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화양적(花陽炙)의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Hwayangjeok in the Royal Cuisine of Joseon Dynasty

  • 오순덕 (조선왕조의궤 음식문화연구소)
  • Oh, Soonduk (Dept. of Euigwe Joseon Dynasty Food Culture Research Institute)
  • 투고 : 2015.05.20
  • 심사 : 2015.08.10
  • 발행 : 2015.08.31

초록

조선시대 의궤 16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화양적(花陽炙)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황적과 잡적이 어우러진 화양적이 35.2%로 가장 높았으며, 황적화양적 16.7%, 생복화양적(生鰒花陽炙),과 락제화양적(絡蹄花陽炙)이 각각 11.1%, 어화양적(魚花陽炙) 9.3%, 동과화양적(冬苽花陽炙) 5.6%, 천엽화양적과 양화양적이 각각 3.7%, 계란화양적과 압란화양적이 각각 1.8%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화양적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 개발을 통해 한식의 세계화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the assorted vegetables with beef on skewers called Hwayangjeok recorded in 16 Joseon dynasty (1392-1909) royal palace studies. The ingredients used in Hwayangjeok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into 35.2% Hwangjeok(黃炙) & Jabjeok(雜炙), 16.7% Hwangjeokhwayangjeok(黃炙花陽炙), each 11.1% Saengboghwayangjeok(生鰒花陽炙) & Lagjehwayangjeok(絡蹄花陽炙), 9.3% Eohwayangjeok(魚花陽炙), 5.6% Donggwahwayangjeok(冬苽花陽炙), each 3.7% Cheonyeobhwayangjeok((千葉花陽炙) & Yanghwayangjeok1, each 1.8% Gyelan-eoeumjeok (鷄卵於音炙) & Ablanhwayangjeok(鴨卵花陽炙). Through this study, through new lighting and menu development for Hwayangjeok used as a basis for hope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키워드

참고문헌

  1. S. S. Yoon, Hankuksilpumsa, Shinkwangpub, Seoul, 1985. (윤서석, 증보 한국식품사 연구, 신광출판사, 서울, 1985.)
  2. H. G. Lee, S. H. Jo, R. W. Jeong, K. H. Cha translation, Imwonsiprukji(Y. G. Se, 1827), Gyomunsa, Gyeonggi-do, 2007. (이효지, 조신호, 정낙원, 차경희 편역, 임원십육지(정조지)(서유구 원저, 1827년), 교문사, 경기도, 2007.)
  3. S. W. Lee, Hankukyorimunhwasa, Gyomunsa, p. 194-195, Gyeonggi-do, 1985. (이성우. 한국요.리문화사. 교문사. pp. 194-195, 1985.)
  4. C. Y. Kim. Joseonyori(朝鮮料理). Yegukmunjonghapculpansa, p. 131, Pongyang, 1994. (김정룡. 조선료리. 조선료리현회 전국리사회, p. 131, 평양, 1994.)
  5.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Joseondaesesigi(sesipungyo), NFMK, p. 37, Seoul, 2005. (국립민속박물관, 조선대세시기II-세시풍요(유만공, 1843년경), 국립민속박물관, p. 37, 서울, 2005.)
  6. S. D. Oh, "A Literature Review of Traditional Foods in Korean Festivals in the Joseon Dynasty". Korean J. Food & Nutr. 25(1):32-49, 2012. (오순덕. "조선시대 세시음식(歲時飮食)에 대한 문헌적 고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5(1) 32-49, 2012.) https://doi.org/10.9799/ksfan.2012.25.1.032
  7. S. S. Yoon, Hankukeumsikyongeo, Mineumsa, 1991. (윤서석. 한국의 음식용어. 민음사. 서울, 1991.)
  8. H. J. Jeon, Hangukeumsikyongesajeon, Jigupub, p. 97, Seoul, 2002. (전희정. 현대한국음식용어사전. 지구문화사. 서울. p. 97, 2002.)
  9. S. B. Kim, Joseon Eumsik Munhwa. Garam, p. 240, Seoul, 2006. (김상보.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도서출판 가람기획. p. 240, 서울, 2006.)
  10. S. E. Min,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Gui(Jock).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p. 107, Seoul, 1995. (민삼은. "문헌에 기록된 구이(炙)의 분석적 고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11. Y. S. Sin, Joseonhwangtodaebaekgwa(朝鮮鄕土大百科). Singeung P&P(Co.). Seoul, 2005. 신영석. 조선향토대백과. 신흥 P&P(주). 서울, 2005
  12. H. G. Lee, S. S. Yoon, "An analytical Studies on Side Dishe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1(2):101-115, 1986. (이효지, 윤서석, "조선시대 궁중음식중 찬물류(饌物類)의 분석적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2):101-115, 1986.)
  13. H. G. Lee, S. S. Yoon, "An Analysis of Foods used in the Royal parties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Yi Dynasty", Korean J. Home Economics 23(4):79-100, 1985. (이효지, 윤서석. "조선왕조 후기의 궁중연회음식의 분석적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23(4):79-100, 1985.)
  14. S. B. Kim, B. J. Han, S. W. Lee, "A study of Cookery of Daily Meal(Soora Sang) in Wonheng Ulmyo Jungri Euigwae(1795)". Korean J. Dietary Culture. 4(2):125-143, 1989. (김상보, 이성우, 한복진, "원행을묘정리의궤 중조리면에서 본 수라상고",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4(2):125-143, 1989.)
  15. H. S. Lim, Y. M. Park, "Literature Review on the Nureumjeok of using materials", Jangan nonchong(29), p. 99-115, 2009. (임희수, 박영미. "누름적에 사용된 재료의 문헌적 고찰". 장안논총 29: 99-115. 2009.)
  16. S. B. Kim, Joseon Dynasty Royal Eugwe Food Culture, Suhaksa, p. 382-388, Seoul, 2000. (김상보, 조선왕조궁중의궤음식문화, 수학사, p. 382-388, 서울, 2000.)
  17. B. S. Song, C. R. Park, SukjongjoGihaeJinyeoneuigwe(肅宗朝己亥進宴儀軌), Minsokwon(Co.), Seoul, 2001 (송방송, 박정련 국역, 肅宗朝己亥進宴儀軌(숙종조기해진연의궤, 민속원. 서울, 2001.)
  18. Eulyu Sujakeuigwe(乙酉 受爵儀軌), Kyujanggak, 1765. (을유 수작의궤(乙酉 受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765(영조 41년))
  19. Wonhaengelmyojungrieuigwe(園行乙卯整理 儀軌), Kyujanggak, 1795.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795(정조 20년).)
  20. Chunghae Chungraeeuigwe(丁亥 整礼儀軌), Kyujanggak, 1827. (정해 정례의궤(丁亥 整禮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7(순조 27년).)
  21. Muja Jinjakeuigwe(戊子 進爵儀軌), Kyujanggak, 1828. (무자 진작의궤(戊子 進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8년(순조 28년))
  22. Gichuk Jinchaneuigwe(己丑 進饌儀軌), Kyujanggak, 1829. (기축 진찬의궤(己丑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29년(순조 29년).)
  23. Musin Jinchaneuigwe(戊申 進饌儀軌), Kyujanggak, 1848. (무신 진찬의궤(戊申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48년(헌종 14년).)
  24. Mujin Jinchaneuigwe(戊辰 進饌儀軌), Kyujanggak, 1868. (무진 진찬의궤(戊辰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68년(고종 5년).)
  25. Kyeyu Jinjakeuigwe(癸酉 進爵儀軌), Kyujanggak, 1873. (계유 진작의궤(癸酉 進爵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73년(고종 10년).)
  26. Chungchuk Jinchaneuigwe(丁丑 進饌儀軌), Kyujanggak, 1877. (정축 진찬의궤(丁丑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77년(고종 14년).)
  27. Chunghae Jinchaneuigwe(丁亥 進饌儀軌), Kyujanggak, 1887. (정해 진찬의궤)(丁亥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87년(고종 24년).)
  28. Imjin Jinchaneuigwe(壬辰 進饌儀軌), Kyujanggak, 1892. (임진 진찬의궤(壬辰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892년(고종 29년).)
  29. Sinchuk Jinchaneuigwe(辛丑 進饌儀軌), Kyujanggak, 1901년 5월. (신축 진찬의궤(辛丑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1년 5월(대한제국 고종 5년).)
  30. Sinchuk Jinyeoneuigwe(辛丑 進宴儀軌), Kyujanggak, 1901년 7월. (신축 진연의궤(辛丑 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1년 7월(대한제국 고종 5년).)
  31. Imin Jinchaneuigwe(壬寅 進饌儀軌), Kyujanggak, 1902년 4월. (임인 진찬의궤(壬寅 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2년 4월(대한제국 고종 6년).)
  32. Imin Jinyeoneuigwe(壬寅 進宴儀軌), Kyujanggak, 1902년 11월. (임인 진연의궤(壬寅 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02년 11월(대한제국 고종 6년).)
  33. Lee YG, 2001, mussangsinsigyolijebeob, Gungjungeumsigyeonguwon, Seoul (이용기,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2001.)
  3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umsigbangmun, p. 30, Gyeonggi-do, 2010. (농촌진흥청, 규곤요람.음식방문.酒方文.술빚는법.甘藷耕藏說.月餘農歌(저자미상, 1800년대말엽),농촌진흥청, 경기도, 2010.)
  35. S. Y. Bang Joseonyorijebub, Hansung, p. 166, Gyeongsung, 1916. (방신영, 조선요리제법, 한성도서주식회사, p. 166, 경성, 1916.)
  36. S. B. Kim, Joseon Royal Food. Soohaksa. p. 117-131, Seoul, 2011. (김상보, 다시보는 조선왕조 궁중음식, 수학사, p. 117-131, 서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