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D Investment and Productivity Growth of Korean Economy in the New Normal Era

뉴 노멀 시대하 한국경제의 R&D투자와 생산성 성장

  • 김선재 (배재대학교 전자상거래학과)
  • Received : 2016.09.02
  • Accepted : 2016.10.20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R&D investment on productivity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in the New Normal Era. To be specific,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R&D capital, other capitals,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on the labor productivity during the three periods: 1970-2014, 1970-1997, and 1999-2014. We found out that the change of the intensity in the R&D capital and other capitals significantly impacted on the change of the labor productivity in Korea. In particular, the estimated coefficients of these variables are higher after the period of the IMF financial crisis than before the crisis. We also estimated the marginal productivity of R&D capital investment in terms of the TFP growth. The estimated coefficients of the variables showed stronger effects after the period of the IMF financial crisis than before the crisis. As a result, the increase of R&D investment has been greatly impacted on the growth of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after the IMF financial crisis in Korea.

본 연구는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질서로 부상되고 있는 뉴 노멀 시대 하 한국경제의 R&D투자가 생산성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R&D자본 및 기타자본의 집약도 및 총요소생산성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전 기간(1970~2014), IMF외환위기 이전 까지 기간 (1970~1997), 그리고 그 이후 기간(1999~2014)로 구분하여 추정하였다. 그 결과 R&D자본과 기타자본의 집약도 변화율 모두 노동생산성 변화에 매우 높은 유의성을 보였으며, 특히, 이들 변수 모두 IMF외환위기 이전의 계수보다 외환위기 이후 기간의 추정계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개발투자의 한계생산성이 총요소생산성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역시 3개 기간으로 나누어 추정하였다. 결과 전 기간 모두 연구개발투자의 한계생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외환위기 이후의 한계생산성 계수(0.3873)가 전기의 기간보다 높게(0.2243)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IMF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에 있어서 R&D 투자의 증가가 총요소생산성 성장에 더 긍정적으로 작용해 오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재, 이영화, "한국 공공부문의 R&D 투자가 국내산업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제28권, 제1호, pp.71-88, 2015.
  2. 김선재, 이영화, "뉴 노멀하 한국기업의 R&D 투자가 산업간 기술파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390-39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2.390
  3. Z. Griliches, "Issues in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ductivity Growth," The Bell Journal of Economics, Vol.10, No.1, pp.92-116, 1979. https://doi.org/10.2307/3003321
  4. Bozeman, Barry and Albert N. Link, "The Productivity Growth to Technology Relationship, Investments in Technology," Chapter 5, pp.74-83, 1983.
  5. Y. Tsao, "Growth without productivity: Singapore manufacturing in the 1970s,"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18, pp.25-38, 19850.
  6. L. R. Christen and D. Cummings, "Real product, real factor input, and productivity in the republic of Korea 1960-1973,"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8, No.2, pp.285-302, 1981. https://doi.org/10.1016/0304-3878(81)90017-1
  7. Goto, Akira and Kazuyuki, Suzuki, "R&D Capital, Rate of Return on R&D Investment and Spillover of R&D in Japanese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71, No.4, pp.555-564, 1989. https://doi.org/10.2307/1928096
  8. D. Audretsch and M. Feldman, "R&D spillover and geography of innovation and production,"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86, pp.630-640, 1996.
  9. B. Los and B. Verspagen, "R&D spillovers and productivity: evidence from US manufacturing microdata," Empirical Econommics, Vol.25, pp.127-148, 2000. https://doi.org/10.1007/s001810050007
  10. 김인철, 김원규, 김학수,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 분석, 산업연구원, 2003.
  11. 이원기, 김봉기, "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 파급효과 분석," 조사통계월보(한국은행), 2003년 5월, pp.24-51, 2003.
  12. 김선재, "국민지적자본과 한국의 경제성장: 1971-2007," 지식연구, 제7권, 제1호, pp.3-25, 2009.
  13. Terleckyj,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Productivity Growth of Industries," John W. Kendrick and B.N. Varacca ed., New Developments in Productivity Measurement,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Inc., pp.357-386, 1980.
  14. OECD, Measuring Productivity: OECD Manual, Measurement of Aggregate and Industrial-level Productivity Growth,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