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ween Dystopia and Utopia A Comparative Study on Cormac MacCarthy's The Road and J.M. Coetzee's The Childhood of Jesus

디스토피아와 유토피아 사이 - 코멕 매카시의 『더 로드』와 존 쿳시의 『예수의 어린시절』 비교연구

  • Received : 2015.08.09
  • Accepted : 2015.09.08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Both Plato and More imagined alternative ways of organizing society. What is common to both authors, then, is the fact that they resorted to fiction to discuss other options. They differed, however, in the way they presented that fiction. The concept of utopia is no doubt an attribute of modern thought, and one of its most visible consequences. But one of the main features of utopia as a literary genre is its relationship with reality. Utopists depart from the observation of the society they live in, note down the aspects that need to be changed and imagine a place where those problems have been solved. After the two World Wars, the twentieth century was predominantly characterized by man's disappointment at the perception of his own nature. In this context, utopian ideals seemed absurd and the floor was inevitably left to dystopian discourse. Both The Road by Cormac MacCarthy and The Childhood of Jesus by J. M. Coetzee can be called critical dystopia and critical utopia as they represent the imaginary place and time that author intended a contemporaneous reader to view as better or worse than contemporary society but with difficult problems that the described society may or may not be able to solve. As a changed adventure narrative,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like open ending, father and son relationship and religious allegory.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y express the utopian impulse that is still energetic and transforming in the post-modern society.

플라톤과 토마스 모어는 사회를 조직하는 대안적인 방법을 상상하였다. 이들에게 공통적인 것은 그들이 이러한 방법들을 논의하기 위해 방식은 다르지만, 소설의 양식에 의존했다는 점이다. 유토피아라는 개념은 확실히 근대적 사고의 특성중 하나이고 동시에 가장 가시적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학 장르로서의 유토피아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현실과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유토피아를 꿈꾸는 사람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를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해 변화시켜야할 양상들을 기록하고 그러한 문제들이 해결된 장소를 상상한다. 1, 2차 세계대전을 거친 20세기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실망과 회의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러한 문맥에서 유토피아적 이상향은 모순적이고, 문학적 장르는 불가피하게 디스토피아적인 담론의 경향을 띄게 되었다. 코멕 매카시의 "더 로드"와 존 쿳시의 "예수의 어린시절"은 저자가 독자로 하여금 현재의 사회보다는 더 좋거나 더 나쁘지만, 해결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는 상상의 장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비판적 디스토피아와 비판적 유토피아의 형태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유토피아 장르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시각을 가진 이들 소설은 변화된 모험 서사의 형태로서 열린 결말, 부자 관계 그리고 종교적인 알레고리의 양식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 소설들이 탈근대 사회에서도 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원기왕성한 유토피아적 충동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