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빅데이터와 사회연결망 기법을 이용한 '노인 이미지' 분석

'Elderly image' Analysis Using Big Data and Social Networking Techniques

  • 한선보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 이현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투고 : 2016.10.05
  • 심사 : 2016.11.18
  • 발행 : 2016.11.28

초록

빅데이터와 사회연결망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사회적 이슈인 '노인 이미지'를 분석 하였다. '노인' 키워드를 입력하여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추출된 단어를 분석한 결과 대중의 트렌드를 대표하는 카페, 블로그 등의 매체를 통해 본 노인 이미지는 '어르신'이라는 단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상위 10위 빈도수를 보인 단어를 이용하여 노인의 이미지를 표현하면, "노인은 사회의 존경을 받는 어르신이며 돈을 벌기위해 자격증을 따려고 하고 건강을 챙기며 고령에도 불구하고 100세까지 건강하게 일을 하기를 원하는 어르신"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사회연결망 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담론을 포함한 거시적 수준의 '노인 이미지' 분석을 통해 기존의 분석방법과 차별화하고자 하였다. 대중이 느끼는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르신'으로 긍정적으로 표현되는 것을 볼 때, 현재 추진하는 노인정책의 방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평가 받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그렇게 평가받기를 원하는 대중의 '욕구'를 느낄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에 적용할 노인 정책 방향은, 노인들이 사회적 역할을 감당하여 사회에서 '필요한 존재'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우선되어야 한다. 또한 건강을 유지하고 활동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과 복지, 소외에 대한 대책 등의 우선순위가 반영된 노인 정책을 추진할 것을 제언하였다.

We analyzed the social issue 'image of the elderly' using Big Data and Social Network Analysis. First, we analyzed the words extracted by the text mining technique by inputting the keyword 'elderly'. As a result of analysis, the image of the elderly viewed through media such as cafes, blogs, etc. Representing the trend of the public was using the word 'Senior' the most. The image of the elderly is expressed using the word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top 10, "The elderly are 'Senior' people who are respected by society, they are organized to earn money, to earn their qualifications, to health, and to 'Seniors' who desire to work healthy up to 100 years o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fferentiate from the existing analysis method by analyzing the macro-level image of the elderly including the social discourse by collecting vast amount of data and analyzing it with the social networking technique. When the image of the elderly that the public perceives is positively expressed as 'Senior', it can be said that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elderly policy is evaluated as a desirabl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able to feel the 'desire' of the public who wanted to be evaluated. Therefore, the policy direction of the elderly to be applied in the future should be the policy that enables the elderly to be perceived as 'Necessary existence' in society by taking on social roles. In addition, we proposed to implement the policy of the elderly that reflects priorities such as job creation, welfare, and alienation that can activity and maintain health.

키워드

참고문헌

  1. 현외성, 노인 복지학 신론, 양서원, 2010.
  2. https://ko.wikipedia.org/wiki
  3. Report on the 2nd International Coference of Gerontology, 1951.
  4. P. M. Burbank, "Psychosocial theories of aging a critical evaluation," Advanced Nursing Science, Vol.9, No.1, pp.73-86, 1986. https://doi.org/10.1097/00012272-198610000-00009
  5.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12869.
  6. J. Garces, S. Carretero, F. Rodenas, and C. Aleman, "A review of programs to alleviate the burden of informal caregivers of dependent person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50, pp.254-259, 2010. https://doi.org/10.1016/j.archger.2009.04.012
  7. 최세영, 노인 이미지와 친밀감이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 베이비붐세대와 에코붐 세대 비교, 공주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8. 전상남, 신학진, "노인의 이미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 사회과학, 제26권, 제6호, pp.165-187, 2009.
  9. 김미혜, 원영희, "새로운 노인 이미지 정립을 위한 노인광고:신문매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제19권, 제2호, pp.193-214, 1999.
  10. 김미혜, "인터넷 신문에 나타난 노인 이미지 분석:오마이 뉴스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제23권, 제1호, pp.13-30, 2003.
  11. L. Thompson and A. J. Walker, "Intimacy and intergenerational aid and contact among mothers and daughte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24, No.23, pp.841-849, Nov. 1983.
  12. V. M. Lechner, "Prediction Future Commitment to Care for Frail Parents among Employed Caregiv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Vol.18, No.3, pp.24-35, 1991.
  13. 정진경, "노인 이미지 연구경향 분석," 한국노년학회, 제35권, 제4호, pp.1115-1134, 2015.
  14. 시로다 마코타, 김성재역, 빅데이터의 충격, 한빛미디어, p.26, 2013.
  15. 박영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클래식 음악': 연관 이미지, 인물, 그리고 여론 형성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공학, 제19권, 제7호, pp.127-144 2014.
  16. 윤홍근, "문화산업에서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글로벌 문화 콘텐츠, 제10권, 제7호, pp.157-180, 2013.
  17. 박성제, "빅데이터 시대의 소셜네트워크 분석 기법과 스포츠 분야의 활용전략,"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3권, 제5호, pp.933-946, 2014.
  18.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 논형, 2012.
  19. 서정아,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대구의 관광지 이미지 분석 : 온라인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0. 오효정, 안승권, 김용, "소셜 빅데이터 기반 사회적 이슈 리스크 유형 분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1-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001
  21. 김태구, 조남욱, 홍정식,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국내영화 시장의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93-107, 2014.
  22. 조성은, 박한우, "정부부처의 소셜미디어 소통방식 : 국가간 트위터 이용 및 연결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160-170, 2013.
  23. 손기준, "하둡 기반 빅데이터 수집 및 처리를 위한 플랫폼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 춘계학술대회, 2015.
  24. https://sites.google.com/site/ucinetsoftware/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