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eaching Sample: An Analysis of Foreign Curriculum

표본 지도에 대한 고찰: 국외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8.15
  • Accepted : 2015.09.14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e concepts of sample and sampling are central to make a statistically correct decision, so we need to be emphasized their importance in the statistics education. Nevertheless, there were not enough studies which discuss how to teach the concepts of sample and sampling. In this study, teaching sample and sampling is addressed by foreign curricula and cases of instruction in order to obtain suggestions for teaching sample and sampling. In particular, the curricular of Australia, New Zealand, England and the United States are analyzed, considering the sample representativeness and the sampling variability; the two elements in the concept of sample. Also foreign textbooks and cases of instruction when it comes to teach sample are analyzed. The results say that with respect to teach sample can be divided into four suggestions: first, sample was taught in the process of statistical inquiry such as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results. Second, sample was introduced earlier than Korea curriculum. Third, when it comes to teach sample, sample variability, as well as sample representativeness was considered. Fourth, technological tools were used to enhance understanding sample.

통계 교육에서 표본(sample)과 표집(sampling)은 통계적으로 올바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강조되어야하는 개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본과 표집 개념을 어떻게 지도하는지에 관해서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표본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국외 교육과정 및 지도 사례를 중심으로 표본이 어떻게 지도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표본 개념의 두 요소인 표본대표성(sample representativeness)과 표집변이성(sampling variability)을 중심으로, 호주, 뉴질랜드, 영국, 미국의 교육과정을 분석했다. 또한 외국 교과서와 선행 연구의 표본 지도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표본 지도에 관하여 첫째, 자료수집, 분석, 결과 해석이라는 통계적 탐구과정의 경험과 함께 지도하고, 둘째, 현재 지도시기보다 빨리 지도하고, 셋째, 표본대표성 뿐만 아니라 표집변이성을 고려하여 지도하고, 넷째,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 공학 도구를 활용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영, 신보미, 고은성, 이동환, 심송용, 김정자 구나영, 정인수, 최경식, 홍지혜(2014). 통계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2014A039.
  2. 교육과학기술부, 부산광역시교육청(2009).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 및 운영사례VI, 종합편, 미국, 일본, 대만, 캐나다, 호주. 교육과정자료-442.
  3. 김남희, 나귀수, 박경미, 이경화, 정영옥, 홍진곤 (2011).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4. 나귀수, 황혜정, 임재훈(2003).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내용 비교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3(3), 403-428.
  5. 류근관(2013). 통계학. 파주: 법문사.
  6. 박경미(2010). '학년군'과 '수학적 과정'을 중심으로한 외국 수학과 교육과정의 최근 경향 비교.분석. 학교수학, 12(4), 667-686.
  7. 박경미 외(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연구 공청회 자료집.
  8. 이경화, 지은정(2004). 표본 개념의 교육적 의의와 교수학적 변환. 수학교육학논총, 26, 173-192.
  9. 이경화, 지은정(2005). 표본 개념의 교육적 의의와 인식 특성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5(2), 177-196.
  10. 이미숙, 박영희(2006). 6학년 학생들의 표본개념 이해 및 자료 분석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8(4), 441-463.
  11. 이영하(2014). 인문학으로 풀어 쓴 통계교육 원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2. 이영하, 신수영(2011). 초․중․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단원에 나타난 표본개념에 대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1(4), 327-344.
  13. 이정진(2011). 통계 개념 체크하기. 이동명(편.). 손 안의 통계 (pp. 6-40). 성남: 한국통계진흥원.
  14. 정한영(1995). 통계학사 개론. 춘천: 한림대학교 출판부.
  15. 탁병주, 구나영, 강현영, 이경화(2014). 표본 개념에 대한 고찰: 역사적 분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6(4), 727-743.
  16.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2014). The Australian Curriculum Mathematics. Australia.
  17. Ben-Zvi, D., Gil, E., & Apel, N. (2007). What is hidden beyond the data? Young students reason and argue about some wider universe. In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Forum for Research on Statistical Reasoning, Thinking and Literacy. Warwick, UK: University of Warwick.
  18.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U.S.A.
  19. DelMas, R. C., Garfield, J., & Chance, B. (1999). A model of classroom research in action: Developing simulation activities to improve students' statistical reasoning.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7(3).
  20. Department of Education (2014). Mathematics programmes of study: Key Stage 3,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England.
  21. Franklin, C. G., Kader, 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 (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report. Alexandri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2. Garfield, J. & Ben-Zvi, D. (2008). Developing students' statistical reasoning: Connecting research and teaching practice. New York: Springer.
  23. Jong, J. & Wijers, M. (2004). 데이터를 한눈에. (나온교육연구소 역). 서울: 도서출판 나온. (영어 원작은 2003년 출판).
  24. Jong, J. & Wijers, M. (2004). 환경을 살리는 통계. (나온교육연구소 역). 서울: 도서출판 나온. (영어 원작은 2003년 출판).
  25. Jong, J. & Wijers, M. (2004). 그림으로 보는 수 세상. (나온교육연구소 역). 서울: 도서출판 나온. (영어 원작은 2003년 출판).
  26. Jong, J. & Wijers, M. (2004). 통계로 나타낸 세상. (나온교육연구소 역). 서울: 도서출판 나온. (영어 원작은 2003년 출판).
  27. Konold, C., & Miller, C. D. (2005). TinkerPlots: Dynamic data exploration. Computer software] Emeryville, CA: Key Curriculum Press.
  28. Meletiou-Mavrotheris, M., & Paparistodemou, E. (2015). Developing students' reasoning about samples and sampling in the context of informal inferenc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8(3), 385-404. https://doi.org/10.1007/s10649-014-9551-5
  29. Ministry of Education. (2009). The New Zealand Curriculum: Mathematics Standards for years 1-8. New Zealand.
  30. Pearson Education Australia. (2005). Heinemann Maths Zone for South Australia 8. Australia.
  31. Pearson Education Australia. (2013). Pearson Mathematics 8. Australia.
  32. Pfannkuch, M. (2008). Building sampling concepts for statistical inference: A case study. ICME-11 Proceedings, Monterrey, Mexico, July 2008.
  33. Pfannkuch, M., Arnold, P., & Wild, C. J. (2015). What I see is not quite the way it really is: students' emergent reasoning about sampling variabil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8(3), 343-360. https://doi.org/10.1007/s10649-014-9539-1
  34. Rubin, A., Bruce, B., & Tenney, Y. (1990). Learning about sampling: Trouble at the core of statistics. In D. Vere-Jones(Eds.).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statistics. (Vol. 1, pp. 314-319). Voorburg: Inter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35. Saldanha, L. & Thompson, P. (2002). Conceptions of sample and their relationship to statistical inferenc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1, 257-270. https://doi.org/10.1023/A:1023692604014
  36. Salmon, W. C. (1994). 과학적 추론의 기초 (양승렬 역). 서울: 서광사. (영어 원작은 1967년 출판).
  37. Shaughnessy, M., & Chance, B. L. (2005). Statistical questions from the classroom.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8. Watson, J. M. (2013). 학교에서 어떤 통계를 배워야 하지? 통계적 소양의 성장과 목표 (박영희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6년 출판).
  39. Watson, J. M. & Moritz, J. B. (2000). Developing concepts of sampl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 44-70. https://doi.org/10.2307/749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