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Modification Methods of Residents Registration Number System

주민등록번호제도 변경방안에 관한 연구 : 주요 쟁점에 대한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10.04
  • Accepted : 2016.10.24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On 23th December in 2015,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decided the Resident Registration Act which could not changed one's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was Unconformable to Constitution. And declared that the Resident Registration Act had to amend the article. This study analyzes the issues and preferences of people about the modification methods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System. In result, the residents agree on the autonomy of residents registration number change and prefer not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to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in registration number system. And the residents want to operate the Second number system besides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However, they don't want to pay the change cost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system. This results give a few of implications when the change methods of resident registration system would be prepared.

2015년 12월, 헌법재판소는 주민등록번호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한 주민등록법에 대해 헌법불합치 선언을 하고 2017년까지 개정을 하도록 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 주민등록번호제도의 변경방안과 변경방안을 둘러싼 중요한 쟁점사항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국민들은 자율적으로 번호를 변경하기를 바라고 있으며 개인정보가 주민등록번호 상에 나타나지 않기를 선호한다. 그리고 주민등록번호 외에 분야별로 별개의 번호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주민등록번호 개편에는 불편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불편 비용에 대해 국민들은 개별적으로 부담할 의사가 적었다. 즉 국민들은 주민등록번호 개편에 대해 긍정적이고 그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비용을 부담하지는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주민등록번호 개편 방향, 그에 대한 국민의 선호, 그리고 국민들이 주민등록번호를 변경하면서 어느 정도의 불편을 겪을 것인가 하는 것에 대한 기초적 연구가 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방윤희, 이현실, 이일현, "국가별 개인정보보호법 및 의료정보보호법의 비교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164-17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164
  2. 박기홍, 이준환, 조한진, "개인정보 입력감지를 이용한 사회공학적 공격 대응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32-3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032
  3. 김민호, 지성우, 김명식, 주민등록번호제도 개선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보고서), 2009.
  4. 이형효,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및 관리체계,"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8권, 제6호, pp.49-58, 2010.
  5. 신영진, "금융분야의 개인정보보호 개선과제에 관한 연구: 주민등록번호 수집근절을 위한 대체 수단 적용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제9권, 제1호, pp.93-126, 2014.
  6. 한문정, 장규현, 홍석희, 임종인, "국가 개인식별 번호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24권, 제4호, pp.721-737, 2014. https://doi.org/10.13089/JKIISC.2014.24.4.721
  7. 손형섭, "ICT 융합기술 발달에 따른 주민번호 개인인증에 관한 법적 과제: 주민등록번호로부터 목적별 식별 대안 모색," 법학연구, 제59권, pp.53-78, 2015.
  8. 최성락, "주민등록번호 대체 식별 수단의 새로운 제안", 주민등록번호 보호와 대체수단 주민번호 대체연구센터.(사)한국규제학회 공동포럼, 2015.
  9. 최성락, 이혜영, 주민등록번호 변경제도 도입방안: 대안 및 시사점, 주민등록번호제 어떻게 개편할 것인가, 정보인권연구소, 2016.
  10. 신훈민, "주민등록번호 변경제도 도입 등 제도개선 방향," 주민등록번호제 어떻게 개편할 것인가?: 새로운 주민등록번호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구체적 방향, 2016. 1. 18. 토론회 토론집, 2016.
  11. 김민호, "주민등록번호체계의 개편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법학, 제23권, 제3호, pp.445-468, 2011.
  12. 국가법령정보센터(2015), http://www.law.go.kr/main.html
  13. 이혜정, "헌법재판소 주민등록법 위헌 결정의 의의," 주민등록번호제 어떻게 개편할 것인가?: 새로운 주민등록번호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구체적 방향, 2016. 1. 18. 토론회 토론집, 2016.
  14. 이형규, "인터넷상 주민등록번호에 의한 본인확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양법학, 제37권, pp.341-371, 2012.
  15. 신영진, "주민등록번호의 수집 금지 및 본인확인 수단의 적용을 통한 개인정보보호방안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73-203, 2014.
  16. 김선주, 이경호, "주민등록번호 개선방안 비교 연구,"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25권, 제3호, pp.673-689, 2015. https://doi.org/10.13089/JKIISC.2015.25.3.673
  17. 성준호, "주민등록번호에 의존한 본인확인제도의 문제점: 각국의 개인식별번호제도 및 관련 법률의 검토를 통한 시사점," 공공사회연구, 제6권, 제2호, pp.208-246, 2016.
  18. 손형섭, 주민등록법 제7조 헌법불합치결정에 관한 연구, 주민등록번호제, 어떻게 개편할 것인가?, 정보인권연구소,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