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S. S. Yoon, Hankuksilpumsa, Shinkwangpub, Seoul, 1985. (윤서석, 증보 한국식품사 연구, 신광출판사, 서울, 1985.)
- H. G. Lee, S. H. Jo, R. W. Jeong, K. H. Cha translation, Imwonsiprukji(Y. G. Se, 1827), Gyomunsa, Gyeonggi-do, 2007. (이효지, 조신호, 정낙원, 차경희 편역, 임원십육지(정조지)(서유구 원저, 1827년), 교문사, 경기도, 2007.)
- S. W. Lee, Hankukyorimunhwasa, Gyomunsa, p. 194-195, Gyeonggi-do, 1985. (이성우.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pp. 194-195, 1985.)
- C. Y. Kim. Joseonyori(朝鮮料理). Yegukmunjonghapculpansa, p. 131, Pongyang, 1994. (김정룡. 조선료리. 조선료리현회 전국리사회, p. 131, 평양, 1994.)
-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Joseondaesesigi(sesipungyo), NFMK, p. 37, Seoul, 2005. (국립민속박물관, 조선대세시기II-세시풍요(유만공, 1843년경), 국립민속박물관, p. 37, 서울, 2005.)
- S. D. Oh, "A Literature Review of Traditional Foods in Korean Festivals in the Joseon Dynasty". Korean J. Food & Nutr. 25(1):32-49, 2012. (오순덕. "조선시대 세시음식(歲時飮食)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5(1) 32-49, 2012.) https://doi.org/10.9799/ksfan.2012.25.1.032
- S. S. Yoon, Hankukeumsikyongeo, Mineumsa, 1991. (윤서석. 한국의 음식용어. 민음사. 서울, 1991.)
- H. J. Jeon, Hangukeumsikyongesajeon, Jigupub, p. 97, Seoul, 2002. (전희정. 현대한국음식용어사전. 지구문화사. 서울. p. 97, 2002.)
- S. B. Kim, Joseon Eumsik Munhwa. Garam, p. 240, Seoul, 2006. (김상보.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도서출판 가람기획. p. 240, 서울, 2006.)
- S. E. Min,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Gui(Jock).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p. 107, Seoul, 1995. (민삼은. "문헌에 기록된 구이(炙)의 분석적 고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 Y. S. Sin, Joseonhwangtodaebaekgwa(朝鮮鄕土大百科). Singeung P&P(Co.). Seoul, 2005. 신영석. 조선향토대백과. 신흥 P&P(주). 서울, 2005
- H. G. Lee, S. S. Yoon, "An analytical Studies on Side Dishe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1(2):101-115, 1986. (이효지, 윤서석, "조선시대 궁중음식중 찬물류(饌物類)의 분석적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2):101-115, 1986.)
- H. G. Lee, S. S. Yoon, "An Analysis of Foods used in the Royal parties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Yi Dynasty", Korean J. Home Economics 23(4):79-100, 1985. (이효지, 윤서석. "조선왕조 후기의 궁중연회음식의 분석적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23(4):79-100, 1985.)
- S. B. Kim, B. J. Han, S. W. Lee, "A study of Cookery of Daily Meal(Soora Sang) in Wonheng Ulmyo Jungri Euigwae(1795)". Korean J. Dietary Culture. 4(2):125-143, 1989. (김상보, 이성우, 한복진, "원행을묘정리의궤 중조리면에서 본 수라상고",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4(2):125-143, 1989.)
- H. S. Lim, Y. M. Park, "Literature Review on the Nureumjeok of using materials", Jangan nonchong(29), p. 99-115, 2009. (임희수, 박영미. "누름적에 사용된 재료의 문헌적 고찰". 장안논총 29: 99-115. 2009.)
- S. B. Kim, Joseon Dynasty Royal Eugwe Food Culture, Suhaksa, p. 382-388, Seoul, 2000. (김상보, 조선왕조궁중의궤음식문화, 수학사, p. 382-388, 서울, 2000.)
- B. S. Song, C. R. Park, SukjongjoGihaeJinyeoneuigwe(肅宗朝己亥進宴儀軌), Minsokwon(Co.), Seoul, 2001 (송방송, 박정련 국역, 肅宗朝己亥進宴儀軌(숙종조기해진연의궤, 민속원. 서울, 2001.)
- Eulyu Sujakeuigwe(乙酉 受爵儀軌), Kyujanggak, 1765. (을유 수작의궤(乙酉 受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765(영조 41년))
- Wonhaengelmyojungrieuigwe(園行乙卯整理 儀軌), Kyujanggak, 1795.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795(정조 20년).)
- Chunghae Chungraeeuigwe(丁亥 整礼儀軌), Kyujanggak, 1827. (정해 정례의궤(丁亥 整禮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7(순조 27년).)
- Muja Jinjakeuigwe(戊子 進爵儀軌), Kyujanggak, 1828. (무자 진작의궤(戊子 進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8년(순조 28년))
- Gichuk Jinchaneuigwe(己丑 進饌儀軌), Kyujanggak, 1829. (기축 진찬의궤(己丑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9년(순조 29년).)
- Musin Jinchaneuigwe(戊申 進饌儀軌), Kyujanggak, 1848. (무신 진찬의궤(戊申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48년(헌종 14년).)
- Mujin Jinchaneuigwe(戊辰 進饌儀軌), Kyujanggak, 1868. (무진 진찬의궤(戊辰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68년(고종 5년).)
- Kyeyu Jinjakeuigwe(癸酉 進爵儀軌), Kyujanggak, 1873. (계유 진작의궤(癸酉 進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73년(고종 10년).)
- Chungchuk Jinchaneuigwe(丁丑 進饌儀軌), Kyujanggak, 1877. (정축 진찬의궤(丁丑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77년(고종 14년).)
- Chunghae Jinchaneuigwe(丁亥 進饌儀軌), Kyujanggak, 1887. (정해 진찬의궤)(丁亥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87년(고종 24년).)
- Imjin Jinchaneuigwe(壬辰 進饌儀軌), Kyujanggak, 1892. (임진 진찬의궤(壬辰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92년(고종 29년).)
- Sinchuk Jinchaneuigwe(辛丑 進饌儀軌), Kyujanggak, 1901년 5월. (신축 진찬의궤(辛丑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1년 5월(대한제국 고종 5년).)
- Sinchuk Jinyeoneuigwe(辛丑 進宴儀軌), Kyujanggak, 1901년 7월. (신축 진연의궤(辛丑 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1년 7월(대한제국 고종 5년).)
- Imin Jinchaneuigwe(壬寅 進饌儀軌), Kyujanggak, 1902년 4월. (임인 진찬의궤(壬寅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2년 4월(대한제국 고종 6년).)
- Imin Jinyeoneuigwe(壬寅 進宴儀軌), Kyujanggak, 1902년 11월. (임인 진연의궤(壬寅 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2년 11월(대한제국 고종 6년).)
- Lee YG, 2001, mussangsinsigyolijebeob, Gungjungeumsigyeonguwon, Seoul (이용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2001.)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umsigbangmun, p. 30, Gyeonggi-do, 2010. (농촌진흥청, 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저자미상, 1800년대말엽),농촌진흥청, 경기도, 2010.)
- S. Y. Bang Joseonyorijebub, Hansung, p. 166, Gyeongsung, 1916. (방신영, 조선요리제법, 한성도서주식회사, p. 166, 경성, 1916.)
- S. B. Kim, Joseon Royal Food. Soohaksa. p. 117-131, Seoul, 2011. (김상보, 다시보는 조선왕조 궁중음식, 수학사, p. 117-131, 서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