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xistential Consciousness Shown in Poet Jo Nam-ik's Early Poetry - Focusing on Exploration of Existential Authenticity -

조남익 시인의 초기시에 나타난 실존의식 연구 - 삶의 본래성 탐색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1500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into existentialconsciousness that is shown in a poet Jo Nam-ik's early poetry. Aresearch was tried to focus especially on whether the existentialauthenticity proceeds with being explored in daily life. It considered thedebuted poems first, thereby having arranged it as the starting point ofdiscussion and having examined the poet's model of poetic world that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In a poem「Sugori(水古里)」, the beingsare allowed to have the meaning of existence with mutually negotiatingwith silence and body. In addition, the space called Sugori, which wassublimated into the space of gender, is being depicted. The place is asymbol of the world that is maintained the authentic existentialpossibility that will arrive. In a poem titled「Sound of Mountain Wind」,the poet Jo Nam-ik aims to confirm own existence and to approachnew world with listening to the sound of conscience in the middle ofdaily life. And in a poem「Song of Bukchon-ri」, the existentialconsciousness is revealed that tries to achieve authenticity in everydaylife of being made with considering a family through listening to thesound of death while living with considering a family. A characteristicof existential consciousness, which is shown in 3 pieces of the debutedpoetry, is consistently exposed with being diversely varied in the earlypoetic pieces. In a poet Jo Nam-ik's poetry, ‘sound’ appears frequently.This completely symbolizes 'sound of conscience' that touches the innerside. A poet feels anxiety while listening to 'sound.' That functions asallowing a poet to be called to stop in front of the authentic self existence. Also, in a poet Jo Nam-ik's poetry, 'despair' and its mutantappear very often. This also acts as the base that makes the entireauthenticity acquired. Poet Jo Nam-ik gives up hope with confrontingthe finitude of existence and is conscious of the absolute existence thatis in death or beyond world. Accordingly, even ‘despair’ functions as thefoundation for seeking the existential authenticity.

본 논문은 조남익 시인의 초기시에 나타난 실존의식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일상적 삶에서 어떻게 실존의 본래성을 탐색해 나가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해 보았다. 우선 등단한 시를 고찰함으로써 논의의 출발점으로 마련하고 장차 전개될 시인의 시세계의 원형을 살펴보았다. 시「수고리」에서 존재자들이 침묵과 몸으로 서로 교섭하며 존재의미를 갖게 할 뿐만 아니라 성의 공간으로 승화된 수고리라는 공간을 그리고 있다. 그 공간은 도래할 본래적 존재가능성이 유지되는 세계의 상징이다. 시「산바람 소리」에서 조남익 시인은 일상 중에서 양심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자신의 실존을 확인하고 새로운 세계에 다가가고자 한다. 그리고 시「북촌리 타령」에서는 가족이라는 가족을 배려하며 살면서 죽음의 소리를 들음으로써 가족을 배려하며 사는 일상적 삶에서 본래성을 성취하려는 실존의식을 드러낸다. 등단 시 3편에서 나타나는 실존의식의 특징은 초기의 시편들에서 다양하게 변주되며 일관적으로 드러난다. 조남익 시인의 시에서 ‘소리’가 빈번히 등장하는데 이는 모두 내면에서 울리는 ‘양심의 소리’를 상징한다. 시인은 ‘소리’에 귀를 기울이면서 불안을 느끼는데 그것은 시인으로 하여금 본래적 자기의 존재 앞에 불러 세우는 작용을 한다. 또한 조남익 시인의 시에서 ‘절망’과 그 변이체가 빈번히 등장하는데 이 역시 전체적 본래성을 인수하게 하는 기초로서 작용한다. 조남익 시인은 존재의 유한성에 직면하여 절망하며 죽음이나 세계 너머에 존재하는 절대적 존재를 의식한다. 따라서 ‘절망’ 역시 실존의 본래성을 찾기 위한 토대로서 작용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