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of Child Safety Keeper System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아동안전지킴이 제도의 실효성 향상 방안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7.10
  • Accepted : 2015.09.02
  • Published : 2015.09.28

Abstract

According to the children's crime risk is increased, national police agency has implemented child safety keeper system since 2009. Despite the importance of child safety keeper studies, there was no seeking of empir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 for the oper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 safety keeper system.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ll the child safety keepers were surveyed by quota sampling in the 16 provincial police agency. Questionnai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v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analysis is the need to strengthen links with child safety keeping house, participatory setting for the patrol route,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management and supervision, adequacy of allowance, strengthening contact with children for job success awareness.

아동안전지킴이 제도는 아동의 범죄피해 방지를 위해 경찰청 주관으로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협력치안 프로그램이다. 아동안전지킴이 제도는 2009년 시행된 이래 아동범죄 예방효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구체적 효과성은 불분명하다. 운영현황에 대한 실증적 연구와 제도발전을 위한 학술적 검토가 충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아동안전지킴이 제도의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실효성 향상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16개 지역 지방경찰청에 배치된 전체 아동안전지킴이에 대해 할당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결과는 빈도분석, 티검증, 아노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제도발전을 위해 아동안전지킴이집과의 연계강화, 아동안전지킴이의 순찰노선에 대한 참여적 편성, 교육관리 감독체계의 개선, 활동비의 적정성, 성공적 직무인식 증진을 위한 아동접촉근무 강화방안 등의 중요성이 검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운, "아동안전지킴이집 운영 개선방안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14권, 제2호, pp.35-8, 2012.
  2. http://www.ex-police.or.kr/expolice/profile.php
  3. http://www.koreapeople.co.kr/company/ceo_new.asp?L1=1&L2=1
  4. Cliff Roberson and Michael L. Birzer, Introduction to Private Security theory Meets Practice, pearson education, 2010.
  5. 이민식, 김상원, 박정선, 신동준, 윤옥경, 이성식, 황성현 공역, 범죄학 이론과 유형,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08.
  6. 최선우, 치안서비스 공동생산론, 대왕사, 2002.
  7. 진계숙, 백석기, "아동성폭력 예방을 위한 아동안전지킴이집 제도의 개선방안", 한국치안행정논집, 제7권, 제3호, p.372, 2010.
  8.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976.
  9. G. D. Gottfredson and J. L. Holland, "A Longitudinal Test of the Influence of Congruence: Job Satisfaction, Competency Utilization and Counterproductive Behavio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ical, Vol.37, pp.389-398, 1990 https://doi.org/10.1037/0022-0167.37.4.389
  10. 이영면, 직무만족의 의미와 측정, 경문사, 2011.
  11.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법문사, 2005.
  12. 한승준, 조사방법의 이해와 SPSS활용, 대영문화사, 2006.
  13. 권경득, 유성호, 이모영, 허태회 공저, 사회과학 통계분석, 법문사, 2006.
  14. M. M. Gruneberg, Understanding Job Satisfaction, Weatherby Woolnough,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