의 등교거부경향에 대한 고찰," 영남대학교 논문집, Vol.14, pp.343-365, 1981.
- 박진영, "지역대학 성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사회적 지원, 학업탄력성, 자아 존중감의 영향력 분석,"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4, No.3, pp.47-75, 2012.
- 박희수, 문승연,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3, pp.197-218, 2014.
- 옥경희,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 광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 Vol.8, pp.21-37, 2002.
- 이용호, 김희경, 김남송, "대학생의 신체적, 심리적 증상과 대학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The Joumal of Digital Pollcy & Management, Vol.11, No.10, pp.483-492, 2013.
- 현채송, "사회적지지와 문제해결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연구, Vol.7, pp.27-41, 2004.
- 김지현,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박재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수준, 스포츠 참여 수준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문동영, "검도 수련자의 생활만족 및 사회적지지에 관한 분석," 대한검도학회지, Vol.22, No.1, pp.36-49, 2004.
- R. L. Kalish, "Late Adulthood; Perspective on Human Development, Berkely," Calif: Cole Publishing Co. P. 1, 1975.
- W. Wilson, "Correlates of avowed happin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67, pp.294-306, 1967. https://doi.org/10.1037/h0024431
- 유상구, 체육수업과 여가활동의 연계지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안현숙, "대학생의 웰니스, 대학생활만족 및 학습몰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pp.494-50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494
- 김준곤, "대학생활만족도의 차원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학생생활지도연구소, pp.35-49, 1991.
- R. M. Ryan and E. L. Deci, "Self- 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No.1, pp.68-78,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 신원수, 인지적 대인문제해결 훈련이 등교거부 경향성 아동에 대한 문제 해결사고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 이혜경,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박영배, "등교거부아의 잠재적 원인분석," 진주교대 논문집, Vol.13, pp.76-95, 1987.
- 김광웅, "아동의 성격특성 및 사회적지지 지각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Vol.19, No.1, pp.1-27, 2006.
- 김세원, 사회적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용란숙,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이종연, 이재신, "괴롭힘 경험을 가진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교육연구논집, Vol.4, pp.47-75, 2001.
- W. Furman and D. Buhrmester,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1, No.6, pp.1016-1024, 1985. https://doi.org/10.1037/0012-1649.21.6.1016
- 최염위, 사회적지지가 중국 도시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중국 하남성 정주시 노인을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P. Boyce and G. Park, "Develoment of a scale to measure interpersonal sensitivity," Austraiasian Psychiatry, Vol.23 No.3, pp.341-351, 1989.
-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05.
- 김나영, 대학생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대학생활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 김덕건, "아동의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1, pp.351-371, 2016.
- 홍창숙, 아동학대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편집성과 대인예민성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1976.
- J. S. House, "Social Stress and Social Support. Reading," Ma; addison-Wesley, 1981.
-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 최애선,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Marvin R. Goldfried, Padawer, Wendy and Robins, Clive, "Social Anxity and the Semantic Structure of Hetero social Interaction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93, No.1, 1984.
- 이재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청주대학교 학생생활연구, Vol.22, pp.51-89, 2000.
- 류경희, "청소년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변인," 대한가정학회지, Vol.41, No.21, pp.147-168, 2003.
- 박윤순,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구자은,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G. A. Bernstein, S. L. Warren, E. D. Massic, and P. D. Thuras, "Family dimensions in anxious-depressed school refusere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Vol.13, No.5, pp.513-528, 1999. https://doi.org/10.1016/S0887-6185(99)00021-3
- 김동연, 의대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김정남, 류미경, 박경민, "일부지역 대학생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 대한보건연구, Vol.25, No.1, pp.29-42, 1999.
- 하주영, "자아존중감. 가족기능 및 사회적지지가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Vol.17, No.2, 2010.
- 강석화,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정신과외래환자의 간이정신진단검사: SCL-90 -R의 진단별 특성," 정신건강연구, Vol.1, pp.150-168, 1984.
- 이수연, 박은혜, "스마트폰 활용 멘토링 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 및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체, 중복, 건강장애연구, Vol.58, No.4, pp.169-193, 2015.
- H. L. Barnes and D. H. Olson,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Olson, D. H., et al. (eds.)," Family inventories, (pp.33-48), St Paul: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1982.
- 민하영, 청소년 비행 정도와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가정의 응집성 및 적응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 황미현, 중학생의 부모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부정적 정서와의 관계: 긍정적 또래관계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박지원,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구조방정식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 이종환,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 공동체, 2008.
-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 오지현,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pp.873-88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873
- 이명진, 이정민, 이진민, 최봉준, 전진호, 손혜숙, "여대생의 사회성과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8, pp.300-309, 2012.
Cited by
- Multi-View Concepts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vol.08, pp.06, 2018, https://doi.org/10.12677/AP.2018.86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