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Pickard HS. Fatigue; a Concep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Nursing Studies. 1991; 33(5):519-29. https://doi.org/10.1016/0020-7489(96)00004-1
- 이은선. 수술실 간호사의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0.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선옥, 안숙희, 김미옥. 성인여성의 피로와 수면장애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5;11(2):163-8.
- 김귀옥. 근무형태에 따른 간호사의 피로와 우울. 2010.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호철, 최창진, 송상욱, 최환석. 가정의학과 외래에 피로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분석-전향적 연구 를 위한 기초조사. 가정의학회지. 1993;14(12):833-42.
- 김철혼, 신호철, 박용우. 만성 피로 및 만성피로증후군의 유병률-종합병원 가정의학과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의학회지. 2000;21(10):1288-98.
- 박언진. 수지요법이 임상간호사의 피로에 미치는 효과. 2004.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Nelson E. Kirk J, Mchugo G. Chief complaint fatigue: A longitudinal study from the patient's perspective. Family Practice Research Journal. 1987:6:175-88
- 김춘석, 김종대, 박순달. 피로에 관한 한의학적 문헌 고찰. 동서의학. 1996;21(4):33-47.
- 조규상. 직업병 판정과 대책. 대한의학협회지. 1991;381:1028-9.
- 정양숙. 여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피로도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1995.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Seong HM, Cha DI, Kim SW, Park SJ, Kim CJ, Yon YR. The Study of Driving Fatigue using HRV Analysis. J. Biomed. Eng. Res. 2003;24(1):1-8
- 한상렬. 사무직의 스트레스와 피로 관련 요인. 2007.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인.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 및 피로. 2013.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Choi MS, Ji DH, Kim JW. Job Stress Level and It's Related Factors in Firefighters. Journal of the Kore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10):4917-26. https://doi.org/10.5762/KAIS.2012.13.10.4917
- Byun HS, Kim GD, Chung BY, Kim KH. Fatigue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Cancer Inpatients.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지. 2010;13(2):98-108.
- Seo YM, Choi WH, Hahm JR. Influential Factors on Fatigu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9):5700-7 https://doi.org/10.5762/KAIS.2014.15.9.5700
- Park YS, Kim SJ, Kim JD.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Smoking and Stress of Workers by Analyzing Heart Rate Variability. J Korean Oriental Med. 2008;29(1):134-45.
- Wessely S, Chalder T, Hirsch S, Wallace P, Wright D. The prevalnce and morbidity of chronic fatigue and chronic syndrome: A prospective primary care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1997;87(9):1449-53. https://doi.org/10.2105/AJPH.87.9.1449
- 박미숙. 성인의 만성피로 모형개발. 2000.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김정인. 간호사의 감정 노동, 직무 스트레스 및 피로. 2013.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오미경. 건강 검진자에서의 만성 피로감에 대한 고찰. 가정의학회지. 1990;11(4):12-9.
- 김영복, 김병우. 근로자에 있어 만성피로의 유발요인에 대한 통계적 고찰. 전남의대잡지. 1986;23(4):605-17.
- Klatsky, AL. Moderate drinking and reduced risk of heart disease. Alcohol Res Health. 1999;23(1):15-23.
- Lee KA, Lentz MJ, Taylor DL, Mitchell ES, Woods NF. Fatigue as a response to environmental demands in women's liv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94;26(2):149-54. https://doi.org/10.1111/j.1547-5069.1994.tb00935.x
- 윤방부, 이균상, 강희철, 신경균. 외래환자의 피로에 대한 분석. 가정의학회지. 1999;20(8):978-90.
- 김완신, 나미나, 조정진. 피로감에 따른 임상검사 및 설문상의 차이에 대한 조사. 가정의학회지. 1992;13(3):233-39.
- 박명화.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이행정도와 월경전 증상의 관계 연구 - 일부 여군을 대상으로. 1993.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성현, 윤진희, 박혜순. 피로와 스트레스의 관련성. 가정의학회지, 1992;13(3):226-32.
- Libbus K, Baker JL, Osgood JM, Phillips TC, Valentine DM. Persistent Fatigue in well women. Women & Health, 1995;23(1):57-72. https://doi.org/10.1300/J013v23n01_04