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morials to the King and the Intellectual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상소(上疏)를 통해 본 조선후기 지식인의 재편 - 이경석·박세당 평가와 관련한 노론계의 상소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5.05.28
  • Accepted : 2015.06.25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Memorials in Joseon Dynasty created a arena where the intellectual and political power met. This thesis traces the process of a certain political faction's rebuilding of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elite groups by leading the intellectual controversies through memorials, especially those about the evaluations of Pak Setang(朴世堂) and I Gyeongseok(李景奭). This is what happened: Song Siyeol(宋時烈) submitted a memorial which disputed I Gyeongseok's petition, which provoked complete controversies around the memorials between Noron(老論) and Soron(少論). This led to the academic censorship against Sabyeonrok written by Pak Setang. The analysis of act of writing and submission of memorials by Noron and the role of the Kim Family of An-dong(安東 金門) specifically is the main topic here. The members of Soron ceaselessly criticized Song Siyeol, while the Kim Family strongly defended him. The trigger of the strife was a letter written by Kim Chang-Heup(金昌翕), a member of the Kim Family and the Kim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background during the process of political fights using memorials. The series of memorials criticized or supported certain political figure or his writings, but the opinions of Noron and Soron were directly opposite to each other. Even though the expressed difference was the result of the existing political factions, however, it also caused the new power structure of elite groups. The expressions and logics used in the arguments also have its significance. The Noron's memorials evaluated the contemporary people and their writings based on Chu-Hsi and Song Siyeol, who was regarded as a identical figure of Chu-Hsi. The arguments and writing strategies in this regard gained political strength enough to reorganize the intellectual society by changing alignment of political parties, and this led to the rebuilding of academic environment afterward.

본고는 지식권력과 정치권력이 만나는 장(場)의 하나인 상소를 대상으로 삼아서 특정 정파가 지식 논쟁을 주도하고 지식인 집단을 재편하는 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한 사례 연구의 대상으로 택한 사안은 이경석과 박세당에 대한 평가를 둘러싼 노론과 소론의 공방(攻防)이다. 이 사안의 발단은 이경석의 차자(箚子)에 반박하여 올린 송시열의 상소문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후 송시열에 대한 평가로 점차 논란이 확대되어 노론과 소론의 전면적인 대립으로 치달았고, 결국 박세당의 저술인 "사변록"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 검열로까지 이어졌다.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노론계 인사들의 상소 행위이고, 그 중에서도 이 사안의 핵심에 놓이는 안동(安東) 김문(金門)의 역할이다. 소론 측의 계속되는 송시열 비판에도 불구하고, 안동 김문은 송시열에 대한 노론계의 요지부동한 지지를 대변하였다. 이 사안의 직접적 계기가 바로 김창흡의 서신이었고, 이후의 상소 과정에서 안동 김문과 그의 문도들이 막후에서 적지 않은 역할을 수행한 사실들을 구체적으로 추적하였다. 이 사안을 중심으로 연이어 올라간 양측의 상소들은 대체로 특정 인물 및 저작에 대한 날선 논평들이 주된 내용을 이룬다. 이 상이한 내용의 상소들은 기존의 정파(政派)가 낳은 결과이기도 했지만 새롭게 진행된 지식인 재편(再編)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상소 행위 자체만이 아니라 상소에 동원된 표현과 논법들 역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노론계에서 올린 일련의 상소문들에서 구사한 표현과 논법들은 주희(朱熹)를 기준으로 삼아 당대의 인물과 저작들을 양단간(兩端間)에 재단(裁斷)해 버리는 것이었다. 소론계 상소들의 다양한 대응에도 불구하고 이 논법의 칼날은 강력한 정치적 힘을 가지고 당시 지식인들을 재편하였으며, 이로 인해 학술적 판도 역시 새롭게 만들어져 갔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